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한일 학계의 연구동향 - 홋카이도 대학의 동학농민군 지도자 두개골 발견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6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동학농민전쟁 발생 120주년을 맞이하여, 홋카이도(北海道) 대학 코가 강당(古河講堂)에서 동학농민군 지도자의 두개골이 발견된 이후, 즉 2000년 이후 진행되어 온 한일 학계의 관련 연...

      본고는 동학농민전쟁 발생 120주년을 맞이하여, 홋카이도(北海道) 대학 코가 강당(古河講堂)에서 동학농민군 지도자의 두개골이 발견된 이후, 즉 2000년 이후 진행되어 온 한일 학계의 관련 연구의 동향을 중심으로 그에 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시기를, 홋카이도 대학 코가 강당에서 동학농민군 지도자 두개골 발견 이후로 한정한 까닭은, 이후 일본 측 사료가 새롭게 발굴, 공개되어 연구 내용 및 범위가 확대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고, 더불어 한국학계의 연구 동향도 보다 구체적인 형태로 치밀성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시기 한일 학계의 공통적인 특징은 일본 측 사료를 이용한 일본군, 청일전쟁 및 한일병탄, 일본의 한국식민지화의 관련 속에서 동학농민전쟁을 재조명하고자 하는 의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있다. 한국 학계만의 특징이라면, 정부기관의 관련 위원회 존속기간과 그 후 재단을 통한 연구 행사가 학계의 관련 연구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마지막 부분에서 2000년 이후의 한일 학계의 관련 연구의 시사점과 문제점을 제시하여 향후 이루어져야 할 연구 과제를 기술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ritten at the time of the 120th anniversary of theDonghak Peasant War, suggests several issues focusing on thestudy trends in Korean and Japanese academic circles since 2000,following the discovery of the skull of a Donghak military lea...

      This article, written at the time of the 120th anniversary of theDonghak Peasant War, suggests several issues focusing on thestudy trends in Korean and Japanese academic circles since 2000,following the discovery of the skull of a Donghak military leader inKoga Hall(古河講堂), Hokkaido University. Since the discovery ofthe skull in Koga Hall, Hokkaido University, Japanese historicalmaterials have been newly unearthed and disclosed, showing broadercontents and scope for research. Korean scholars' trends also havebecome more specific and elaborate. A common feature of bothKorean and Japanese academic circles at the time was the intentionto review the Donghak Peasant War with relations to the Japanesearmy, the First Chinese-Japanese War and Japanese Invasion andColonization of Korea (using historical materials from Japan.) AKorean characteristic is that period of the presence of agovernmental council for research and studies through thefoundation (after the governmental council had a great effect on related studies). The article addresses issues and problems of relatedstudies by both Korean and Japanese academic circles since 2000 inconclusion, suggesting tasks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글
      • Ⅱ. 일본학계의 연구 동향
      • Ⅲ. 한국학계의 연구 동향
      • Ⅳ. 향후 연구 과제
      • Ⅴ. 나가는 글
      • Ⅰ. 들어가는 글
      • Ⅱ. 일본학계의 연구 동향
      • Ⅲ. 한국학계의 연구 동향
      • Ⅳ. 향후 연구 과제
      • Ⅴ.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효숙, "황해‧평안도의 제2차 동학농민전쟁" 한국근현대사학회 (47) : 114-148, 2008

      2 강효숙, "청일전쟁에 있어 일본군의 농민군 진압"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6 : 2005

      3 왕현종,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강효숙,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조선병참부 —황해‧평안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51) : 139-168, 2009

      5 강효숙, "제2차 동학농민전쟁과 일본군 - 일본군의 생포농민군 처리를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30 (30): 63-100, 2007

      6 강효숙, "제2차 동학농민전쟁 시기 일본군의 농민군 진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2) : 5-52, 2007

      7 강효숙,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도서관에 소장된 청일전쟁 당시의 한국관련 사료 해제"

      8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의 동아시아적 의미"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2002

      9 강효숙, "동학농민혁명의 기억과 역사적 의의" 전북사학회 2011

      10 박맹수, "동학농민혁명기 在朝日本人의 전쟁협력 실태와 그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6) : 99-136, 2010

      1 강효숙, "황해‧평안도의 제2차 동학농민전쟁" 한국근현대사학회 (47) : 114-148, 2008

      2 강효숙, "청일전쟁에 있어 일본군의 농민군 진압"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6 : 2005

      3 왕현종,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전략" 동북아역사재단 2009

      4 강효숙,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조선병참부 —황해‧평안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51) : 139-168, 2009

      5 강효숙, "제2차 동학농민전쟁과 일본군 - 일본군의 생포농민군 처리를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30 (30): 63-100, 2007

      6 강효숙, "제2차 동학농민전쟁 시기 일본군의 농민군 진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2) : 5-52, 2007

      7 강효숙, "일본 방위성 방위연구소 도서관에 소장된 청일전쟁 당시의 한국관련 사료 해제"

      8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의 동아시아적 의미"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2002

      9 강효숙, "동학농민혁명의 기억과 역사적 의의" 전북사학회 2011

      10 박맹수, "동학농민혁명기 在朝日本人의 전쟁협력 실태와 그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36) : 99-136, 2010

      11 강효숙, "동학농민전쟁에 있어 고부봉기의 위상 -사발통문과 일본 측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12 박맹수, "동학농민전쟁기 일본군의 정보수집활동" 역사학연구소 19 : 2010

      13 박맹수, "동학농민전쟁기 일본군의 무기 -스나이더 소총과 무라타 소총을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학회 17 : 2001

      14 강효숙, "동학농민전쟁 당시 일본 측의 비문명 비합법적 책동" 동학민족통일회 2013

      15 강효숙, "동학농민군 탄압 인물과 그 행적 -미나미 고시로(南小西郞), 이두황, 조희연, 이도재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22) : 129-162, 2011

      16 趙景達, "近代東アジア民衆運動における連続と転換-中国·朝鮮の比較研究(文部省科学研究費補助金研究成果報告書)" 千葉大学 1994

      17 趙景達, "近代朝鮮と日本" 岩波書店 2012

      18 井上勝生, "近代日本の內と外" 吉川廣文館 1999

      19 安田常雄趙景達, "近代日本のなかの韓国併合" 東京堂出版 2010

      20 趙景達, "近代日朝關係史" 有志舍 2012

      21 井上勝生, "近代天皇制の形成確立に關する基礎的硏究" 北海道大學文學部 1999

      22 姜孝叔, "第2次東學農民戰爭と日淸戰爭-防衛硏究所圖書館所藏史料を中心に-" 千葉大學 2005

      23 姜孝叔, "第2次東學農民戰爭と日淸戰爭" 靑木書店 762 : 2002

      24 趙景達, "異端の民衆思想" 岩波書店 1998

      25 井上勝生, "甲午農民戦争日本軍による最初の東アジア民衆虐殺-東学農民戦争清算されない加害責任-" 岩波書店 693 : 2001

      26 井上勝生, "甲午農民戦争と鎮圧日本軍に関する基礎的研究" 北海道大学 2006

      27 井上勝生, "東学農民軍包囲懺滅作戦と日本政府大本営-日清戦争から韓国併合100年を問う-( 韓国併合100年を問う)" 1029 : 2010

      28 井上勝生, "札幌農学校北海道帝国大学における植民学の展開にかんする基礎的研究" 北海道大学 2003

      29 趙景達, "朝鮮民衆運動の展開: 士の論理と救済思想" 岩波書店 2002

      30 井上勝生, "明治日本の植民地支配: 北海道から朝鮮へ" 岩波書店 2013

      31 山村健, "日淸戰爭期韓國の對日兵站協力" 방위연구소 6 : 2003

      32 檜山幸夫, "日淸戰爭" 講談社 1997

      33 中塚明, "学農民戦争と日本" 高文研 2013

      34 井上勝生, "古河講堂旧標本庫人 口問題報告書" 北海道大學文學部 1997

      35 井上勝生, "北大で發見された농민군(甲午農民戰爭)指導者の遺骨調査と返還について" 歷史敎育者協議會 577 : 1998

      36 박맹수, "19세기 말 동아시아 전쟁에 대한 일본인의 ‘왜곡된’ 기억-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51) : 37-66, 2004

      37 신영우, "1894年 日本軍의 東學農民軍 虐殺" 역사실학회 (35) : 117-144, 2008

      38 신영우, "1894年 日本軍 中路軍의 鎭壓策과 東學農民軍의 對應" 역사실학회 33 (33): 6-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