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를 통해서 본 한국인의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  :  Japan and Japanese in Korean Eyes = Politics and Mov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39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1998년 한국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정책이 입안되어 집행된 이후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한국인들이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어떤 이미지와 인식을 갖게 되었는가를 영화라...

      이 글의 목적은 1998년 한국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정책이 입안되어 집행된 이후 문화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한국인들이 일본과 일본인에 대해 어떤 이미지와 인식을 갖게 되었는가를 영화라는 장르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주로 국제커뮤니케이션과 문화이론의 두 차원의 연구방법을 통한 분석을 행했다. 과거 세대와는 달리 양국의 인구의 다수층이 상대국가에 대해 갖고 있는 직접적인 정보가 부족하므로, 이제는 영화나 여행과 같은 문화적 체험이 두 나라의 커뮤니케이션에 매우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음을 밝혔다. 영화를 통한 경험은, 여행의 효과에 버금가는 정도는 아니지만 거의 유사한 문화적 이해의 효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점에서 국제커뮤니케이션의 관점과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영화를 소재로 하여 양국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작업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정리할 수 있다. 초기의 두가지 가설 검증한 결과, 첫째,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보면, 문화 개방 이후 영화 교류가 긍정적으로 기여해왔다. 그러나 시장구조에서의 대등성 확보의 여부와 건전한 경쟁성 유지가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문화연구 관점에서 보면, 시기별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나지만, 초기에는 일본인에 대한 고정 관념/이미지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데 비해 점차 다양한 일본인들이 묘사되며 고정 관념이 약화되어 가고 있다. 압제 구조, 극복/경계 대상으로서의 이미지에서 친구, 경쟁자의 이미지로 바뀌고 있으며 그 원인은 영화 인구의 세대 교체, 지배코드의 이념에서 문화로 변모, 문화적 상대주의 고조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문화교류에 수반되는 국제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의 점진적 효과는 자명하지만, 그것으로 양국 국민의 심리적 정서와 양국간 외교적 현실간에 괴리가 존재하는 사실이 완전히 부인되는 것은 아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ovies in peoples' consciousness toward other countries. One of main focuses in this article is on how Korean people recognize Japan and Japanese people through films, Japanese films which are imported to Korea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ovies in peoples' consciousness toward other countries. One of main focuses in this article is on how Korean people recognize Japan and Japanese people through films, Japanese films which are imported to Korea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ultural outdoor policy to Japanese cultural industry, and Korean films which are produced by Korean. It is found that cultural exchange, including import and export of movies, is getting to be a significant route for mutual understanding among people of two countries. Mirror images have been mostly changed from opposites and enemies into competitive partners or friends. Due to cultural exchange, the scope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becomes apparently to be expanded. But one should not overexaggerate it if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gap between psychology and diplomacy still exis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문제 제기
      • 3. 연구가설과 접근방법
      • 4. 대중문화 개방 이후의 한국과 일본의 영화교류
      • 5. 한국인이 제작한 영화 속에 그려진 일본과 일본인
      • 1. 머리말
      • 2. 문제 제기
      • 3. 연구가설과 접근방법
      • 4. 대중문화 개방 이후의 한국과 일본의 영화교류
      • 5. 한국인이 제작한 영화 속에 그려진 일본과 일본인
      • 6.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for Japanese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9-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Japanese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Contemporary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日本硏究論叢 -> 일본연구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