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宣和奉使高麗圖經의 螺鈿鞍裝에 관한 試論 = A Study on the Mother-of-Pearl Inlaid Saddle in the Xuanhe fengshi gaoli tuj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8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avalry Horse,” the Vol. 5 of Xu Jing’s Xuanhe fengshi gaoli tujing (Xuanhe Commissioner’s Illustrated Account of Goryeo, 1123), a “mother- of-pearl inlaid saddle” is mentioned. Although this record has been widely known, ...

      In “Cavalry Horse,” the Vol. 5 of Xu Jing’s Xuanhe fengshi gaoli tujing (Xuanhe Commissioner’s Illustrated Account of Goryeo, 1123), a “mother- of-pearl inlaid saddle” is mentioned. Although this record has been widely known, there are no reported examples of such relics and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addle described in the book. Mother-of-pearl inlaid saddles were produced by saddlers who belonged to Sangseungguk and Taeboksi, two royal bureaus in charge of palanquins, equine items, and ranches, in collaboration with the court artisans responsible for mother-of-pearl inlaying and lacquering from the office of Jungsangseo (Royal Bureau of Tableware and Valuables).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Khitan artisans took part in the making. This saddle would have consisted of a seat, a semicircular upright pommel, and a cantle inclined toward the rear of the horse. The structure, composition, and basic form of saddlery optimized for functionality were shared by many regions in East Asia, while the decoration reflected the distinct tastes of respective eras and regions. Saddles inlaid with mother- of-pearl were unique to the Goryeo Dynasty and no comparable counterparts are found even in Song, Liao, or Yuan China. It is presumed that the saddletree was made of wood and the front of the pommel and the back of the cantle were each decorated with mother-of-pearl. The saddle was most likely inlaid with elaborate small flow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lacquerware. There are extant examples of mother-of-pearl inlaid saddles from the Joseon era, which are believed to have carried on the tradition started in the Goryeo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긍의 宣和奉使高麗圖經(1123) 卷15 騎兵馬 항목에는 ‘螺鈿爲鞍’, 즉 ‘나전으로 장식된 안 장’이 언급되어 있다. 기록은 널리 알려졌지만, 현존 유물은 보고된 예가 없고 관련 연구도 ...

      서긍의 宣和奉使高麗圖經(1123) 卷15 騎兵馬 항목에는 ‘螺鈿爲鞍’, 즉 ‘나전으로 장식된 안 장’이 언급되어 있다. 기록은 널리 알려졌지만, 현존 유물은 보고된 예가 없고 관련 연구도 부재하 여 검토가 필요하다. 고려의 나전안장은 尙乘局과 太僕寺에 소속된 마구 장인과 中尙署에 소속된螺鈿匠과 漆匠이 협업하여 제작했으며, 거란 장인이 참여했을 가능성도 있다. 안장은 사람이 앉는 부분과 반원형의 직립한 앞가리개 그리고 말의 뒤쪽을 향해 기울어진 뒷가리개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기능이 최적화된 마구의 구조와 구성, 기본적인 형태는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공유했던 반면, 장식은 시대와 지역마다 뚜렷한 취향이 반영되었다. 고려의 나전안장은 중국의 송과 요, 원대에는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며, 바탕 재료는 나무로 만들고 전교의 앞면과 후교의 뒷면에 나전이 장식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나전칠기의 고유한 특색을 떠올리면, 안장에는 작은 단위의 문양으로 구성된 섬세한 화문이 표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나전안장은 조선 시대 유물로 전하고 있어, 고려의전통이 계승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중앙박물관,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2010

      2 徐兢,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풍경-고려도경" 황소자리 2005

      3 신숙, "전통 공예기법의 단절과 계승: 평문과 평탈, 그리고 나전" 국립무형유산원 (6) : 55-73, 2019

      4 최국희, "원대 말안장鞍裝 장식을 통해 본 몽골의 주체성" 인문과학연구소 (34) : 311-344, 2022

      5 남도영, "상승국에 대하여 : 鮮初의 內司僕寺 兼司僕 성립에 대한 일고"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9 : 1966

      6 강현숙,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원 53 (53): 106-125, 2020

      7 호암갤러리, "대고려국보전, 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1)" 삼성문화재단 1995

      8 국립중앙박물관,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 2018

      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0 "국립중앙박물관"

      1 국립중앙박물관,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2010

      2 徐兢, "중국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고려풍경-고려도경" 황소자리 2005

      3 신숙, "전통 공예기법의 단절과 계승: 평문과 평탈, 그리고 나전" 국립무형유산원 (6) : 55-73, 2019

      4 최국희, "원대 말안장鞍裝 장식을 통해 본 몽골의 주체성" 인문과학연구소 (34) : 311-344, 2022

      5 남도영, "상승국에 대하여 : 鮮初의 內司僕寺 兼司僕 성립에 대한 일고"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9 : 1966

      6 강현숙,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국립문화재연구원 53 (53): 106-125, 2020

      7 호암갤러리, "대고려국보전, 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1)" 삼성문화재단 1995

      8 국립중앙박물관,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 2018

      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0 "국립중앙박물관"

      11 "국립민속박물관"

      12 임형수, "고려후기 內乘의 설치와 운영" 고려사학회 (70) : 219-246, 2018

      13 김은정, "고려시대 나전칠기의 문양 및 제작기법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0 : 2013

      14 최영숙, "고려시대 나전칠기 연구" 미술사연구회 15 : 2001

      15 최몽룡, "고려도경에 보이는 기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 : 63-73, 1985

      16 허선영, "고려 전기 분묘 출토 청동용기의 등장과 전개" 한국중세고고학회 (5) : 125-159, 2019

      17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계림로 14호묘" 2010

      18 국립문화재연구소, "高麗圖經: 숨은 그림 찾기" 2019

      19 신숙, "高麗圖經: 숨은 그림 찾기"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20 "高麗史"

      21 김연수, "高麗 墳墓 出土 金屬工藝 分析 試考" 중부고고학회 6 : 2007

      22 內蒙古自治区文物考古研究所, "辽陈国公主墓" 文物出版社 1993

      23 干建設, "赤峰金銀器" 遠方出版社 2006

      24 宿 白, "白沙宋墓" 文物出版社 2002

      25 "朝鮮王朝實錄"

      26 "日本 東京國立博物館"

      27 배규범, "徐兢(1091-1153)의"高麗圖經"刊行과 내용상 특징" 동방비교연구회 6 : 2016

      28 盖之庸, "寶山墓壁畫墓發掘紀實" 中國文物報社 (7) : 1996

      29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30 河北省文物硏究所, "宣化遼墓壁畫" 文物出版社 2001

      31 河北省文物硏究所, "宣化遼墓 上下" 文物出版社 2001

      32 "宋史"

      33 中國歷史博物館, "契丹王朝, 內蒙古遼代文物精華" 中國藏學出版社 2002

      34 국립경주박물관, "天馬, 다시 날다" 2014

      35 최응천, "『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시대 공예의 양상과 특징" 한국중세사학회 (55) : 141-174, 2018

      36 孙旭, "『宣和奉使高丽图经』的作者 版本及史料价值" (6) : 2013

      37 孙希国, "『宣和奉使高丽图经』作者徐兢生平考" (3) : 2012

      38 장남원,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의 기명류(器皿類) 연구" 호서사학회 (70) : 165-203, 2014

      39 김성규, "‘선화봉사고려사절단’의 일정과 활동에 대하여" 한국중세사학회 (40) : 209-246, 2014

      40 박영만 ; 김태하 ; 고수린, "<고려 나전칠기> 제작에 사용된 목공기술과 자개의 해부학적 특징에 대한 기초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25 : 27-34, 2021

      41 경기도박물관, "900년 전 이방인의 코리아 방문기, 高麗圖經"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