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石棺을 통해 본 북방 장례문화와 텡그리즘 -고려와 요의 관계를 중심으로- = Northern funeral culture and Tengrism based on the Goryeo sarcophagu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Liao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31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고려 11~12세기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장골용구인 石棺에 주목하여 고려와요나라의 장례문화와 전통적인 하늘신앙이 장의미술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살펴본다. 석관은 ...

      이 논문에서는 고려 11~12세기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장골용구인 石棺에 주목하여 고려와요나라의 장례문화와 전통적인 하늘신앙이 장의미술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살펴본다. 석관은 곱게다듬은 6개의 돌판을 조립하여 만든다. 이 석관은 귀족들의 전유물로 표면에 四神圖, 연꽃, 비천등 다양한 문양을 장식하여 호화롭게 꾸몄다.
      석관은 고려와 요에서 이중장(複葬)과 불교식 火葬문화가 공통적으로 성행하던 시기인 11세기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사신도가 표현된 석관은 이미 북조시대부터 장례용구로 사용되었고, 요대에 몽골, 랴오닝성, 허베이성 등의 북방지역에서 다수 출토되어 이 시기에 유행했다는것을 알 수 있다. 고려 석관이 요대 석관의 영향을 직접 받았다는 사실은 석관의 조립방법과 사신도, 십이지 등의 표현법과 다양한 문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석관 가운데 상판(天板)에 선각된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는 고려시대 능묘의 내부에서나 볼 수 있는 소우주를 표현하고자 했던 의도를 보여준다. 고려와 요에서는 석관이 유행했던 시기에 특별히 동서양의 천문학적 지식이 반영한 천문도가 능묘의 천장벽화로 그려졌다. 그리고 천문도가 그려진 공간인 天空은 푸른 색으로 채색되었다. 북방문화권에서 하늘은 고대부터 신앙의 대상이었다. 샤머니즘 세계관에서 하늘은 ‘태초의 우주이자 푸른색을 지닌 하늘’로 인식되었다. 하늘은 생명이 잉태되고 돌아가는 곳이기도 한 근원적인 공간으로 북방문화권 사람들의 정신세계에깊이 내재되어 있다. 당시 사람들은 이러한 하늘에 대한 관념 혹은 인식을 망자의 공간인 무덤 속천장에 구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허베이성 宣化 下八里 요대의 능묘 천장 벽화에 보이는 하늘은대부분 푸른색으로 채색되어 있으며, 천장의 중앙에 활짝 핀 연꽃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북방유목민족의 전통적인 하늘숭배신앙인 텡그리즘과 통치이념으로 삼았던 불교신앙이 혼재한 양상으로 이해된다. 결과적으로 새로운 탄생, 재생이라는 의미를 지닌 연꽃은 죽은 후 하늘로 돌아간다는 북방민족의 내세신앙을 보완해준다고도 할 수 있다. 고려 석관에 표현된 연꽃과 별자리문양은 11~12세기 북방문화권에서 보여주었던 하늘에 대한 신앙과 내세관을 함축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uneral culture and traditional belief in the sky deity of the Goryeo and Liao dynasties were projected into the funeral art, focusing on the sarcophagus, an ossuary tool popular among nobles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uneral culture and traditional belief in the sky deity of the Goryeo and Liao dynasties were projected into the funeral art, focusing on the sarcophagus, an ossuary tool popular among nobles in the 11th and 12th centuries of the Goryeo Dynasty. The casket was made by assembling six finely polished stone plates.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nobility, this stone coffin had the surface richly decorated with diverse patterns such as the four deities, lotus flowers, and heavenly maids.
      The sarcophagus appeared in earnest around the 11th century when the dual burial service and Buddhist cremation cultures became common in Goryeo and Liao.
      The four-god coffin had been used as a funeral tool since the Northern Dynasty of China. It was popular during the Liao Dynasty as many were excavated from northern regions such as Mongolia, Liaoning, and Hebei. The fact that Liao’s sarcophagus directly influenced Goryeo’s can be confirmed by the assembly method of the stone coffin,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four deities and the Chinese zodiac, and other various patterns.
      The Big Dipper and Cassiopeia on the top of the Goryeo sarcophagus indicate the intention to express the microcosm that can only be seen inside the tombs of the Goryeo Dynasty. When the casket was famous in Goryeo and Liao, the astronomical diagram based on the knowledge of the Eastern and Western astronomy was specially painted on the ceiling murals of the tombs. Also, the sky was painted blue in the space where the astronomical chart was drawn. In the northern culture, the sky has been an object of religious belief since ancient times. In the shamanistic world view, the sky was considered ‘the beginning universe and the blue sky.’ The sky was a fundamental space where life was conceived and returned. Thus, it was deeply embedded in the spiritual world of people from northern cultures. People of that time attempted to embody this notion or perception of the sky on the tomb’s ceiling as the space of the dead. The sky on the tomb ceiling murals of the Liao Dynasty in Shafari Village, Shenhua District, Hebei Province, was primarily painted blue with a lotus flower in full bloom in the center of the ceiling.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mixed aspect of Tengrism, the traditional sky worship religion of the northern nomadic peoples, and Buddhism, the ruling ideology. As a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lotus flower, which meant new birth and rebirth, complemented the northern people’s belief in the afterlife that they would return to heaven after deat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lotus flower and constellation patterns expressed on the Goryeo sarcophagus implied the religious belief in the sky and the view of the afterlife that was shown in the northern cultur es of the 11th and 12th cen tu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정, "튀르크족의 기록에 나타난 ‘텡그리(Tengri)'의 의미" 한국중동학회 28 (28): 387-406, 2007

      2 김근식, "텡그리 문화 콘텍스트에 내재된 유라시아 에포스의 생명력-명창으로서의 샤먼의 역할과 시간-"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5 (35): 57-76, 2020

      3 박영은, "카자흐스탄 최초의 무성영화 <켈린>에 재현된 고대 튀르크 전통과 텡그리(Tengri) 신앙" 한국영화학회 (53) : 89-113, 2012

      4 김광선, "중앙아 텡그리즘과 한민족 고대사상 : 게세르 신화와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10 : 2021

      5 이승혜, "중국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시각문화: 당(唐)과 요(遼)의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57 : 283-316, 2018

      6 김진순, "죽음을 노래하다" 예술의 전당 2017

      7 김일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즈윈 2008

      8 박원길, "북방민족의 장례습속에 대하여-툴레시(Tüleshi)祭를 중심으로-" (5) : 1998

      9 이청천, "미술을 통해 본 중국사" 중국사학회 2004

      10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1 김효정, "튀르크족의 기록에 나타난 ‘텡그리(Tengri)'의 의미" 한국중동학회 28 (28): 387-406, 2007

      2 김근식, "텡그리 문화 콘텍스트에 내재된 유라시아 에포스의 생명력-명창으로서의 샤먼의 역할과 시간-"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5 (35): 57-76, 2020

      3 박영은, "카자흐스탄 최초의 무성영화 <켈린>에 재현된 고대 튀르크 전통과 텡그리(Tengri) 신앙" 한국영화학회 (53) : 89-113, 2012

      4 김광선, "중앙아 텡그리즘과 한민족 고대사상 : 게세르 신화와 단군신화를 중심으로" 10 : 2021

      5 이승혜, "중국 묘장 다라니(墓葬 陀羅尼)의 시각문화: 당(唐)과 요(遼)의 사례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회 57 : 283-316, 2018

      6 김진순, "죽음을 노래하다" 예술의 전당 2017

      7 김일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즈윈 2008

      8 박원길, "북방민족의 장례습속에 대하여-툴레시(Tüleshi)祭를 중심으로-" (5) : 1998

      9 이청천, "미술을 통해 본 중국사" 중국사학회 2004

      10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예문서원 2007

      11 "다시보는 역사 편지 高麗墓誌銘" 국립중앙박물관 2006

      12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13 최인선, "광양 옥룡사 선각국사 도선의 부도전지와 석관" 6·7 : 1997

      14 성석, "고려와 조선 초기 고분벽화에 보이는 십이지도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15 박진훈, "고려시대 관인층의 빈소 설치장소와 그 변화상" 고려사학회 (62) : 7-38, 2016

      16 박진훈, "고려시대 官人層의 임종 장소와 그 변화상에 대한 고찰" 국학연구원 (172) : 67-93, 2015

      17 "고려사"

      18 "고려도경"

      19 정길자, "고려귀족의 조립식석관과 그 선각화 연구" 108 : 1985

      20 박진훈, "고려 사람들의 죽음과 장례―官人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35) : 141-176, 2006

      21 문상련, "고려 묘지명을 통해 본 불교 상장례(喪葬禮)" 보조사상연구원 (56) : 147-178, 2020

      22 성석, "고려 고분벽화 십이지 도상의 재해석" 한국미술사학회 297 (297): 37-62, 2018

      23 김일권,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 한국고대사학회·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24 김일권, "고구려 천문 문화와 그 역사적 계승-고려시대 능묘천문도와 벽화무덤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23 : 61-110, 2006

      25 김일권, "고구려 천문 문화와 그 역사적 계승 : 고려시대의 능묘천문도와 벽화무덤을 중심으로" 22 : 2006

      26 김일권,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고구려 하늘에 새긴 천공의 유토피아)" 사계절 2008

      27 김일권, "고구려 덕화리 1, 2호분의 소우주 구조와 기명 28수 성좌도 역사" 2009

      28 藤原崇人, "거란 불교사 연구" 씨아이알 2020

      29 張鵬, "遼墓壁畵硏究" 人民美術出版社 2008

      30 張國慶, "遼代契丹喪葬文化考述" (5) : 1994

      31 羅世平, "遼代 墓室壁畵의 발굴과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19 : 2004

      32 李亭霖, "辽朝契丹族丧葬习俗研究" 36 (36): 2015

      33 张赘鼓, "辽朝契丹族丧葬习俗探析" 2016

      34 陈金梅, "辽宁北票坤头波罗村发现一辽代石棺" (2) : 2003

      35 林栋, "辽代墓棺初探" 41 (41): 2020

      36 夏鼐, "總宣化遼墓的星圖論二十八宿和黃道十二宮" (2) : 1976

      37 宿白, "白沙宋墓" 文物出版社 2002

      38 赵本钧, "浅析“宣化辽墓星象图”— 论中西文化的汇通与融合" 2011

      39 孙继艳, "沈阳市出土的辽代石棺" 2011

      40 "朝鮮古蹟圖譜 7"

      41 鄭紹宗, "宣化遼壁畫墓彩繪星圖之硏究" (2) : 1996

      42 河北省文物硏究所, "宣化遼墓壁畫" 文物出版社 2001

      43 河北城文物硏究所, "宣化遼墓壁畫" 文物出版社 1989

      44 李淸泉, "宣化遼墓 : 墓藏藝術與遼代社會" 文物出版社 2008

      45 李 淸 泉, "宣化遼代壁畵墓中的時間與空間問題" 중국사학회 (34) : 77-106, 2005

      46 鄭軼, "宣化下八里遼墓彩繪星象圖硏究" 蘇州大學 2011

      47 廖奔, "宋金元仿木結構 磚雕墓及其樂舞裝飾" 2000

      48 刘未, "宋代的石藏葬制" (6) : 2009

      49 盖之庸 編著, "内蒙古辽代石刻文研究" 內蒙古大學出版社 2002

      50 Christina Han, "Cremation and Body Burning in Five Dynasties China" (55) : 2012

      51 "900년 전 이방인의 코리아 방문기" 경기도박물관 2018

      52 지민경, "10~14세기 동북아 벽화고분 예술의 전개와 고려 벽화고분의 의의" 미술사연구회 (25) : 67-107,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 1.3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