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판소리에 나타난 聖과 俗의 統攝 양상과 의미 -<춘향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and its Meaning of Pansori Literautre in Late Choson Dynasty -Focusing on “Chunhyang-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274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ed and profane appeared in Pansori literature in the late Choso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it is close to a theory that focuses on the “Hwangneung-myo” section of "Chunhyang...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ed and profane appeared in Pansori literature in the late Choso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it is close to a theory that focuses on the “Hwangneung-myo” section of "Chunhyangjeon"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the unity of the sacred and profane, and to apply the results of exploring its meaning to the entire pansori literature.
      In the early version of “Chunhyang-jeon”, the profane problem is solv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acred by arranging Tae-mong and Paekyung-mong, but it does not secure enough narrative logic for the love between Chunhyang and Lee Mong-ryong. It seems that a new scene was created in Okjun-ga or Mongjun-ga because it was not enough to draw out the manifestation of the sacred itself, and the scene was the section of the Hwangneung-myo.
      The section of the Hwangneung-myo in “Yeolnyeo Chunhyang sujeol ga” provides a transcendent basis for Chunhyang's resistance to death through Ibi, Nongok, Wangso-gun, Nongae, Nongae, Nongae, Wolseon, and Cheok-buin. Based on the domain of the sacred, the norm of profane is linked to the act of Chunhyang, and by doing so, Chunhyang’s act is reborn as a realistic behavior that has secured a transcendental basis. Through this short scene, the area of the sacred, which did not function much in "Chunhyang-jeon," becomes fully established, and by functioning to support profane, the composition of the sacred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in “Shin Jae-hyo Namchang Chunhyang-ga”, the main section of the Hwangneung-myo is replaced with the “Chunjangjeon section” to change th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In the Cheonjangjeon section, Chunhyang explains that she will meet Lee Mong-ryong, break up, go through all kinds of hardships, and form a love with Lee Mong-ryong again, and Chunhyang is already set by her previous life. In “Shin Jae-hyo Namchang Chunhyang-ga”, the part of the Hwangneung-myo was replaced with the section of the Cheonjangjeon, and the sacred world which intervened in the existing <Chunhyangjeon> was also adjusted, weaving the narrative logic of the sacred. In other words, it is being evangelized by the intervention of profane by sacred. As a way to solve the same realistic deficiency, the consensus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was attempted, and the opposite views of the people of the time were seen to logically resolve the conflict prescribed in “Chunhyang-jeon” at both extrem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ed and profane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pansori literature. The composition of sacred and profane is found not only in “Chunhyang-jeon”, but also in “Simcheong-jeon” and “Heungbu-jeon”. “Tokki-jeon” or “Jangki-jeon” borrows the form of fable and shows the refracted form of sacred and profane, and “Byeongangsoe-ga” and “Jukbeuk-ga” reveal the pattern of conflict between sacred and profane. “Baebijang-jeon”, “Gangneung Maehwa-Taryeong” and “Gajjashinsun-taryeong” make the sacred world a ‘fake,’ and in “Musuki-taryeong”, even these fake sacred are replaced by deception and disguise. Pansori literature mix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ed and profane in one way or another, functioning as a kind of ‘field of experimentation’ that contained the unity of sacred and profane, or vice versa, and the conflict between sacred and profane, and the refraction of sacred and profane. By doing so, it was possible to portray various aspects of life in a specific era called the late Choson Dynasty. Although the experiment was not concluded by consciously denying the world of sacred by the Western modern logic that was forcibly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ubstance of pansori literature can be found in this incomplete con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춘향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조선후기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聖과 俗의 관계에 주목했다. <춘향전>의 ‘黃陵廟’ 대목에 주목하여 聖과 俗의 統攝 양상을 파악하고 ...

      본고에서는 <춘향전>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조선후기 판소리 문학에 나타난 聖과 俗의 관계에 주목했다. <춘향전>의 ‘黃陵廟’ 대목에 주목하여 聖과 俗의 統攝 양상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탐색한 결과를 판소리 전반에 적용시켜보자는 試論에 가까운 글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춘향전>에서는 胎夢과 破鏡夢을 삽화로 배치함으로써 聖의 개입을 통해 俗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춘향과 이몽룡이 맺어질 수 있는 내적 논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 태몽과 파경몽만으로는 聖의 현현을 이끌어내기에 부족했기 때문에 옥중가 또는 몽중가에서 새로운 장면을 짜서 넣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 장면이 바로 황릉묘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의 황릉묘 대목에서는 춘향이 만나는 二妃, 弄玉, 王昭君, 論介, 月仙, 戚夫人 등을 통해 죽음을 무릅쓴 춘향의 항거에 초월적 근거를 제공한다. 聖의 영역을 근거로 俗의 규범을 춘향의 행위와 연결시키고, 그럼으로써 춘향의 행위는 초월적 근거를 확보한 현실적인 행동 양태로 거듭나게 된다. 이 짧은 대목을 통해 <춘향전>에서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했던 聖의 영역이 온전히 자기 자리를 잡게 되며, 俗을 뒤받쳐주는 기능을 함으로써 俗이 聖을 통섭하는 구도를 완성시킨다.
      한편, <신재효 남창 춘향가>에서는 황릉묘 대목을 ‘天障殿 대목’으로 대체함으로써 聖과 俗의 통섭 양상을 전환시킨다. 천장전 대목에서는 춘향이 이몽룡을 만나 이별을 하고 온갖 고난을 겪은 후 다시 이몽룡과 부부의 연을 맺을 것을 天命으로 설명하며, 춘향은 이미 전생에서부터 정해진 천명에 의한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신재효 남창 춘향가>에서는 황릉묘 대목을 천장전 대목으로 대체하고 기존의 <춘향전>에 개입했던 聖의 세계 또한 조정하면서 聖에 의한 俗의 서사논리를 직조한다. 즉, 聖에 의한 俗의 통섭으로 전도시키고 있는 것이다. 동일한 현실적 결핍을 해결하기 위한 방도로 聖과 俗의 통섭이 시도되었고 그 방향성이 보여주는 양 극단에서 <춘향전>에 노정된 갈등을 논리적으로 해소하고자 했던 당대 향유층의 상반된 시각을 엿볼 수 있다.
      聖과 俗의 관계는 여타 판소리 문학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俗이 聖을 통섭하는 구도는 <춘향전>뿐 아니라 <심청전>과 <흥부전>에서도 발견된다. <토끼전>이나 <장끼전>은 ‘우화’의 형식을 빌려 聖과 俗이 굴절된 형태를 보여주며, <변강쇠가>나 <적벽가>에서는 聖과 俗의 갈등양상이 드러난다. <배비장전>, <강릉매화타령>, <가짜신선타령>은 聖의 세계를 ‘가짜’로 만들어버리며, <무숙이타령>에서는 이런 가짜 聖마저 속임수와 변장으로 대체된다. 판소리 문학은 聖과 俗의 관계를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뒤섞으면서 聖에 의한 俗의 통섭, 俗에 의한 聖의 통섭, 聖과 俗의 갈등, 聖과 俗의 굴절 등을 담아냈던 일종의 ‘실험의 장’으로 기능했다. 그럼으로써 조선후기라는 특정한 시대의 다양한 삶의 양태를 그려낼 수 있었던 것이다. 20세기에 외부에서 강제로 유입된 서구적 근대 논리에 의해 聖의 세계를 의식적으로 부정당함으로써 그 실험의 결론을 내지 못했지만, 오히려 미완의 결론 속에서 판소리 문학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류성민, "희생제의와 폭력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성서종교 전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1

      2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472, 1977

      3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1-339, 1981

      4 이상택, "한국 고전소설의 이론 1" 새문사 1-269, 2003

      5 서유석, "판소리에서의 도덕적 규범과 윤리적 선택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56) : 35-64, 2020

      6 최혜진, "판소리계 소설의 골계적 기반과 서사적 전개 양상"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흥규, "판소리 및 판소리계 소설의 세계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 : 1-18, 1983

      8 김석배, "춘향전의 옥중가 연구" 문학과 언어연구회 13 : 125-146, 1992

      9 설성경, "춘향전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부 1-350, 2001

      10 김복희, "춘향전의 다층적 주제" 이화어문학회 7 : 133-155, 1984

      1 류성민, "희생제의와 폭력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성서종교 전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1

      2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472, 1977

      3 성현경,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1-339, 1981

      4 이상택, "한국 고전소설의 이론 1" 새문사 1-269, 2003

      5 서유석, "판소리에서의 도덕적 규범과 윤리적 선택의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56) : 35-64, 2020

      6 최혜진, "판소리계 소설의 골계적 기반과 서사적 전개 양상"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7 김흥규, "판소리 및 판소리계 소설의 세계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7 : 1-18, 1983

      8 김석배, "춘향전의 옥중가 연구" 문학과 언어연구회 13 : 125-146, 1992

      9 설성경, "춘향전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부 1-350, 2001

      10 김복희, "춘향전의 다층적 주제" 이화어문학회 7 : 133-155, 1984

      11 김진영, "춘향전 전집 4" 박이정 297-377, 1997

      12 김진영, "춘향전 전집 3" 박이정 181-246, 1997

      13 김진영, "춘향전 전집 1" 박이정 11-51, 1997

      14 김진영, "춘향전 전집 1" 박이정 93-175, 1997

      15 김병국, "춘향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서광학술자료사 1-491, 1993

      16 오세영, "춘향의 성격 변화" 국어국문학회 70 : 103-126, 1976

      17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473, 1993

      18 김선정, "적강형 영웅소설 연구-<유충렬전>, <유문성전>, <김진옥전>, <소대성전>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 : 145-157, 1990

      19 조너선 스미스, "자리 잡기 : 의례 내의 이론을 찾아서" 이학사 1-282, 2009

      20 신호림, "심청전의 계열과 주제적 변주" 고려대학교 2016

      21 김석배, "심청가 결말부의 지평전환 연구" 판소리학회 (29) : 61-96, 2010

      22 정병헌, "신재효 판소리 사설의 연구" 평민사 1-178, 1986

      23 게오르크 루카치, "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1-277, 2007

      24 M 엘리아데, "성과 속" 한길사 1-237, 1998

      25 김상준, "맹자의 땀 성왕의 피 : 중층근대와 동아시아 유교문명" 아카넷 1-643, 2011

      26 정충권, "獄中 春香의 內面" 판소리학회 (27) : 387-412, 2009

      27 김영호, "〈춘향전〉 '황릉묘 장면'의 반어적 구조와 전승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28 신호림, "≪토끼전≫의 구조적 특징과 주제 구현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9 신호림, "<흥부전>에 나타난 聖과 俗의 統攝 양상과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39) : 51-85, 2017

      30 이해진, "<춘향전>의 옥중 꿈 대목의 정서와 그 배경적 사유체계 - 완판 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를 대상으로" 한국고소설학회 (40) : 203-228, 2015

      31 서보영, "<춘향전> 이본 파생에서 ‘옥중 꿈’의 양상과 역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0) : 209-241, 2015

      32 천이두, "<춘향가>의 ‘몽중가’ 소고-"심청가"의 ‘소상팔경 지나갈 제’와 관련하여-" 판소리학회 8 : 7-16, 1997

      33 전신재, "<춘향가>와 죽음의 미학" 한국구비문학회 (17) : 503-530, 2003

      34 서유경, "<춘향가> 중 ‘몽중가’의 소통적 특성과 기능" 판소리학회 9 : 301-324, 1998

      35 신호림, "<변강쇠가>에 나타난 욕망과 규범 사이의 긴장과 그 처리 방식" 판소리학회 (45) : 265-291, 2018

      36 이태화, "<남창 춘향가>의 성격과 옥중가의 전승 양상" 판소리학회 (39) : 261-29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