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당의 의미 재고를 위한 시론 = A Study on the Reconsideration of Seodang's Mea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43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교육기관으로 알려진 서당의 이미지가 근대 이후 어떻게 변용되고 확정되어 갔는지를 분명히 하면서, 서당의 의미 재규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데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교육기관으로 알려진 서당의 이미지가 근대 이후 어떻게 변용되고 확정되어 갔는지를 분명히 하면서, 서당의 의미 재규정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데 있다. 흔히 서당은 향교나 성균관으로 진학하기 위한 준비교육기관이며 초등단계의 교육시설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렇게 서당을 규정하는 방식은 근대 이후 만들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조선시대 서당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양한 내용과 방법으로 운영되었다는 연구 성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등교육기관이나 준비교육기관으로서의 이미지가 널리 유포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ii)일제강점기 전후 일본인 교육관료 및 식민지 당국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iii)해방 이후 뚜렷한 검증의 과정 없이 그대로 답습되어 왔음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서당의 의미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성을 공론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해방된 지 70여년이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식민지시대의 교육적 유산이 어떤 방식으로 그 명맥을 유지해 왔는지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kind of transformation in the image of Seodang, known as a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has undergone since modern times. Often, Seodang is a preparatory education facility for advancing to Hyanggy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what kind of transformation in the image of Seodang, known as a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has undergone since modern times. Often, Seodang is a preparatory education facility for advancing to Hyanggyo and Seongkyunkwan, and is known as a facility that provides elementary education.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is image were not originally like this, but were created after modern times. To prove thi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meaning of Seodang has spread to academic circles based on the writings published so far, and analyzes the images of Seodang recognized by Japanese education officials and colonial authorities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process, the meaning of Seodang, which has been widely distributed in academia so far, became clear. And this image was created by Japanese education officials or colonial authorities before and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continued to be used without a critical review since 1945. This paper will not only contribute to publicizing the need to redefine the meaning of Seodang, but will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ow the educational legacy of the Colonial era that still exists more than 70 years after 194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교육과학사 1997

      2 한기언, "한국교육사" 박영사 1963

      3 "학부훈령 제3호 서당관리에 관한 건, 『관보』"

      4 김영우, "최신 한국교육사 연구" 교육과학사 1995

      5 이성심, "조선후기 지방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7

      6 이만규, "조선교육사II" 거름 1988

      7 이만규, "조선교육사(상)" 을유문화사 1947

      8 노영택, "일제하 민족교육운동사" 탐구당 1979

      9 교육사학회, "와타나베의 한국교육사" 문음사 2010

      10 정순우, "서당의 사회사" 태학사 2012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교육과학사 1997

      2 한기언, "한국교육사" 박영사 1963

      3 "학부훈령 제3호 서당관리에 관한 건, 『관보』"

      4 김영우, "최신 한국교육사 연구" 교육과학사 1995

      5 이성심, "조선후기 지방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7

      6 이만규, "조선교육사II" 거름 1988

      7 이만규, "조선교육사(상)" 을유문화사 1947

      8 노영택, "일제하 민족교육운동사" 탐구당 1979

      9 교육사학회, "와타나베의 한국교육사" 문음사 2010

      10 정순우, "서당의 사회사" 태학사 2012

      11 "서당규칙, 『조선총독부 관보』"

      12 송찬섭, "서당,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서" 서해문집 2018

      13 "서당"

      14 "서당"

      15 이만규, "다시 읽는 조선교육사" 살림터 2010

      16 이홍직, "국사대사전" 지문각 1962

      17 손승남, "교육철학 및 교육사" 학지사 2019

      18 한기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학사 2016

      19 "개정 서당규칙, 『조선총독부 관보』"

      20 "韓国雑談 (上)" (854) : 1909

      21 "韓国教育(上)" (893) : 1910

      22 渡部学, "近世朝鮮教育史研究" 雄山閣 1969

      23 高橋濱吉, "朝鮮教育沿革略史" 1922

      24 "朝鮮教育実地視察" (364) : 1895

      25 "朝鮮教育の近状" (941) : 1911

      26 "朝鮮教育" (714) : 1905

      27 幣原坦, "朝鮮敎育論"

      28 "朝鮮の書堂教育" (1003) : 1913

      29 박래붕, "書堂敎育과 寺子屋教育의 比較 硏究" 한국체육대학교 327-382, 1979

      30 "書堂" 平凡社

      31 "書堂"

      32 "晩餐会" (725) : 1905

      33 "慶北教育状況" (1047) : 1914

      34 "幣原坦"

      35 "寺子屋"

      36 "三土氏の韓国学校談" (824) : 1908

      37 長野県教育史刊行会, "『長野県教育史』 第8卷" 1973

      38 近代アジア教育史研究会, "『近代日本のアジア教育認識·資料編(韓国の部)』 第1卷" 1999

      39 이황원, "ERP 교육학논술" 교육과학사 2020

      40 김경용, "19세기말 更張期 朝鮮의 교육개혁과 『官學院錄』" 교육사학회 18 (18): 1-38, 2008

      41 이명실, "1910년 전후의 『교육시론(教育時論)』에 나타난 일본인의 ‘조선 및 한국교육’ 인식" 한국일본교육학회 23 (23): 21-40,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