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경연에서 『예기』 「악기」가 논의된 양상 -숙종⋅영조조를 중심으로- = Discussions on 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in the Royal Lectures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Reigns of King Sukjong and King Yeong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77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is one of the reading materials adopted in the Royal Lectur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a sufficient amount of records on the Royal Lectures was not provided until the reign of King Sukjong. Based on the r...

      The “Yueji” chapter of the Liji is one of the reading materials adopted in the Royal Lectur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owever, a sufficient amount of records on the Royal Lectures was not provided until the reign of King Sukjong. Based on the records during the earlier Joseon dynasty, it is hardly possible to elucidate the main viewpoint of discussing “Yueji” since most discussions soon shift the topic to current affairs regarding music. In the earlier Joseon period, discussions on music centered around correcting inappropriate music, but in the later period, moral cultivation became a central issue. In line with this main distinction between the earlier and later periods, discussions on “Yueji” in the Royal Lectures during the reigns of King Sukjong and King Yeongjo mainly focus on the moral cultivation of the king. However, this main focus is dealt with in a different context from “Yueji”; while “Yuej” describes the effect of moral cultivation by means of ritual and music, in the Royal Lectures it is argued that the king needs to cultivate himself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governing effect as those of ritual and music whose exemplary form does not exist any more. This argument can be understood as a reinterpretation of “Yueji” from a Neo- Confucian perspective with an intention to put the power of the supreme ruler under control of subjects. The moral cultivation of the king is also one of the main focuses of attention in the Royal Lectures during King Yeongjo’s reign; however, dissimilar to previous approaches to “Yueji”, King Yeongjo shows interest in sound and pitch. This new approach can be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strengthen the supreme ruler’s position as the establisher of ritual and music instead of being recommended cultivation from his subordinates. Based on the records of the Royal Lectures on “Yueji” during the reigns of King Sukjong and King Yeongjo, it can be suggested that emphasis on the moral cultivation of the king is entailed from a Neo-Confucian reinterpretation of the cultivation theory advanced in “Yueji”, while discussions on the components of music, such as sound and pitch, can be understood as a counterargument that reinforces the status of the k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연에서 「악기」가 논의된 주요 관점은 숙종조 기록에 이르러 비교적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조선 전기에도 경연에서 「악기」가 간혹 다뤄지기는 했으나 「악기」에 대한 강론보다는...

      경연에서 「악기」가 논의된 주요 관점은 숙종조 기록에 이르러 비교적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다. 조선 전기에도 경연에서 「악기」가 간혹 다뤄지기는 했으나 「악기」에 대한 강론보다는 시무로서 악을 다루는 논의로 이어지고는 해서 「악기」를 해석한 관점을 파악하기 어렵다. 악에 관해 조선 전기 경연에서는 악을 바로잡는 문제를 주로 다루고 후기에는 수양에 관한 문제가 중심에 놓이게 된다. 숙종과 영조조 「악기」 강론에서 왕의 수양이 강조되는 것은 이러한 흐름에 부합하지만 왕의 수양은 「악기」와 다른 맥락에서 논의된다. 즉, 「악기」는 예악을 방편 삼아 수양한 효과를 주로 서술하지만 경연에서는 모범적 예악을 되살리기 어려운 상황에서 왕이 수양해 제대로 통치함으로써 예악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성리학적 시각에서 「악기」의 수양론을 왕권 견제적 성격을 지니는 수양론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왕의 수양을 강조하는 논의는 영조조에도 이어지지만 영조는 그간의 「악기」 강론 경향과 달리 음률에 관심을 보이는데, 이는 신하에게 수양을 권고받는 위치가 아닌 예악 제정의 주체라는 위치를 부각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숙종과 영조조 「악기」에 관한 경연 기록은 「악기」의 수양론이 성리학적 시각에서 왕의 수양을 강조하는 논의로 재해석되는 양상과 함께 음률과 같은 악의 요소에 관한 논의가 이와 대비되어 왕의 위상을 강화하는 논의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순, "조선중기 經筵科目 『心經』의 정착과정과 그 정치적 의미" 한국사상사학회 (22) : 167-208, 2004

      2 송지원, "조선 후기 국왕의 음악정책 - 숙종ㆍ영조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1) : 159-197, 2017

      3 윤정, "조선 중종⋅영조대 「대학연의보」 진강의 의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24 : 2001

      4 김종수, "조선 전기 여악 연구-여악 폐지론과 관련하여-" 국립국악원 5 : 1993

      5 송지원, "영조대 국가전례정책의 제 양상"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89-212, 2008

      6 윤태양, "영조(英祖) 17~19년 악기・악학(樂學)의 재정비와 그것의 정치적 함의" 국립국악원 (36) : 25-45, 2017

      7 윤훈표,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한국사학회 (100) : 31-63, 2010

      8 한정길, "마음 수양에 관한 조선 유학자들의 성찰 보고서 : 국역 심경 주해총람(상·하)" 역사실학회 (62) : 301-334, 2017

      9 조정은, "권근의 『예기천견록』 중 「악기」편 분석 -체제 재편과 독해 관점을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소 46 : 99-125, 2021

      10 金昌協, "農巖集"

      1 박성순, "조선중기 經筵科目 『心經』의 정착과정과 그 정치적 의미" 한국사상사학회 (22) : 167-208, 2004

      2 송지원, "조선 후기 국왕의 음악정책 - 숙종ㆍ영조를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1) : 159-197, 2017

      3 윤정, "조선 중종⋅영조대 「대학연의보」 진강의 의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소 24 : 2001

      4 김종수, "조선 전기 여악 연구-여악 폐지론과 관련하여-" 국립국악원 5 : 1993

      5 송지원, "영조대 국가전례정책의 제 양상" 한국공연문화학회 0 (0): 189-212, 2008

      6 윤태양, "영조(英祖) 17~19년 악기・악학(樂學)의 재정비와 그것의 정치적 함의" 국립국악원 (36) : 25-45, 2017

      7 윤훈표, "승정원일기 경연 기사의 특징" 한국사학회 (100) : 31-63, 2010

      8 한정길, "마음 수양에 관한 조선 유학자들의 성찰 보고서 : 국역 심경 주해총람(상·하)" 역사실학회 (62) : 301-334, 2017

      9 조정은, "권근의 『예기천견록』 중 「악기」편 분석 -체제 재편과 독해 관점을 중심으로-" 태동고전연구소 46 : 99-125, 2021

      10 金昌協, "農巖集"

      11 權近, "禮記淺見錄"

      12 具庠, "無名子集"

      13 "朝鮮王朝實錄"

      14 "朝鮮朝 經筵 資料 集成 및 註解"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15 "承政院日記"

      16 陳德秀, "心經"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태동고전연구 제24집 -> 태동고전연구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6 1.75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