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편찬과 성리학적 이념의 실천 = Yulgok(栗谷) Yiyi(李珥)'s The Compilation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and Practice of Neo-Confucian Id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56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ulgok(栗谷) Yiyi(李珥)'s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text that has been studied a lot so far, but it has mostly focused on pedagogical approaches, and wide discussions about the text and the periodic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hav...

      Yulgok(栗谷) Yiyi(李珥)'s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text that has been studied a lot so far, but it has mostly focused on pedagogical approaches, and wide discussions about the text and the periodic context surrounding the text have not been made. accordingly we believe that fundamental reconsideration is necessary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until now,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has been treated as an elementary school material with the existing children's textbooks(童蒙書) or recognized as an elementary textbook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Sohak(小學)』.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has a very strong character of a children's practice manual for entering into a Neo-Confucian ideology as well as its own format and orientation.
      Second, the overall structure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to go to the problem of a country village community(鄕村社會), not the stage of chi-guk(治國) from su-sin(修身)-je-ga(齊家). A And the contents are closely related to su-sin(修身), je-ga(齊家), edification of a country village community(鄕村社會), and loc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new approach 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m.
      Thir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context of the times in which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placed.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is a practical text that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horizon of the late 16th century, where the Joseon‘s Neo-confucianism was esta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istorical horizon from the late Myeongjong(明宗) where Yulgok(栗谷) lived to the beginning of Seonjo(宣祖), his personal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the period of academic sympathy with some of his fellow students in three dimensions.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he context of the period of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by paying deeper attention to this reflective point, and on the basis of it, we will try to grasp neo-confucianism intention and practice pattern that Yulgok(栗谷) intended to include in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which has been recognized only as a simple elementary school material, was a practical product of a Neo-Confucian scholars(儒敎知識人) who sought to realize neo-confucianism ideal society in the late 16th century and was part of a grand plan to establish an academic system of Joseon Dynasty Zhuxi’s Studies(朝鮮朱子學).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텍스트이지만, 대부분 교육학적 접근에 집중되어 텍스트와 텍스트를 둘러싼 시대적 맥락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

      율곡 이이의 『격몽요결』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텍스트이지만, 대부분 교육학적 접근에 집중되어 텍스트와 텍스트를 둘러싼 시대적 맥락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다음 몇 가지의 측면에서 근본적인 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지금까지 『격몽요결』은 기존의 동몽서들과 나란히 초학교재로 다루어지거나, 『소학』의 난해함을 해결하기 위한 초보적 교재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격몽요결』은 성리학적 이념으로 들어가기 위한 아동용 실천 매뉴얼의 성격이 매우 강하며, 독자적인 체재와 지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격몽요결』의 전체적인 구조는 수신-제가에서 치국의 단계가 아니라 향촌사회의 문제로 나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내용은 수신, 제가, 향촌사회 교화, 그리고 지역교육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다. 때문에 이들과의 긴밀한 연관관계 속에서 새롭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셋째, 『격몽요결』이 놓인 시대적 맥락에 주목해야한다. 『격몽요결』은 이른바 조선성리학이 정립되었다고 평가되는 16세기 후반의 역사적 지평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는 실천적 텍스트이다. 때문에 율곡이 살았던 명종 후반으로부터 선조 초반에 이르는 역사적 지평과 그가 처한 개인적 상황, 그리고 뜻을 같이 하던 몇몇 同學과의 학문적 공감이라는 시대적 맥락에 유념하여 입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반성적 지점에 깊이 유념하여 『격몽요결』의 편찬과정과 시대적 맥락을 살펴보고, 그를 토대로 율곡이 『격몽요결』에 담아내고자 했던 성리학적 지향과 그 실천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제까지 단순한 초학교재로만 인식되어 왔던 『격몽요결』이 16세기 후반 성리학적 이상사회를 실현하고자했던 한 유교지식인의 실천적 산물이자 조선주자학의 학문체계를 구축하고자 했던 원대한 기획의 일부였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珥, "栗谷全書"

      2 하지영, "龜峯 宋翼弼의 예 담론과 그 의미—庶母 논쟁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32) : 161-191, 2007

      3 주희, "주자가례" 예문서원 2003

      4 박종천, "일상의 성화(聖化)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 유학연구소 31 : 25-54, 2014

      5 이기석, "신역 동몽선습/계몽편/동몽수지" 홍신문화사 1986

      6 문미희, "수용사의 관점에서 본 『격몽요결』의 탄생과 전승의 의미" 부산대 교육대학원 2016

      7 이이, "세 분 선생님 편지글(삼현수간)" 호암미술관 2001

      8 "선조실록"

      9 "선조수정실록"

      10 성백효, "동몽선습․격몽요결" 전통문화연구회 2017

      1 李珥, "栗谷全書"

      2 하지영, "龜峯 宋翼弼의 예 담론과 그 의미—庶母 논쟁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32) : 161-191, 2007

      3 주희, "주자가례" 예문서원 2003

      4 박종천, "일상의 성화(聖化)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 유학연구소 31 : 25-54, 2014

      5 이기석, "신역 동몽선습/계몽편/동몽수지" 홍신문화사 1986

      6 문미희, "수용사의 관점에서 본 『격몽요결』의 탄생과 전승의 의미" 부산대 교육대학원 2016

      7 이이, "세 분 선생님 편지글(삼현수간)" 호암미술관 2001

      8 "선조실록"

      9 "선조수정실록"

      10 성백효, "동몽선습․격몽요결" 전통문화연구회 2017

      11 이이, "국역 율곡전서 Ⅳ․Ⅵ․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12 지현주, "『주자가례』에서 가인(家人)의 위(位)를 통해 본 제자리 양상과 그 윤리적 성격 -통례(通禮)의 ‘정지삭망즉참(正至朔望卽參)’을 중심으로-" 한국윤리교육학회 (33) : 271-289, 2014

      13 박례경,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한국국학진흥원 (16) : 107-138, 2010

      14 정출헌, "『小學』을 통해 읽는 유교문명의 완성과 해체 - 『小學集註』, 『海東續小學』, 그리고 『小學讀本』을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3 : 297-326, 2016

      15 임영란, "「擊蒙要訣」 초간본과 현전본에 관한 서지적 연구" 한국서지학회 (54) : 259-293, 2013

      16 정호훈, "16세기 말 栗谷 李珥의 敎育論-{擊蒙要訣} {學校模範}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5 : 1-38,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6-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율곡사상연구 -> 율곡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ULGOK-STUDIES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7 1.66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