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송연의>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Military Narratives in <Buksongyeonui(北宋演義)> and Korean Classical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56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Chinese novel <Bei Song Zhi zhuan(北宋志傳)> and its Korean translation <Buksongyeonui(北宋演義)> was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th...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Chinese novel <Bei Song Zhi zhuan(北宋志傳)> and its Korean translation <Buksongyeonui(北宋演義)> was to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ilitary narratives of the Korean classic novels through a detailed comparative review.
      In Chapter 2, we review the records related to the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ei Song Zhi zhuan> and <Buksongyeonui>,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this novels may have been widely known among the literate of Joseon. In addition, it reconfirmed the influence it had on the creation of <Sohyeonseongnok(蘇賢聖錄)>, which had already been raised in previous studies.
      In Chapter 3, we compares and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ilitary narratives in <Buksongyeonui> and the Korean classic novel. As a result, <Buksongyeonui>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novels in the point of embodying the division of "Hwai(華夷)" and confrontation with foreign enemies based on hostility to foreign enemies and a sense of national protection, and the type and development of military confrontation centered on Dosuljeon(道術戰; the magic-battle). It was inferred that And by comparing it with Seonghyungongsookryeolgi(聖賢公淑烈記)>·<Imssisamdaerok(林氏三代錄)> novel series, a new clue could be obtained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formation of female heroes in classical novels.
      Neverthele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cceptance of <Buksongyeonui> in the military narratives of the classic Korean novel was not just a simple borrowing. In the antagonistic composition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antagonist, both of them presupposed the distinction of "Hwai", but there was a difference due to the issue of exclusivity. In the development of military confrontation, the method of military confrontation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otagonist's ability. In the figure of a female hero, <Buksongyeonui> was more radical, whereas the Korean classic novel captured the individual figure of a character and the life of a woman more delicately. It was estimated that the basis of these distinguishing points was the difference i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accepted the theory of "Hwai", the difference in the narrative function and usage method of the military story in the play, and the problem of concern about women's self-consciousness.
      Until recently, several works such a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and <Legends of Xue Rengui(薛仁貴傳)> have been limitedly mentioned as Chinese epic literature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ilitary discourse in Korean classic novels. Now,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category and work together to deal with various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including <Buksongyeonui>. It should also be kept in mind that this influence relationship was not achieved through one-sided acceptance of Chinese novels, but rather through the independent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lassic no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국소설 <북송지전>과 그 국문 번역본 <북송연의>의 군담이 한국 고전소설의 군담과 지니는 상관관계를, 구체적인 비교 검토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소설 <북송지전>과 그 국문 번역본 <북송연의>의 군담이 한국 고전소설의 군담과 지니는 상관관계를, 구체적인 비교 검토를 통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북송지전>·<북송연의>의 국내 유입과 유통 관련 기록을 재검토하여 당대 조선의 식자층 사이에서 이 작품이 널리 알려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선행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소현성록> 창작과의 연관성을 재확인하고 보충하였다.
      3장에서는 <북송연의>와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구체적인 내용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외적에 대한 적개심과 호국의식에 바탕하는 화이구분 및 이민족 적대자와의 대결을 형상화하는 점, 그리고 군사적 대결의 유형과 전개 방식 중 도술전을 중심으로 한 제반 요소들에서 <북송연의>가 한국소설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장편소설 <성현공숙렬기>·<임씨삼대록> 연작과의 비교를 통해 고전소설 속 여성영웅의 형성 문제에 관한 새로운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면서도 한국 고전소설 군담의 <북송연의> 수용이 단순한 차용에 그친 것은 아니라는 점 또한 확인하였다. 주인공-적대자의 대립 구도에서는 둘 모두 화이의 구분을 전제하면서도, 이민족에 대한 태도의 배타성에서 편차가 있었다. 군사적 대결의 전개 방식에서는 주인공의 능력 수준에 따라서 대결의 서술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여성영웅의 형상에서는 <북송연의>가 좀 더 파격적인 반면, 한국 고전소설은 인물의 개별 형상과 여성의 삶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하고 있었다. 이러한 변별점의 바탕에는 화이론을 수용하는 역사적 맥락의 차이, 작중 내 군담의 서사적 기능과 활용 방식의 차이, 여성의 자의식에 대한 관심사의 문제 등이 자리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최근까지도 한국 고전소설의 군담 형성에 영향을 끼친 중국 서사문학으로 <삼국지연의>와 <설인귀전> 등의 몇몇 작품이 한정적으로 거론되어 왔다. 이제는 연구 범주를 확장하여 <북송연의>를 포함한 여러 중국서사문학을 함께 다루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면서도 이 영향관계가 일방적인 중국소설의 수용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국 고전소설의 독자적인 변용과 발전 속에서 이루어졌음을 유념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세주, "女將軍 登場의 古小說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2

      2 이종필, "金自點 담론의 추이와 소설적 악인 형상화의 정치적 역학" 한국고소설학회 (35) : 167-203, 2013

      3 "현몽쌍룡기"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626, 2005

      5 김동욱, "한국 군담소설(軍談小說)과 <서주연의(西周演義)>" 한국고소설학회 (48) : 249-277, 2019

      6 정길수,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난 ‘中華主義’" 국문학회 15 (15): 131-151, 2007

      7 김대곤, "초기 창작 영웅소설의 형성 연구" 동의대 2018

      8 박양리, "초기 여성영웅소설로 본 <이현경전>의 성격과 의미" 한국문학회 (54) : 79-109, 2010

      9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280, 1990

      10 하경심, "중국 전통극 중 여성영웅형상 연구― 楊家將戱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66) : 493-523, 2011

      1 여세주, "女將軍 登場의 古小說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2

      2 이종필, "金自點 담론의 추이와 소설적 악인 형상화의 정치적 역학" 한국고소설학회 (35) : 167-203, 2013

      3 "현몽쌍룡기"

      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 지식산업사 1-626, 2005

      5 김동욱, "한국 군담소설(軍談小說)과 <서주연의(西周演義)>" 한국고소설학회 (48) : 249-277, 2019

      6 정길수,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난 ‘中華主義’" 국문학회 15 (15): 131-151, 2007

      7 김대곤, "초기 창작 영웅소설의 형성 연구" 동의대 2018

      8 박양리, "초기 여성영웅소설로 본 <이현경전>의 성격과 의미" 한국문학회 (54) : 79-109, 2010

      9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280, 1990

      10 하경심, "중국 전통극 중 여성영웅형상 연구― 楊家將戱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66) : 493-523, 2011

      11 민관동, "중국 고전소설의 전파와 수용" 아세아문화사 1-434, 2007

      12 이지하, "주체와 타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영웅소설" 국문학회 16 (16): 31-57, 2007

      13 전성운, "조선후기 장편국문소설의 조망" 보고사 1-389, 2002

      14 서정현, "조선 후기 장편소설 속 군담 연구" 경북대 2019

      15 이현주, "조선 후기 가문 소설의 계후갈등 변이양상 연구 —<엄씨효문청행록>, <성현공숙렬기>,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회 (62) : 451-474, 2012

      16 하경심, "조선 여성영웅소설의 출현배경에 관한 試論 ― 『북송연의』의 영향 가능성에 대해" 중국어문학연구회 (69) : 303-328, 2011

      17 백진우, "전란의 기억과 문학적 극복 — 정묘⋅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에 나타난 문학적 현상에 주목하여 —" 동양고전학회 (68) : 69-97, 2017

      18 유춘동, "일본 동양문고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성격과 의미" 민족문화연구원 (64) : 283-309, 2014

      19 "완월회맹연"

      20 박일용,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 월인 1-417, 2003

      21 한길연, "영웅소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대하소설의 남성 악인형 인물 연구"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5) : 479-508, 2014

      22 정명기, "여호걸계 소설의 형성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1

      23 조용호, "여장군소설 주인공의 역할 모델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30) : 245-275, 2014

      24 유효가, "여성영웅소설과 <양가장연의>의 비교 연구" 경희대 2016

      25 "소현성록"

      26 김동욱, "서울대본 <옥원재합기연> 소재 소설목록에 대한 고찰" 한국고전문학회 (47) : 279-310, 2015

      27 강우규,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에 나타난 異國公主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 <유씨삼대록>과 <성현공숙열기> 연작을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1) : 83-108, 2016

      28 이근명, "북송의 명장 양업(楊業)과 양가장(楊家將) 설화" 수선사학회 (38) : 231-257, 2011

      29 박재연, "북송연의" 학고방 1996

      30 심경호, "낙선재본 소설의 선행본에 관한 일고찰" 한국학중앙연구원 13 : 169-188, 1990

      31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제이앤씨 1-499, 2008

      32 "고전종합DB"

      33 熊大木, "楊家將演義" 페이퍼문 2017

      34 Kobyakova, Uliana, "東洋文庫 소장 『북송연의』 연구" 한국서지학회 (66) : 223-250, 2016

      35 朴在淵, "朝鮮時代 中國 通俗小說 飜譯本의 연구 : 樂善齋本을 중심으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3

      36 "北宋演義"

      37 "<이대봉전> 완판 81장본"

      38 "<유충렬전> 완판 86장본"

      39 최수현, "<유씨삼대록>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와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학회 (25) : 307-344, 2012

      40 김동욱, "<완월회맹연>의 도술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회 (56) : 39-69, 2017

      41 "<소대성전> 완판 43장본"

      42 김민정, "<성현공숙렬기>에 나타난 내·외부 조력자로서의 시비(侍婢) - 열영, 상운, 매송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41) : 239-269, 2020

      43 김수연, "18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비-중국’ 국가의 서사적 이미지-<완월회맹연>의 금국과 안남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93) : 261-288, 2020

      44 송성욱, "17세기 중국소설의 번역과 우리소설과의 관계" 한국고전연구학회 7 : 70-93, 2001

      45 정길수, "17세기 장편소설의 형성 경로와 장편화 방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1 2.30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