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제국기 훈장제도 연구 = A Study on the Orders System in Daehan Emp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29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전근대적인 영전제도인 공신의 책봉을 실시하여 국가와 왕실에 큰 공을 세운 자에게 공신의 칭호, 토지, 노비 그리고 세습에 이르는 다양한 특권을 주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전근대적인 영전제도인 공신의 책봉을 실시하여 국가와 왕실에 큰 공을 세운 자에게 공신의 칭호, 토지, 노비 그리고 세습에 이르는 다양한 특권을 주었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러 국가구조의 변화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영전제도를 필요로 하게 되었고, 갑오개혁 이후 만국공통의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훈장이라는 새로운 영전제도로 관료와 군사를 표창하고자 하였다.
      훈장은 국가에 대한 공적이 있는 사람을 국가가 선발하여 통수권자가 그 훈공을 치하하기 위해 만들어진 근대적 영전제도이다. 훈장제도의 시초는 대한제국 수립 이후인 1899년 7월 훈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表勳院官制의 공포와 1900년 4월 勳章條例의 공포로부터 비롯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훈장조례가 공포되기까지 이미 훈장에 관한 여러 차례의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그러한 논의는 당시 일본과 러시아 양국의 관계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대한제국 훈장은 서양과 일본의 훈장제도에 비해 창설 과정의 역사가 비록 짧은 편이나 근대적 영전제도와 대외관계에 사용되는 표장을 마련하여 국가의 위상을 갖추고자 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그 도입과 정착 과정이 러일관계의 변화에 의존하여 수차례 혼란을 겪었으며, 한일병합의 전후로는 친일 인사와 조약에 관련된 일본인들의 공로를 치하하는 도구로 전락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경국, "이야기 러시아사" 청아출판사 2006

      3 벨라 보리소브나 박,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 동북아역사재단 2020

      4 서인한, "대한제국의 군사제도" 혜안 2000

      5 이강칠,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白山出版社 1999

      6 서영희,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7 이강칠, "갑오개혁이후의 훈장제도에 대하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 : 3-13, 1970

      8 朴天植, "高麗時代의 功臣類型과 太祖功臣" 全北大學校全羅文化硏究所 2 : 1998

      9 金光洙, "高麗 太祖의 三韓功臣" 檀國史學會 7 : 1973

      10 "高宗實錄 권40"

      1 목수현, "한국 근대 전환기 국가 시각 상징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 김경국, "이야기 러시아사" 청아출판사 2006

      3 벨라 보리소브나 박, "러시아 외교관 베베르와 조선" 동북아역사재단 2020

      4 서인한, "대한제국의 군사제도" 혜안 2000

      5 이강칠, "대한제국시대 훈장제도" 白山出版社 1999

      6 서영희,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7 이강칠, "갑오개혁이후의 훈장제도에 대하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 : 3-13, 1970

      8 朴天植, "高麗時代의 功臣類型과 太祖功臣" 全北大學校全羅文化硏究所 2 : 1998

      9 金光洙, "高麗 太祖의 三韓功臣" 檀國史學會 7 : 1973

      10 "高宗實錄 권40"

      11 "高宗實錄 권39"

      12 "高宗實錄 권32"

      13 "駐韓日本公使館記錄 제13권"

      14 "駐韓日本公使館記錄 제12권"

      15 "韓末近代法令資料集 Ⅳ"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1

      16 "韓末近代法令資料集 Ⅲ"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1

      17 "韓末近代法令資料集 Ⅱ"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1

      18 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 "韓國古文書精選6~功臣敎書ㆍ錄券ㆍ會盟錄ㆍ賜牌" 韓國學中央硏究院出版部 2015

      19 "軍部來去文"

      20 佐藤正紀, "賞勳と褒章" 內閣府賞勳局 2014

      21 "表勳院來去文"

      22 平井希昌, "萬國勳章略誌" 受德堂 1893

      23 "舊韓國勳章圖 한貴古朝32-3"

      24 韓國學文獻硏究所, "法規類編 貳卷" 亞細亞文化社 1982

      25 韓國學中央硏究院藏書閣, "朝鮮의 功臣" 韓國學中央硏究院出版部 2012

      26 "御署名原本․勅令第三百三十四號, 舊韓國勳章及記章ノ佩用ニ關スル件"

      27 "御署名原本 大日本帝國憲法"

      28 "寶印符信總數"

      29 "宮內府案 7권"

      30 周藤吉之, "宋ㆍ高麗制度史硏究" 汲古書院 1992

      31 "太政類典 第二編第十四卷, 官制一ㆍ文官職制"

      32 "太政類典 第二編拾九, 賞典恩典一"

      33 "太政官․內閣關係 第一類, 公文附屬の圖․一五九號賞牌勳記案"

      34 강다영, "大韓帝國期 후기 任命文書의 변화"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9 (19): 99-128, 2020

      35 "外部表勳院來去文"

      36 "各部請議書存案"

      37 "勳記"

      38 栗原俊, "勳章知られざる素顔" 岩波新書 2011

      39 "勅令第209號 賞勳局官制ヲ定ム"

      40 "勅令第117號 賞勳局会議規定"

      41 "公文類聚 第三十六編, 元韓國勳章記章受領及佩用出願期限"

      42 "公文附屬の圖 四四號, 賞牌ㆍ從軍牌佩用式並圖一冊"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