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敞地域 佛敎民俗 硏究 = Study on Buddhist Folklore in Gochang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2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불교는 신라시대 말경 선종불교 수용 이후에 지방화하였다. 고려시대 불교는 대중화되어 갔고, 조선시대 불교는 민속신앙으로 변화하였다. 불교민속신앙은 조선후기에 민중의식의 성...

      한국 불교는 신라시대 말경 선종불교 수용 이후에 지방화하였다. 고려시대 불교는 대중화되어 갔고, 조선시대 불교는 민속신앙으로 변화하였다. 불교민속신앙은 조선후기에 민중의식의 성장과 더불어 성행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사찰에서 백성들의 종교적 욕구를 수용하면서 민속불교가 성행하였고, 조선전기에는 불교를 억제하여 불교민속화 과정을 밟았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민중문화가 발달하면서 기복신앙의 불교민속이 성행하였다. 불교민속은 불교가 민간신앙으로 정착한 신앙형태를 말한다.
      11세기경 대참사, 선운사는 관음도량이었다면, 11세기 중엽 선운산 마애불이 조성된 이후에는 미륵·지장도량으로 변모하였다. 선운사의 관음도량은 석주설화, 선운사 영산전의 觀音海難救濟 벽화, 대웅보전 백의관음보살 벽화, 검단선사와 黔堂浦, 煮鹽 전설이 사례가 될 수 있다. 彌勒·地藏道場은 高敞邑城의 성밟기민속, 고창읍 오거리 조형입석, 마을미륵과 입석미륵, 天龍堂山祭 등이 사례가 될 수 있다. 고창지역 불교민속은 고려시대 선운사, 도솔암 마애불 등 선운도량의 민속불교가 확산되면서 민간신앙화 한 것이다. 따라서 고창지역 불교민속신앙에서는 고려시대 밀교신앙적인 전승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Buddhism was localized after the adoption of Zen Buddhism at the end of the Silla period. Buddhism in the Goryeo Dynasty became popular, and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changed into a folk religion.Buddhist folk belief flourished along with ...

      Korean Buddhism was localized after the adoption of Zen Buddhism at the end of the Silla period. Buddhism in the Goryeo Dynasty became popular, and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changed into a folk religion.Buddhist folk belief flourished along with the growth of popular consciousne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folk Buddhism flourished while accommodating the religious needs of the people.
      Also, in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Buddhism was controlled and the process of making it a Buddhist folklore was carried out.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folk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ist folklore of the belief in ups and downs flourished. Buddhist folklore refers to the form of belief in which Buddhism has been established as a folk belief.In the 11th century, Seonunsa Temple was a Gwaneumdoryang, but after the Maaebul of Seonunsan Mountain was built in the middle of the 11th century, it was transformed into Mireuk and Jijangdoryang.
      Examples of the Gwaneumdoryang of Seonunsa Temple and the legend of Seokju(石舟), the mural of Gwaneumhaenanguje(觀音海難救濟) Yeongsanjeon and Daeungbojeon Baekui Guanyin Bodhisattva mural of Seonunsa Temple, and the legend of Seonunsa Geomdan monk and Geomdangpo(黔堂浦) and legend of Jayeom(煮鹽). Examples of Mireuk and Jijang Doryang(彌勒地藏道 場) include Seongbapgi folklore of Gochang-eupseong(高敞邑城), Gochang-eup five-geori sculptural standing stone, village Maitreya and Ipseok Maitreya, and Cheonryongdangsanje(天龍堂山祭). The Buddhist folklore of the Gochang area was converted into a folk religion as folk Buddhism of Seonun-do-ryang such as Seonunsa Temple, Dosolam Maaebul sprea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in the Buddhist folk beliefs of the Gochang region, elements of Esoteric Buddhism(密敎) from the Goryeo period can be fou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화섭, "호남지방 마을미륵의 배경과 그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6 : 1994

      2 송화섭, "한국의 가정신앙 하" 민속원 2005

      3 편무영, "한국불교민속론" 민속원 37-, 1998

      4 김수태, "전라도 지역의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50-, 2006

      5 홍윤식, "융합의 구조기능에서 본 蓮史 홍윤식의 불교문화기행" 도서출판 동인 29-, 2019

      6 송화섭, "용, 그 신화와 문화 한국편" 민속원 2002

      7 백원철, "오거리당산 명문의 해석과 고찰" 2011

      8 송화섭,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부안 내소사․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2) : 229-272, 2010

      9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호마을의 공동체신앙과 문화유산" 67-, 2009

      10 송화섭, "동아시아 해양신앙과 제주도의 영등할망· 선문대할망" 탐라문화연구원 (37) : 183-222, 2010

      1 송화섭, "호남지방 마을미륵의 배경과 그 성격" 한국사상사학회 6 : 1994

      2 송화섭, "한국의 가정신앙 하" 민속원 2005

      3 편무영, "한국불교민속론" 민속원 37-, 1998

      4 김수태, "전라도 지역의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50-, 2006

      5 홍윤식, "융합의 구조기능에서 본 蓮史 홍윤식의 불교문화기행" 도서출판 동인 29-, 2019

      6 송화섭, "용, 그 신화와 문화 한국편" 민속원 2002

      7 백원철, "오거리당산 명문의 해석과 고찰" 2011

      8 송화섭,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부안 내소사․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2) : 229-272, 2010

      9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동호마을의 공동체신앙과 문화유산" 67-, 2009

      10 송화섭, "동아시아 해양신앙과 제주도의 영등할망· 선문대할망" 탐라문화연구원 (37) : 183-222, 2010

      11 송화섭, "동아시아 줄다리기와 한국 줄다리기의 유형과 계통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48) : 90-132, 2015

      12 안지원, "高麗의 國家佛敎儀禮와 文化" 서울대학교 출판부 95-, 2005

      13 송화섭, "高敞 禪雲寺 黔丹禪師의 文化史的 考察" 전북사학회 (54) : 5-44, 2018

      14 진정환, "高敞 禪雲寺 兜率庵 磨崖佛의 編年과 造成背景" 동악미술사학회 (17) : 289-311, 2015

      15 송화섭, "韓國文化의 傳統과 佛敎, 蓮史洪潤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2000

      16 조범환,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倉 硏究" 경인출판사 222-, 2008

      17 김정권, "眞鑑禪師 慧昭의 南宗禪 受容과 雙谿寺 創建" 湖西史學會 (27) : 13-, 1999

      18 "智異山雙溪寺眞鑑禪師大空塔碑"

      19 "新增東國輿地勝覽"

      20 송화섭, "古阜農民蜂起와 彌勒信仰·미르신앙" 한국민속학회 7 : 1996

      21 禪雲寺, "兜率山 禪雲寺誌" 2003

      22 홍윤식, "佛敎와 民俗, 현대불교신서33"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