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 장판타날기와의 출현시기 검토 = A Study on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s of Roof Tile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in Gyeongju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1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 장판타날기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라는 문제는 새로운 기와제작기술이 도입된 것보다는 기존에 국가의 직접 관리 아래에 있던 기와제작기술이 변화된 모...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 장판타날기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가라는 문제는 새로운 기와제작기술이 도입된 것보다는 기존에 국가의 직접 관리 아래에 있던 기와제작기술이 변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공통된 제작기술을 유지하던 기와생산체제가 어떤 원인으로 인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인 모습이다.
      중판타날기와라는 통일된 기준을 가지고 기와가 생산되던 신라사회에서 중앙관사의 통제력이 약해지면서 왕경 외곽 또는 지방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와제작기술인 장판타날기와가 생산되면서 건물에 사용하는 기와의 기준이 변화된 모습이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가 시작된 시기는 분명한 연대자료를 통해서 확인할 수 없지만 경주 외곽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여러 기와가마 출토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신라왕경에 기와를 공급했던 기와가마들은 통일신라시대 후기까지도 내성(內省)에 속한 와기전(瓦器典)의 관리감독아래에서 중판타날기와를 생산했다고 보여지며, 신라왕경 외곽에 위치한 기와가마들은 이러한 와기전의 관리감독을 벗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원인은 당시 정치혼란과 호족세력의 출현과 발전으로 볼 수 있다.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경주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기와 제작기술인 장판타날기와 생산이 이루어졌다고 생각되며, 그 출현시기는 다른 지방의 장판타날기와의 출토사례와 제작시기 그리고 경주 방내리 생활유적 내 기와가마의 연대측정결과를 고려할 때 신라 헌덕왕 14년(822) 이후로 추정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question of when the use of the roof tile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had begun in Gyeongju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is a matter of the change in the roof tile production which were managed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

      The question of when the use of the roof tile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had begun in Gyeongju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is a matter of the change in the roof tile production which were managed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duc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this indicates that the roof tile production system that maintained a common production technology at the time changed for some reason.
      Silla used roof tiles with medium paddle-beat pattern. However, when the central control grew weak, new roof tiles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were produced mostly in the outskirts of the royal capital and rural areas, which brought changes to the standards for the roof tile. This change could not be confirmed through chronological data, however,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a variety of roof tile kilns that were excavated and investigated in the outskirts of Gyeongju.
      The roof tile kilns that supplied roof tiles to the royal capital of Silla until the late Unified Silla Dynasty period produced roof tiles with medium paddle-beat pattern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Roof Tile Agency under the Ministry of Interior, but it is quite likely that the roof tile kilns located in the outskirts were outside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authority. This is related with the political disorder and the emergence of powerful clans. It is estimated that the production of the roof tiles with large paddle-beat pattern began in the outskirts of Gyeongju, which is estimated to be after the 14th year in the reign of King Heondeok of Silla (822) considering the excavations in rural areas and the dating of the remains of the dwellings in Bangnae-ri, Gyeongju.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54 : 63-103, 2004

      2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3 조성윤, "제1부 한국고대사의 복원 : 신라 장판 타날문양 평기와의 경주 제작여부에 대하여" 이화사학연구소 (30) : 65-77, 2003

      4 김창호, "익산 미륵사 경진명 기와로 본 고신라 기와의 원향"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0 : 1999

      5 박홍국, "월성군 내남면 망성리 와요지와 출토와전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회 (5) : 1987

      6 조성윤, "신라 와로 본 안압지 축조에 대하여" 위덕대학교박물관 (6) : 2006

      7 김성구, "다경와요 출토 신라와전소고" 국립중앙박물관 (33) : 1983

      8 김유식, "기와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 삼국의대외교섭" 국립경주박물관 2000

      9 차순철, "관 자명 명문와의 사용처 검토" 경주대 문화재연구소 5 : 2002

      10 차순철, "경주지역 평기와의 타날형태 변화에 대한 검토" 국립문화재연구소 (40) : 73-104, 2007

      1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54 : 63-103, 2004

      2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3 조성윤, "제1부 한국고대사의 복원 : 신라 장판 타날문양 평기와의 경주 제작여부에 대하여" 이화사학연구소 (30) : 65-77, 2003

      4 김창호, "익산 미륵사 경진명 기와로 본 고신라 기와의 원향"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0 : 1999

      5 박홍국, "월성군 내남면 망성리 와요지와 출토와전에 대한 고찰" 영남고고학회 (5) : 1987

      6 조성윤, "신라 와로 본 안압지 축조에 대하여" 위덕대학교박물관 (6) : 2006

      7 김성구, "다경와요 출토 신라와전소고" 국립중앙박물관 (33) : 1983

      8 김유식, "기와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 삼국의대외교섭" 국립경주박물관 2000

      9 차순철, "관 자명 명문와의 사용처 검토" 경주대 문화재연구소 5 : 2002

      10 차순철, "경주지역 평기와의 타날형태 변화에 대한 검토" 국립문화재연구소 (40) : 73-104, 2007

      11 김지영, "경주지역 신라 평기와 유통체계의 변화" 계명대학교 2015

      12 김지영, "경주지역 삼국~통일신라시대 막새기와의 유통" 영남문화재연구원 24 : 2011

      13 차순철, "경주지역 사원출토 평와의 수급관계 고찰-전용와·공용와·교류와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5 : 2007

      14 조성윤, "경주 출토 중판 타날문양 평기와의 제작시기와 그 의미" 위덕대학교박물관 (2) : 2002

      15 조성윤, "경주 출토 중판 타날문양 평기와의 제작시기와 그 의미" 위덕대학교 박물관 2 : 2002

      16 차순철, "경주 월성 출토 토기구연암막새에 대하여, in신라기와의 편년" 국립경주박물관·한국기와학회 2018

      17 최영희, "統一新羅式기와의 成立과 造瓦體制의 變化" 영남고고학회 (70) : 262-300, 2014

      18 최맹식, "統一新羅 평가와 硏究" 호서고고학회 (6집) : 331-360, 2002

      19 최영희, "新羅 古式수막새의 製作技法과 系統" 한국상고사학회 70 (70): 99-142, 2010

      20 유환성, "慶州 출토 羅末麗初 寺刹銘 평기와의 변천과정" 신라사학회 (19) : 129-169, 2010

      21 崔兌先, "平瓦製作法의 變遷에 대한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영문명 : The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 The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Relics in East Asia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2 0.56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