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려ㆍ몽고 연합군의 진도 삼별초 공략 과정 검토 = A Study of the Process of Attacks by the Goryeo-Mongolia Combined Forc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ryeo and Mongolia seemed to end decades of hostility and war, but they formed an alliance to wage a new war. The target for attacks was the Sambyeolcho, the vanguard of the anti-Mongolian struggle. Goryeo had originally been at war against the Mongo...

      Goryeo and Mongolia seemed to end decades of hostility and war, but they formed an alliance to wage a new war. The target for attacks was the Sambyeolcho, the vanguard of the anti-Mongolian struggle. Goryeo had originally been at war against the Mongolians during the military regime. The killing of the last military ruler in May 1270 marked the end of the Goryeo military regime. King Wonjong of Goryeo thereupon returned to Gaegyeong, the original capital of Goryeo, which meant bringing to an end the war against the Mongols.
      This provoked backlash from the Sambyeolcho, which, with Bae Jung-son as the central figure, staged a rebellion in June 1270. Using Myeongnyang — an area notorious for its raging currents— as a shield, the Sambyeolcho stationed in Jindo continued to struggle against the Mongols. In order to carry out attacks on Jindo, Wonjong appointed Kim Bang-kyung as commander and allied with the Mongols. Kim Bang-kyung had been in readiness for warships, weapons, and provisions.
      After a few failed attempts, the joint forces engaged in the fifth-round combat with the Sambyeolcho. The allied forces, having devised an ingenious scheme, went into battle on the 15th of May 1271. The allied warships going to war at Samjiwon, Haenam was characterized by maneuvering simultaneously — just like they used to in an attempt to make single-track attacks that ended in failure. When crossing Myeongnyang to head toward Byeokpajin, the combined forces launched three-pronged attacks.
      The fifth round of battle ended in victory for the Goryeo-Mongolian allied forces whose ingenious tactic — called a three-pronged attack — worked brilliantly. Above all, the most critical factor behind the allied forces’ victory was King Wonjong’s unbending trust in Kim Bang-kyu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와 몽고는 적대관계를 청산하며 전쟁을 끝내는 듯 했으나 연합군을 형성하여 새로운 전쟁을 벌였다. 그런데 그 대상이 대 몽고전의 선봉에 섰던 삼별초였다. 원래 고려는 무신 집권자가...

      고려와 몽고는 적대관계를 청산하며 전쟁을 끝내는 듯 했으나 연합군을 형성하여 새로운 전쟁을 벌였다. 그런데 그 대상이 대 몽고전의 선봉에 섰던 삼별초였다. 원래 고려는 무신 집권자가 국정을 장악한 시기에 몽고와 전쟁을 하였다. 마지막 무신 집권자가 1270년 5월에 제거되며 무신시대가 막을 내렸다. 이에 고려 원종은 몽고와의 전쟁을 끝내려고 원 도읍인 개경으로 돌아갔다. 이를 반발한 삼별초는 1270년 6월에 배중손을 중심으로 거사하였다. 삼별초는 험한 물살을 가진 명량을 방패삼아 진도에서 대 몽고 항전을 이어 나갔다.
      원종은 김방경을 지휘관으로 정하고 몽고와 연합군을 형성하여 진도를 공략하고자 하였다. 김방경은 전함(戰艦)ㆍ병기(兵器)ㆍ군량(軍糧) 등을 중심으로 공략 준비를 갖추었다. 연합군은 실패 끝에 제5차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 새로운 묘수를 수립한 연합군은 1271년 5월 15일에 출진하였다. 일단, 연합군의 전함은 육지 해남 삼견원(삼지원)에서 이전에 실패한 단선공격(單線攻擊)처럼 한꺼번에 움직였다. 이어서 연합군은 명량을 건너 진도 벽파진으로 향할 때는 삼선(三線)으로 나뉘어 쳐들어갔다. 마침내 제5차 전투는 삼선공격전투(三線攻擊戰鬪)라는 묘수를 적용한 연합군의 승리로 끝났다. 무엇보다도 김방경을 끝까지 믿은 원종의 선택이 승리의 으뜸 요인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용혁,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上)-古代篇·高麗時代篇" 일조각 1994

      2 장동익, "金方慶의 生涯와 行蹟" 퇴계연구소 (40) : 289-332, 2007

      3 김윤곤, "한국사 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4 강원문화재연구소, "한계산성 문화재발굴(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4

      5 김명진, "통일과 전쟁, 고려 태조 왕건" 혜안 2018

      6 고용규, "진도(珍島) 용장성(龍欌城)의 구조와 성격" 한국중세고고학회 3 : 2018

      7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Ⅱ" 2018

      8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15

      9 "옥주지"

      10 "영조실록"

      1 윤용혁,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上)-古代篇·高麗時代篇" 일조각 1994

      2 장동익, "金方慶의 生涯와 行蹟" 퇴계연구소 (40) : 289-332, 2007

      3 김윤곤, "한국사 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4 강원문화재연구소, "한계산성 문화재발굴(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4

      5 김명진, "통일과 전쟁, 고려 태조 왕건" 혜안 2018

      6 고용규, "진도(珍島) 용장성(龍欌城)의 구조와 성격" 한국중세고고학회 3 : 2018

      7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Ⅱ" 2018

      8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2015

      9 "옥주지"

      10 "영조실록"

      11 "신증동국여지승람"

      12 "선조실록"

      13 박종일, "삼별초의 진도 입도 배경과 저항활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4 윤용혁, "삼별초 진도정권의 성립과 그 전개" 한국사연구회 84 : 1994

      15 윤용혁, "삼별초" 혜안 2014

      16 강병현, "몽골침입기 고려 수군의 항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17 강봉룡, "몽골의 침략과 고려 무인정권 및 삼별초의 ‘島嶼海洋戰略’ ― 그 동아시아적 의의 ―" 동양사학회 (115) : 55-99, 2011

      18 "동문선"

      19 "대동지지"

      20 "고려사절요"

      21 "고려사"

      22 김명진, "고려 태조 왕건의 기병 운영에 대한 검토"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1) : 397-428, 2016

      23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항전과 진도" 도서문화연구원 (37) : 83-114, 2011

      24 김명진, "고려 삼별초의 진도 입도와 진도용장성전투 검토" 대구사학회 134 : 169-201, 2019

      25 윤용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26 노승석, "개정판 교감원문 난중일기" 도서출판 여해 2017

      27 노승석, "개정판 교감완역 난중일기" 도서출판 여해 2018

      28 나종우, "高麗武人 政權의 沒落과 三別抄의 遷都抗蒙" 원광대학교 사학회 4 : 1986

      29 윤용혁, "高麗對蒙抗爭史硏究" 일지사 1991

      30 김용선,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06

      31 이기백, "高麗兵制史硏究" 일조각 1968

      32 池內宏, "高麗の三別抄について" 37 (37): 1926

      33 신안식, "高麗 元宗 11年(1270) 三別抄抗爭의 背景" 명지사학회 13 : 2002

      34 민현구, "蒙古軍·金方慶·三別抄" 일조각 8 : 1991

      35 정영희, "珍島 龍藏城 硏究"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36 목포대학교박물관, "珍島 龍藏城 王宮址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2019

      37 강봉룡, "珍島 碧波津의 고·중세 '해양도시'적 면모-역사마을 벽파 가꾸기를 위한 모색-" 역사문화학회 8 (8): 35-66, 2005

      38 이정란, "江華의 三別抄 南行 始發地에 대한 고찰"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4 : 2005

      39 김상기, "東方文化交流史論攷" 을유문화사 1948

      40 박진철, "古文書로 본 17세기 朝鮮 水軍 戰船의 武器體系" 영남문화연구원 (16) : 449-481, 2009

      41 김윤곤, "三別抄의 對蒙抗戰과 地方 郡縣民" 영남대학교 동양문화연구소 20-21 : 1981

      42 김상기, "三別抄와 그의 亂에 就하야" 진단학회 9 : 1941

      43 김일우, "三別抄 對蒙抗爭의 주도층과 그 의미" 제주도사연구회 11 : 2002

      44 고용규, "13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진도 삼별초" 목포대학교박물관 2011

      45 강재광, "1250~1270年代 神義軍의 對蒙抗戰과 政治活動" 한국중세사학회 (23) : 231-281, 2007

      46 박재우, "(63인의 역사학자가 쓴)한국사 인물 열전." 돌베개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