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후기 장편소설에 나타난 강(江)의 형상과 소설사적 의미 -<완월회맹연(玩月會盟宴)>을 중심으로- = The shape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ver in the full-length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Wanwolhyemaengyeon(玩月會盟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7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entered on <Wanwolhyemaengyeon(玩月會盟宴)>,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shap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ver', a literary material that appears in Korean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hape of the river i...

      This study, centered on <Wanwolhyemaengyeon(玩月會盟宴)>,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shap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ver', a literary material that appears in Korean nove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hape of the river in <Wanwolhyemaengye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areas: the parting and meeting space, the fantasy space, and the play space. As the parting and meeting space, the river has two sides: a negative space based on the image of death and severance, and a positive space for reunion and union in the end. As the fantasy space, the river is a medium, an entrance, or a main stage through which transcending death, thereby achieving the growth and success of the protagonists. The river as the play space is closely related to Seonyu(船遊; enjoy boating), a play culture enjoyed by the Sajok(士族) class in the Joseon Dynasty, and reflects the knowledge and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the Sajok class of the time.
      From the novel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shape of a river as the space of unity, fantasy, and play, and related narratives were first presented in the full-length novels of the 17th century, and were formalized while forming a certain structural framework in the novels such as <Wanwolhyemaengyeon> in the 18th century. It was also inherited from the novels of the 19th century. However, compared to <Wanwolhyemaengyeon>, the shape of the river and the way it is used in other works are fragmented or abbreviated. In other words, <Wanwolhyemaengyeon> established an important model for the use and shape of steel material in the Korean classic full-length novel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화정선행록"

      2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 연구" 이화여대 2009

      3 "현몽쌍룡기"

      4 정우락, "한국문학에 나타난 물 이미지의 이항대립(二項對立)과 그 의미" 퇴계연구소 (48) : 69-114, 2011

      5 강상순, "한국 고전소설 속 중국 배경과 중국 인식"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5 : 107-139, 2013

      6 권순긍, "한국 고소설과 중국 湖南지역" 우리한문학회 19 : 283-299, 2008

      7 "취승루"

      8 "창선감의록"

      9 "조씨삼대록"

      10 김동현, "조선시대명승유람 행태의특성-유산과 선유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80 : 700-707, 2016

      1 "화정선행록"

      2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 연구" 이화여대 2009

      3 "현몽쌍룡기"

      4 정우락, "한국문학에 나타난 물 이미지의 이항대립(二項對立)과 그 의미" 퇴계연구소 (48) : 69-114, 2011

      5 강상순, "한국 고전소설 속 중국 배경과 중국 인식"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5 : 107-139, 2013

      6 권순긍, "한국 고소설과 중국 湖南지역" 우리한문학회 19 : 283-299, 2008

      7 "취승루"

      8 "창선감의록"

      9 "조씨삼대록"

      10 김동현, "조선시대명승유람 행태의특성-유산과 선유를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80 : 700-707, 2016

      11 이상균, "조선시대 선유문화船遊文化의 양상과 그 폐단" 한국국학진흥원 (27) : 215-255, 2015

      12 이상균, "조선시대 사대부의 유람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37-61, 2011

      13 서정현, "조선 후기 장편소설 속 군담 연구" 경북대 2019

      14 백진우, "전란의 기억과 문학적 극복 — 정묘⋅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에 나타난 문학적 현상에 주목하여 —" 동양고전학회 (68) : 69-97, 2017

      15 정선희, "장편가문소설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기능" 한민족문화학회 (36) : 181-209, 2011

      16 "임씨삼대록"

      17 "유씨삼대록"

      18 김진세, "완월회맹연,1~12" 서울대 출판부 1993

      19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태학사 1998

      20 "완월회맹연"

      21 "옥루몽"

      22 "쌍천기봉"

      23 "소현성록"

      24 정우락, "모순의 힘-한국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 경북대학교 출판부 2019

      25 한길연,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469-513, 2010

      26 한길연, "대하소설의 자료사적 궤적과 공공화 방안 - <유씨삼대록>을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42) : 5-45, 2016

      27 한길연, "대하소설의 의식성향과 향유층위에 관한 연구-<창란호연록>·<옥원재합기연>·<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서울대 2005

      28 우쾌제, "남정기의 남정로에나타난서포의 중국인식 고찰" 국어국문학회 115 : 59-82, 1995

      29 "구운몽"

      30 조재현, "고전소설의 환상세계" 도서출판 월인 2009

      31 경일남, "고전소설의 소상강 활용양상" 어문연구학회 78 : 59-79, 2013

      32 이승은, "고전소설 속 바다 형상과 근대적 변모"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7 : 91-118, 2019

      33 차충환 ; 김진영, "고소설에 나타난 놀이문화 연구- <옥루몽>과 <옥선몽>을 중심으로 -" 한국공연문화학회 (24) : 373-404, 2012

      34 김용기, "江․山의 超越的 性格과 文學的 大衆性" 중앙어문학회 46 : 7-36, 2011

      35 우경섭, "宋時烈의 華夷論과 朝鮮中華主義의 성립" 진단학회 (101) : 257-289, 2006

      36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여성의 놀이문화 연구" 한국여성문학학회 (28) : 267-298, 2012

      37 장효현, "<화정선행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6 (26): 93-120, 2003

      38 차충환, "<취승루>의 문학적 성격 연구-구성과 인물형상의 변모를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57 : 221-248, 2008

      39 이현주, "<완월회맹연>의 역사수용 특징과 그 의미 -토목지변(土木之變)과 탈문지변(奪門之變)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09) : 197-226, 2010

      40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서사문법과 독서역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27-55, 2005

      41 김동욱, "<완월회맹연>의 도술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회 (56) : 39-69, 2017

      42 김서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천상계의 특성과 의미- 모자 관계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8) : 361-390, 2014

      43 김나혜, "<권익중전>에 수용된 동정호의 양상과 의미" 한국어문학회 (139) : 193-213, 2018

      44 이명현, "<太原誌>의 표류와 정복에 나타난 타자인식"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4) : 275-300, 2013

      45 김수연, "18세기 사족(士族) 소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유(儒)·도(道) 쟁론" 우리문학회 (69) : 41-77,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