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왕실의례용 숟가락과 젓가락 종류와 사용양상 = Types and uses of spoons and chopsticks for royal rituals in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69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글은􏘓조선시대􏘓왕실의례중􏘓가례, 흉례, 길례에서􏘓사용된􏘓숟가락과􏘓젓가락의􏘓종류, 형태, 용도􏘓등을􏘓구체적으로􏘓살펴본􏘓연구이다. 조선왕실의􏘓수저는􏘓 일반...

      본􏘓글은􏘓조선시대􏘓왕실의례중􏘓가례, 흉례, 길례에서􏘓사용된􏘓숟가락과􏘓젓가락의􏘓종류, 형태, 용도􏘓등을􏘓구체적으로􏘓살펴본􏘓연구이다. 조선왕실의􏘓수저는􏘓 일반적인􏘓식사􏘓도구로􏘓사용되었을􏘓뿐만􏘓아니라􏘓음식을􏘓조리하고􏘓옮기기􏘓위한􏘓 용도, 망자의􏘓치아􏘓사이에􏘓물리는􏘓용도, 의물을􏘓불태워􏘓처리하는􏘓용도􏘓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고, 그􏘓 명칭과􏘓 형태도􏘓 다채로웠다. 또 재료적 측면에서, 왕실의􏘓식사용􏘓수저는􏘓주로􏘓은으로 제작되었으나􏘓다른􏘓용도의􏘓수저들은􏘓합금동이나􏘓 목재로􏘓 제작되었다.
      또􏘓수저의􏘓유무를􏘓기준으로, 흉례와􏘓길례에􏘓속하는􏘓의례들의􏘓종류와􏘓성격을 구분해􏘓 볼􏘓 수􏘓 있다.
      즉 흉례 중 상식과 주다례에서는 수저를􏘓 올려􏘓 놓지만 전과􏘓제에는􏘓수저를􏘓진설하지􏘓않았다.
      더불어􏘓길례에서도􏘓속제에서는􏘓수저를􏘓올리지만􏘓정제에는􏘓수저를􏘓진설하지􏘓않았다.
      이와􏘓같이􏘓숟가락과􏘓젓가락이라는􏘓작은􏘓기물을􏘓통해􏘓조선왕실􏘓의례들의􏘓성격을􏘓구분할􏘓수􏘓있다는􏘓점에서, 수저가􏘓 의례기로써􏘓 갖는􏘓 의미는􏘓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

      2 "효종빈전도감의궤"

      3 "현목수빈장례도감의궤"

      4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

      5 "헌종효정왕후가례도감의궤"

      6 "헌종무신진찬의궤"

      7 "헌종국장도감의궤"

      8 이난영, "한국시저의 형식분류" 역사학회 67 : 1975

      9 정의도, "한국고대 숟가락 연구" 경인문화사 2014

      10 배영동, "한국 수저 [匙箸]의 음식문화적 특성과 의의" 국립문화재연구소 29 : 1996

      1 "효현왕후국장도감의궤"

      2 "효종빈전도감의궤"

      3 "현목수빈장례도감의궤"

      4 "헌종효현왕후가례도감의궤"

      5 "헌종효정왕후가례도감의궤"

      6 "헌종무신진찬의궤"

      7 "헌종국장도감의궤"

      8 이난영, "한국시저의 형식분류" 역사학회 67 : 1975

      9 정의도, "한국고대 숟가락 연구" 경인문화사 2014

      10 배영동, "한국 수저 [匙箸]의 음식문화적 특성과 의의" 국립문화재연구소 29 : 1996

      11 정의도, "한국 고대 숟가락 연구 2" 경인문화사 2020

      12 정의도, "통일신라전통의 고려초기 숟가락연구" 2 : 2017

      13 정의도, "통일신라시대 식도구 연구 - 숟가락과 의례 -" 석당학술원 (73) : 287-342, 2019

      14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15 정의도, "중국당대숟가락 ― 완성과 새로운 변화" 8 : 2018

      16 "준경묘영경묘제기성책"

      17 구혜인,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선원전 다례(茶禮)와 다기(茶器)" 한국학중앙연구원 43 (43): 149-192, 2020

      18 구혜인, "조선후기ㆍ대한제국기 선원전 祭需와 祭器의 관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4) : 153-194, 2021

      19 "조선왕조실록"

      20 이욱, "조선왕실 제향공간 정제와 속제의 변용"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21 이욱, "조선시대 왕실 제사와 제물의 상징 : 혈식(血食)· 소식(素食)· 상식(常食)의 이념" 종교문화비평학회 20 (20): 221-260, 2011

      22 구혜인, "조선시대 왕실 祭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23 김해인, "조선시대 국가의례의 음식문화 연구 ― 길·가례 음식구조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21

      24 "정순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

      25 에드워드 왕, "젓가락 ― 동아시아 5, 000년 음식문화를 집어 올린 도구" 따비 2017

      26 "임인진연의궤"

      27 "일성록"

      28 "영정모사도감의궤"

      29 "승정원일기"

      30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31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

      32 "순조국장도감의궤"

      33 "기축진찬의궤"

      34 "국조오례의"

      35 "국조상례보편"

      36 국립문화재연구소, "국역 국조상례보편" 민속원 2008

      37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

      38 정의도, "고고자료로 본 조선시대의 젓가락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9 (29): 67-102, 2016

      39 정의도, "韓國古代靑銅匙箸硏究- 高麗時代 -" 석당학술원 (38) : 61-140, 2007

      40 정의도, "靑銅숟가락의 登場과 擴散 - 三國時代~統一新羅時代 -" 석당학술원 (42) : 271-380, 2008

      41 秦耕, "筷箸起源于中国" 吕梁学院 5 : 2015

      42 정의도, "武寧王陵 出土 靑銅匙箸硏究" 한국고대학회 (30) : 213-283, 2009

      43 "明史"

      44 정의도, "宋․遼․金․元 수저(匙箸) 編年硏究 - 어미형숟가락의 출현 -" 동아시아문물연구소 17 (17): 113-160, 2010

      45 唐启翠, "大小传统互证互释 : 以"三礼"匕箸进⻝礼仪为中⼼" 上海交通大学 ⼈文学院 31 : 2018

      46 오승환, "三國時代 匙箸의 普及과 食事方式"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4) : 81-114, 2019

      47 杜廼松, "⻘铜匕, 勺, 斗考辨" 文物編輯委員會 1991

      48 Edward Wang, "Chopsticks : A Cultural and Culinary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