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Recognition Projected in Jeyeongsii(題詠詩), Geumgangsan Temple -Focusing on Hulseongru pavilion(歇惺樓)of Jeongyangsa temple(正陽寺)-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09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searches the aspect of space recognition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projected in Jeyeongsii(題詠詩), Geumgangsan Temple by focusing on Hulseongru pavilion(歇惺樓) of Jeongyangsa temple (正陽寺). Geumgangsan first nam...

      This paper researches the aspect of space recognition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projected in Jeyeongsii(題詠詩), Geumgangsan Temple by focusing on Hulseongru pavilion(歇惺樓) of Jeongyangsa temple (正陽寺).
      Geumgangsan first named ‘Bongraesan(蓬萊山)’ meaning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fterward, it was additionally named Geumgangsan(金剛山)ㆍJidalsan(枳怛山) based on tales about Dalmugal Buddhist saint lectured Geumganggyung scriptures, a group of twelve thousand and Beopgi Buddhist saint lectured Whaumgyung scriptures. Due to this, Geumgangsan was characterized to have a duality of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nd Buddhist’s mountain.
      There had ever been 100 temples including so-called top 4 temples in Geumgangsan such as Jangansa temple(長安寺), Pyohunsa temple(表訓寺), Yoojeomsa temple(楡岾寺), Jeongyangsa temple(正陽寺) and Singye Temple(新溪寺)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yangsa temple located in the main mountain chain of Geumgangsan is related with the religion of Beopgi Buddhist saint(法起菩薩) of Whaumgyung scriptures(華嚴經), and located in the foot of Banggwangdae(放光臺) in the north of Pyohunsa of inner Geumgang Manpokdong(萬瀑洞).
      Hulseongru pavilion among the annex of Jeongyangsa temple is also called Hulseongru pavilion(歇性樓) or Hulseokru pavilion(歇錫樓). This name means to wake up from the dreams of the world and keep your eyes open and always stay awake. Hulseongru pavilion has the view with 3 directions fully opened, which allows you to enjoy the scenery of inner Geumgangsan. So, it was spotlighted as the best view spot of Geumgangsan by tourists.
      Jeyeongsi of Hulseongru pavilion holds 123 literature works of 80 authors based on Korean literature collection. The naming history of Geumgangsan, the origin of naming valleys and peaks, taoist hermit and Buddhism related legends and the appreciation about 12 thousand peaks viewed at a glance are projected. Therefore Hulseongru pavilion is recognized as Confucian scholars can enjoy taoist hermit’s scenery(仙境), Buddhist world(佛界) and the best spot which can enjoy the scenery of Geumgangsan(金剛最勝處).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조선시대 儒者들의 공간인식 양상을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금강산은 처음에 神仙의 산인 ‘蓬萊山’로 이름났다. 그 뒤 佛敎와...

      이 논문은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조선시대 儒者들의 공간인식 양상을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금강산은 처음에 神仙의 산인 ‘蓬萊山’로 이름났다. 그 뒤 佛敎와 관련하여 금강경을 설법한 담무갈보살과 12,000명의 권속, 금강산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법기보살 등의 설화를 바탕으로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金剛山ㆍ枳怛山 등의 이칭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금강산은 신선의 산이고, 또 불가의 산이란 이중성을 띠게 되었다.
      금강산에는 조선후기까지 長安寺ㆍ表訓寺ㆍ楡岾寺ㆍ正陽寺ㆍ新溪寺 등의 이른바 ‘금강산 4대 사찰’을 포함해 100여 개의 사찰이 있었다. 그 가운데 금강산 정맥에 자리하여 명명된 정양사는 화엄경 법기보살 신앙과 관련되어 있고, 내금강 만폭동의 표훈사 북쪽 방광대 산기슭에 있다.
      정양사 부속건물 중 歇惺樓는 歇性樓 또는 歇錫樓로도 일컬어졌다. 이 이름에는 塵世의 꿈에서 깨어나 마음의 눈을 떠 항상 깨어 있으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헐성루는 지리적으로 북쪽 동쪽 남쪽 3면이 확 트여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내금강의 풍광을 감상하기가 매우 좋다. 그래서 유객들에게 금강산 최고 조망처로 각광받았다.
      헐성루 제영시는 韓國文集叢刊을 기준으로 80명 작가의 123수가 있다. 여기에는 금강산 명칭 내력, 봉우리명과 골짜기명 등의 지명유래, 신선과 불교 관련 전설, 한눈에 조망되는 일만이천봉에 대한 감상 등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헐성루는 조선시대 유자들에게 仙境, 佛界, 金剛最勝處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지훈, "?橋 安錫儆의 金剛山 遊記" 우리한문학회 12 (12): 219-249, 2005

      2 채지수, "李景奭의 「楓嶽錄」 삽입시의 두 가지 양상" 한국한문고전학회 23 (23): 97-127, 2011

      3 "論語"

      4 최강현, "金剛山 문학에 관한 연구(1)" 성곡언론문화재단 23 : 1773-1829, 1992

      5 兪聖雄, "金剛山" 예맥출판사 1998

      6 채지수, "허균의 금강산 문학에 나타난 공간인식 : 「풍악기행」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1

      7 김혈조, "한문학을 통해 본 금강산" 우리한문학회 1 : 361-411, 1999

      8 최윤정, "조선후기 금강산의 불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혜순,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집문당 1997

      10 우명길, "조선시대 산수유기에 나타난 백두대간 인식" 강원대학교 2018

      1 윤지훈, "?橋 安錫儆의 金剛山 遊記" 우리한문학회 12 (12): 219-249, 2005

      2 채지수, "李景奭의 「楓嶽錄」 삽입시의 두 가지 양상" 한국한문고전학회 23 (23): 97-127, 2011

      3 "論語"

      4 최강현, "金剛山 문학에 관한 연구(1)" 성곡언론문화재단 23 : 1773-1829, 1992

      5 兪聖雄, "金剛山" 예맥출판사 1998

      6 채지수, "허균의 금강산 문학에 나타난 공간인식 : 「풍악기행」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1

      7 김혈조, "한문학을 통해 본 금강산" 우리한문학회 1 : 361-411, 1999

      8 최윤정, "조선후기 금강산의 불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9 이혜순, "조선중기의 유산기 문학" 집문당 1997

      10 우명길, "조선시대 산수유기에 나타난 백두대간 인식" 강원대학교 2018

      11 정치영,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람 중의 활동" 한국역사민속학회 (42) : 37-70, 2013

      12 박민춘, "조선시대 금강산유람록을 통한 산림기행문화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18

      13 고태규, "조선시대 금강산 유람기에 대한 여행사(史)적 고찰"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79-93, 2018

      14 이상균, "조선시대 關東遊覽의 유행 배경" 인문과학연구소 (31) : 167-196, 2011

      15 박은정, "유산기(遊山記)로 보는 승(僧)의 삶과 소수자적 실상 — 금강산 유산기를 중심으로 —" 온지학회 (54) : 105-131, 2018

      16 백진우, "월곡(月谷) 오원(吳瑗)의 산수유기(山水遊記) 연구(硏究)- 금강산 유기인 「유풍악일기(遊楓嶽日記)」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회 (38) : 502-540, 2013

      17 이미숙(현욱), "영허 해일의 <金剛山>에 관한 一考察" 동남어문학회 1 (1): 273-298, 2018

      18 신두환, "식산 이만부의 「金剛山記」에 나타난 문예미학" 한국한문고전학회 17 (17): 73-102, 2008

      19 이현일, "소하(少荷) 조성하(趙成夏)의 『금강산기(金剛山記)』 연구-19세기 경화벌열가(京華閥閱家) 청년의 금강산 기행-" 반교어문학회 (48) : 121-162, 2018

      20 육재용, "산수유람록에 나타난 先人들의 觀光意識 일고찰 - 금강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1-20, 2010

      21 황인규, "북한지역 사찰의 불교사적 의의" 대각사상연구원 (17) : 133-168, 2012

      22 김기영, "방재 정재학의 산수시와 <유금강산기> 고찰"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18 : 49-79, 2017

      23 권은진, "박건회의 『금강산실기』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윤재환, "매산과 옥동의 금강산기행시문의 비교 연구-'금강도록기'와 '동유록', '동유편'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8) : 89-110, 2005

      25 강혜규, "농재 홍백창의 『동유기실』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6 장정수, "기행가사와 산수유기(山水遊記) 비교 고찰 -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의 「금강별곡」과 「동행산수기」를 대상으로 -" 민족어문학회 (81) : 5-34, 2017

      27 박은정, "금강산의 의미 변화와 儒者의 시선" 동방한문학회 (67) : 95-124, 2016

      28 박대남, "금강산의 명사찰, 신계사" 북한연구소 541 : 126-132, 2017

      29 龍野沙代, "금강산 전설의 문헌전승 연구 : 종교적 표상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0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금강산 유람록 3" 민속원 2016

      31 이문희, "금강산 기행문학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0

      32 염중섭, "금강산 楡岾寺의 연기설화 검토 ‒ 皇龍寺丈六尊像 설화와 五臺山 文殊信仰의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83) : 41-74, 2017

      33 홍성욱, "권섭의 山水 遊記 硏究" 국제어문학회 (36) : 75-115, 2006

      34 趙文命, "鶴巖集" 한국고전번역원 1997

      35 李世龜, "養窩集" 한국고전번역원 2007

      36 李最中, "韋庵集" 한국고전번역원 2009

      37 박우훈, "震澤 申光河의 <東遊紀行> 硏究" 어문연구학회 79 : 193-220, 2014

      38 安錫儆, "霅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39 金鍾正, "雲溪漫稿" 한국고전번역원 2009

      40 李福源, "雙溪遺稿" 한국고전번역원 1999

      41 윤지훈, "陶谷 李宜顯의 「遊金剛山記」에 관한 一考" 한국한문고전학회 25 (25): 177-199, 2012

      42 尹弘圭, "陶溪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10

      43 이관성, "陶厓 洪錫謨의 금강산 유기, 『艮觀錄』 一考" 동방한문학회 (71) : 241-272, 2017

      44 김민구, "閔漬와 楡岾寺 五十三佛의 成立" 불교문화연구원 (55) : 567-604, 2010

      45 南公轍, "金陵集" 한국고전번역원 2001

      46 박영민, "遊山記의 시공간적 추이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원 (40) : 73-98, 2004

      47 朴胤源, "近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00

      48 姜世晃, "豹菴稿" 한국고전번역원 2009

      49 趙泰億, "謙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7

      50 曺夏望, "西州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51 吳道一, "西坡集" 한국고전번역원 1995

      52 徐宗華, "藥軒遺集" 한국고전번역원 2009

      53 김동협, "藥南 李憲洛의 생애와 「東行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285-308, 2013

      54 蓮潭, "蓮潭大師林下錄, 韓國佛敎全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2

      55 金進洙, "蓮坡詩鈔" 한국고전번역원 2003

      56 金煕周, "葛川集" 한국고전번역원 2010

      57 李恒老, "華西集" 한국고전번역원 2003

      58 "英祖實錄" 국사편찬위원회

      59 李喜朝, "芝村集" 한국고전번역원 1996

      60 李獻慶, "艮翁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61 許薰, "舫山集" 한국고전번역원 2004

      62 丁若鏞, "與猶堂全書" 한국고전번역원 2002

      63 洪泰猷, "耐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7

      64 鄭元容, "經山集" 한국고전번역원 2002

      65 徐榮輔, "竹石館遺集" 한국고전번역원 2001

      66 이현일, "竹石 徐榮輔의 『楓嶽記』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33 (33): 61-94, 2015

      67 申濡, "竹堂集" 한국고전번역원 2007

      68 金熤, "竹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69 任天常, "窮悟集" 한국고전번역원 2010

      70 이현일, "石菱 金昌熙의 初期 遊記에 대하여" 우리한문학회 34 (34): 97-124, 2016

      71 韓章錫, "眉山集" 한국고전번역원 2004

      72 李景奭, "白軒集" 한국고전번역원 1992

      73 金始鑌, "白南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74 柳榮河, "甫山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75 高聖謙, "甪里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76 尹 載 煥, "玉洞 李?의 金剛山 紀行詩文 硏究-?東遊錄?과 ?東遊篇?을 中心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1) : 203-237, 2004

      77 趙德鄰, "玉川集" 한국고전번역원 1996

      78 申佐模, "澹人集" 한국고전번역원 2003

      79 尹鍾燮, "溫裕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80 李玄錫, "游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5

      81 鄭碩達, "涵溪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82 姜必孝, "海隱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10

      83 丁範祖, "海左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84 정지아, "洪仁祐의 <關東錄>에 대한 고찰" 열상고전연구회 (45) : 119-146, 2015

      85 黃景源, "江漢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86 강병희, "正陽寺 약사전의 건축사적 변천 - 금강산 기행문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12 (12): 163-179, 2003

      87 李喆輔, "止庵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09

      88 蔡濟恭, "樊巖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89 洪直弼, "梅山集" 한국고전번역원 2002

      90 金得臣, "柏谷集" 한국고전번역원 1993

      91 成近默, "果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02

      92 張之琬, "枕雨堂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93 姜橒, "松西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94 兪彦述, "松湖集" 한국고전번역원 2009

      95 李英輔, "東溪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08

      96 李晩用, "東樊集" 한국고전번역원 2003

      97 김영수, "東州 李敏求의 「東游錄」 硏究" 민족문화연구원 (68) : 389-416, 2015

      98 金鍾厚, "本庵續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99 이상균, "朝鮮時代 遊覽文化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100 육재용, "朝鮮時代 士大夫들의 觀光行爲와 樣相 硏究- 금강산․지리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3 (33): 31-55, 2009

      101 이상균, "朝鮮時代 士大夫 遊覽의 慣行 硏究" 한국역사민속학회 (38) : 81-114, 2012

      102 오경후, "朝鮮後期 楡岾寺의 法脈과修行傳統의 價値" 한국역사민속학회 (43) : 173-201, 2013

      103 吳瑗, "月谷集" 한국고전번역원 1998

      104 李玄祚, "景淵堂詩集" 한국고전번역원 1996

      105 권진용, "景淵堂 李玄祚의 「東遊錄」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3) : 182-211, 2015

      106 朴永錫, "晩翠亭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10

      107 崔昌大, "昆侖集" 한국고전번역원 1997

      108 김명주, "新羅 末-高麗 初 金剛山 地域의 石造美術 硏究 -석탑·석등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5 : 221-254, 2018

      109 任弘亮, "敝帚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07

      110 南漢朝, "損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10

      111 趙載浩, "損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8

      112 趙秉鉉, "成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03

      113 李東標, "懶隱集" 한국고전번역원 2007

      114 宋煥箕, "性潭集" 한국고전번역원 2000

      115 李象秀, "峿堂集" 한국고전번역원 2012

      116 李晩秀, "屐園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01

      117 姜溍, "對山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118 趙正萬, "寤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119 李震相, "寒洲集" 한국고전번역원 2003

      120 洪樂仁, "安窩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10

      121 鄭曄, "守夢集" 한국고전번역원 1991

      122 朴允默, "存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02

      123 柳徽文, "好古窩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124 張志淵, "大東詩選" 아세아문화사 2007

      125 沈尙鼎, "夢悟齋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126 申聖夏, "和菴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127 趙裕壽, "后溪集" 한국고전번역원 2008

      128 許愈, "后山集" 한국고전번역원 2004

      129 李彙寧, "古溪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130 崔益鉉, "勉菴集" 한국고전번역원 2004

      131 李源祚, "凝窩集" 한국고전번역원 2011

      132 이훈, "再思堂 李黿의 산수 유람관과 「遊金剛錄」 연구"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6 : 81-117, 2007

      133 鄭必達, "八松集" 한국고전번역원 2007

      134 李升培, "修溪集" 한국고전번역원 2010

      135 郭鍾錫, "俛宇集" 한국고전번역원 2004

      136 南溟學, "五龍齋遺稿" 한국고전번역원 2010

      137 黃德吉, "下廬集" 한국고전번역원 2000

      138 姜浚欽, "三溟詩集" 한국고전번역원 2010

      139 金履安, "三山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99

      140 南有容, "䨓淵集" 한국고전번역원 1998

      141 김기영, "「금강산유산록」의 작품 실상과 교육적 함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6 (6): 415-441, 2002

      142 김보경, "「遊金剛錄」에 나타난 再思堂 李黿의 산수 인식과 그 정신사적 의미" 동양한문학회 31 (31): 47-82, 2010

      143 정치영, "‘金剛山遊山記’를 통해 본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여행 관행"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5 (15): 17-34, 2003

      144 이영수, "20세기 초 金圭鎭(1868~1933)의 금강산 유람과 예술 활동"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0 (10): 23-49, 2018

      145 문정우, "19~20세기 江右 文人의 金剛山 遊覽과 漢詩" 동방한문학회 (48) : 187-208, 2011

      146 李榮洙, "19세기 金剛山圖 硏究" 명지대학교 2016

      147 정학성, "18세기 유산기 「金剛恩遊錄」 연구" 한국한문학회 (64) : 261-293, 2016

      148 강혜규, "18세기 산수유기의 轉變 양상 -『東遊記』와 『東遊記實』의 비교-" 한국한문학회 (65) : 225-250, 2017

      149 이영숙, "17세기 이전 금강산 유람의 경로 및 특징" 경남문화연구원 (55) : 331-364, 2017

      150 이종호,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근역한문학회 30 : 105-136, 2010

      151 이경순, "17-18세기 士族의 유람과 山水空間 인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52 강혜선, "17, 8세기 금강산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7 (17): 91-111, 1992

      153 이경수, "16세기 금강산 기행문의 작자와 저술배경" 국문학회 4 : 185-211, 2000

      154 이종수, "16-17세기 유학자의 유람록으로 본 금강산 불교" 경남문화연구원 (51) : 229-259, 2016

      155 박진영, "15세기~17세기 금강산유람기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