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도에 대한 소고(小考) -중세, 근세, 근대 그리고 전후를 중심으로- = Look Over on Dokdo : Focus on Middle Ages, Modern Ages, and the Post-War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491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세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일관계 속에서 독도가 어떻게 다뤄졌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그간 한일양국은 독도에 대해 견해 차이를 좁히기 위해 끊임없이 대와 증거...

      본 논문은 중세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일관계 속에서 독도가 어떻게 다뤄졌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그간 한일양국은 독도에 대해 견해 차이를 좁히기 위해 끊임없이 대와 증거를 통해 독도영유권을 주장해오고 있다. 그 결과 한국정부는 한일 간에 영토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하지만 일본정부는 독도가 일본의 고유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3월 초 일본외무성은 홈페이지에 지금까지 한국에 대해 사용해오던 ‘기본적인 가치를 공유하는’이라는 내용을 삭제했다. 이는 독도를 비롯해 관련 對韓 외교정책이 일본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의 표시이었다. 하지만 독도는 전후 한국이 영토주권을 행사해오고 있으며 더 나아가 많은 일본인들도 독도를 관광하기 위해 다녀갔다. 이 논문이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은 한일양국이 독도에 대해 양국의 견해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해 나아가기 위한 대화의 단초제공이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한일양국이 ‘기본적인가치’를 공유하는 데서부터 가능하리라 생각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how Dokdo has been dealt with in Korean-Japanese relations since the Middle Ages. Both Korea and Japan have continuously communicated to narrow down conflicting views on Dokdo. The Korean government argues that there is no territor...

      This paper analyzes how Dokdo has been dealt with in Korean-Japanese relations since the Middle Ages. Both Korea and Japan have continuously communicated to narrow down conflicting views on Dokdo. The Korean government argues that there is no territorial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maintains that Dokdo is Japan’s indigenous territory. Moreover, in early March,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site deleted the phrase ‘sharing basic beliefs,’ which referred to Korea. This was a sign of dissatisfaction on Japan’s diplomatic policies towards Korea. However, it is clear that Korea has been exerting sovereign authority over Dokdo since the end of WWII, and many Japanese have visited Dokdo for tours. Overal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basis for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Dokdo. This paper argues that this will be possible through ‘sharing basic beliefs’ between Korea and Japa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