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면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상류주택 안마당의 시지각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북지방 ‘ㅁ’자형 주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Upper-class Hous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Sectional Analysis - Focused on the Kyeong Buk Region ‘ㅁ’ Shape of Hous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2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oss-sectional ratio of the courtyard, an external space that not only was used as a workplace, shelter, and playground in our lives, but also gave symbolic meaning to Koreans. Since the beginning of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oss-sectional ratio of the courtyard, an external space that not only was used as a workplace, shelter, and playground in our lives, but also gave symbolic meaning to Koreans. Since the beginning of 2000, Hanok began to receive rapid attention from people, and Hanok construction and remodeling were actively carried out in urban and rural areas. In particular, Bukchon and Seochon in Seoul, around Cheonmachong in Gyeongju, and Hanok Village in Jeonju became popular places related to hanok, and Gyeongju, Buyeo, Gongju, and Iksan were designated as ancient districts to encourage the construction of hanok. However, although hanok is being built with national trends, support, and interest, attention is focused only on the external form, materials, and convenience of use, and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the external space have not been properly review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and meanings of the yard in traditional housing, and to analyze the proportion of the height of the building surrounding the yard and the depth of the yard in terms of closure and opening. In addition, the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space of traditional architecture felt by this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signing traditional architec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2012

      2 최동호,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마당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環境大學院 1996

      3 김난아, "한국 전통상류주택 안채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4 奇亮,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채(棟)와 마당의 視知覺的 상관성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3

      5 이호열, "조선시대 관혼상제와 주거공간" 2008

      6 최기수, "조경학개론" 1993

      7 김봉렬, "방밖의 방" 1986

      8 Yoshinobu Ashihara, "건축의 외부공간" 1992

      9 이강우, "韓國 傳統空間 構成體系의 特性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10 鮮于正媛, "韓國 傳統住宅 마당의 尺度·比例 分析을 통한 閉鎖性 및 開放性에 관한 연구: 朝鮮時代 上流住宅을 中心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7

      1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2012

      2 최동호,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마당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環境大學院 1996

      3 김난아, "한국 전통상류주택 안채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4 奇亮, "조선시대 상류주택의 채(棟)와 마당의 視知覺的 상관성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3

      5 이호열, "조선시대 관혼상제와 주거공간" 2008

      6 최기수, "조경학개론" 1993

      7 김봉렬, "방밖의 방" 1986

      8 Yoshinobu Ashihara, "건축의 외부공간" 1992

      9 이강우, "韓國 傳統空間 構成體系의 特性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5

      10 鮮于正媛, "韓國 傳統住宅 마당의 尺度·比例 分析을 통한 閉鎖性 및 開放性에 관한 연구: 朝鮮時代 上流住宅을 中心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7

      11 Camillo Sitte, "The art of building cities" Reinhold 194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