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 추보(追補) 연구: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 대한 필자의 기존 연구에 근간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추가, 만발발자 제천유적의 분기별 변천상을 새롭게 조명한 연구이다. 1기-조단(B.C...

      본고는 통화 만발발자 제천유적에 대한 필자의 기존 연구에 근간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를 추가, 만발발자 제천유적의 분기별 변천상을 새롭게 조명한 연구이다.
      1기-조단(B.C.4000~B.C.3500년)의 시기, 선도사상의 요체인 삼원(천·지·인, 원·방·각)의 상징성을 요령 있게 담아낸 거대 규모의 적석단총, ‘3층원단(모자합장묘)·방대’가 조성되었다. 그 주인은 배달국 초 환웅족이 가져온 선진적 선도제천문화를 수용하여 토템족 웅족사회를 천손족 맥족(환웅족+웅족)사회로 바꾸어놓은 역량 있는 선인 지도자 웅녀군이었다.
      1기(B.C.4000~B.C.3000년, 배달국 전·중기) 제천단의 거대 규모와 대비되는 간결하고 담백한 제천의 흔적은 선도제천문화의 태동기, 군더더기 없이 기본에 충실한 선도제천문화의 출발점을 보여주었다.
      2기(B.C.13세기~8세기, 단군조선 후기) 만발발자의 드넓은 소도제천지에는 3층원단·방대의 국부에 주·부 제천사 2좌가 들어서 있었을 뿐이었다. 1기에 자리 잡힌 소도제천문화의 기본 틀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3기(B.C.8세기~B.C.3세기, 단군조선 말기)가 되자 소도제천문화가 크게 형식화되고 번잡해졌으며, 이전에 보이지 않던 위계성까지 생겨났다. 단군조선 말기 맥족사회의 분열·와해 국면 속에서 선도제천문화도 세속화되고 있었던 것이다.
      4기(B.C.3세기~3세기, 고구려 개창기)가 되자 종래 번속화 방향으로 흘렀던 소도제천문화는 재차 간결화되면서 새로운 안정 국면을 맞았다. 고구려의 개창으로 맥족사회가 안정을 찾아가는 시대분위기와 맞물린 변화였다.
      5기(3세기~5세기, 고구려 중기)에는 제천시설의 중첩 및 소규모화 현상, 또 제천공간의 축소 현상이 두드러졌다. 고구려 중기 선도제천문화의 위상이 서서히 약화되어 가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supplementary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changes of ‘Wanfabozi萬發撥子 relic’ according to the periods by adding 『Tonghua Wanfabozi Sit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to my previous study on Wanfabozi relic. Durin...

      This paper is a supplementary study that sheds light on the changes of ‘Wanfabozi萬發撥子 relic’ according to the periods by adding 『Tonghua Wanfabozi Sit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to my previous study on Wanfabozi relic.
      During the early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500B.C., early Baedalkook倍達國), the huge scale stone mound altar·tomb, i.e.,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3層圓壇·方臺)’ that captured the symbolism of Samwon三元(Cheon天·Ji地·In人, Won圓·Bang方·Gak角), a key element of Sundo仙道 ideas, was built. Its owner was King Ung-nyeo熊女君, a competent good leader who transformed ‘Totem Ung熊 people’ society into ‘Heavenly Maek貊 people(Hwanung桓雄 people + Ung people)’ society by accepting the advanced Sundo culture brought by Hwanung people in early Baedalkook.
      During the 1st period of Wanfabozi(4000B.C.∼3000 B.C., early and middle Baedalkook), in contrast to the huge scale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traces of concise and plain ritual procedure showed the starting point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and the essence of the Sundo without any unnecessity.
      In the 2nd period of Wanfabozi(the 13th century B.C.∼the 8th century B.C., late Dangun Josun檀君朝鮮), there were only two main and secondary temples for Heaven Ritual on a part of ‘the three-layered circular altar with attached square altar’. The framework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1st period, was maintained.
      In the 3rd period of Wanfabozi(the 8rd century B.C.∼the 3rd century B.C.,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formalized and complicated, and even the hierarchical tendency that had never existed before was formed. In the midst of the division and disintegration of the Maek貊 society in late Dangun Josun,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as also being secularized.
      In the 4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 B.C.∼the 3rd century, early Goguryeo高句麗),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which had been flowing in the direction of secularization, had been arranged in order again and had taken a new phase of stability. These changes were coincided with the mood of the times that the founding of Goguryeo brought a new stability to the Maek society.
      During the 5th period of Wanfabozi(the 3rd century∼the 5th century, middle Goguryeo), the noticeable point of change in Wanfabozi were just the miniaturization of the Heaven Ritual facilities and the reduction of ritual space. These points show that the status of the Sundo Heaven Ritual culture in the Maek society was gradually weakening from this time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의 편찬 및 발굴 경위
      • Ⅲ.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에 나타난 분기별 변천상
      • Ⅳ. 맺음말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의 편찬 및 발굴 경위
      • Ⅲ. 『통화만발발자유지고고발굴보고』에 나타난 분기별 변천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