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경억 誌石 연구 = A Study on the Memorial Stone of Lee Gyeong-E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3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emorial stone of Lee Gyeong-eok who held office as the first vice-premier in middle Joseon. A memorial stone is one of the grave relics buried underground in the last procedure of a funeral. It primary provides historical data...

      This study examines the memorial stone of Lee Gyeong-eok who held office as the first vice-premier in middle Joseon. A memorial stone is one of the grave relics buried underground in the last procedure of a funeral. It primary provides historical data based on the vivid records of a buried person from birth to death and burial including name, public post, genealogy of ancestors, birth and death dates, achievements, burial plot, and exposure. Such vivid records can serve as loyal biographical data for the buried person, thus telling his or her personal history.
      Lee was a literati official during the reigns of King Injo (1644)~King Hyeonjong (1672) in Joseon. He won first place in the regular state examination for literati officials in 1644 (22nd year of King Injo's reign). His career as a government official began with Jeonjik, and he held office as a minister of Ijo, Hojo, Yejo, and Hyeongjo until 1672 (13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After serving Hanseong as the mayor, he moved up to the second and first vice-premier position. He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Gyeongju Lee clan that brought glory to the family.
      The memorial stone of Lee Gyeong-eok was made and buried in 1702, 29 years after his death. It is a rectangle memorial stone made of white and blue porcelain and comprised of a total of 13 parts. Those days marked the golden era of memorial stones made of white and blue porcelain in Joseon. Rectangle memorial stones made of white and blue porcelain like the memorial stone of Lee Gyeong-eok were a huge vogue in the nobility during the time. Lee's memorial stone was in the content organization system of Pyojemun, Jimun, and Myeongmun, being a rare case among memorial stones in Joseon. It is a good example to show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morial stones of noblemen in the 18th century.
      Lee is well-known to some degree thanks to literature materials including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ungjeongwonilgi and records from his tombstone, a small headstone before the tombstone, and history. This is the first study on Lee based on his memorial stone. The study attempts to make a more specific approach to his achievem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his memorial stone that had not been examined before with several literature materials. His memorial stone helped to supplement new materials about Lee that had been omitted from several literature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 중기 좌의정을 역임했던 화곡(華谷) 「이경억 誌石」에 관한 분석이다. 지석이란 장례 마지막 절차 때 땅 속에 매납하는 부장품의 하나이다. 피장자 성명을 비롯해 관직, 선...

      본 연구는 조선 중기 좌의정을 역임했던 화곡(華谷) 「이경억 誌石」에 관한 분석이다. 지석이란 장례 마지막 절차 때 땅 속에 매납하는 부장품의 하나이다. 피장자 성명을 비롯해 관직, 선대 계보, 생몰연대, 행적, 장지, 좌향 등 출생부터 사망과 매장에 이르기까지 생생한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는 1차적 사료이기도 하다. 이 같은 생생한 기록은 피장자의 충실한 전기적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한 개인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이경억(李慶億)은 조선 인조(1644)~현종(1672) 때 문신으로, 1644년(인조 22) 정시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시작으로 1672년(현종 13)에 이르기까지 이조·호조·예조·형조판서를 두루 역임하였으며 한성 판윤(判尹)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에까지 올라 경주이씨 가문을 빛낸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경억 지석」은 그가 사망한 후, 29년이란 세월이 지난 1702년에 제작해서 매납한, 총 13편으로 구성된 장방형의 청화백자 지석이다. 이 시기는 청화백자 지석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경억 지석」처럼 장편으로 제작된 장방형 형태의 청화백자 지석이 사대부 사이에서 크게 유행한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내용 구성에 있어 조선시대 드물게 나타나는 표제문(表題文), 지문(誌文), 명문(銘文)의 구성 체계를 갖추고 있어, 18세기 사대부 지석의 전형적인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로 꼽을 수 있다.
      지금까지 이경억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등 문헌 자료를 비롯해, 묘비나 묘갈 그리고 행장을 통해 어느 정도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지석을 통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아직 한 번도 조명되지 못했던 「이경억 지석」기록과 여러 문헌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그의 행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시도 하였다. 그리하여 여러 문헌 자료 등에서 누락되었던 이경억이라는 인물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그의 지석을 통해 조금이나마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3 오임숙, "조선시대 誌石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4 국립중앙박물관, "삶과 죽음의 이야기 朝鮮墓誌銘"

      5 "顯宗改修實錄"

      6 "顯宗實錄"

      7 "西溪集"

      8 "朱子家禮"

      9 온양민속박물관, "朝鮮時代 誌石의 調査硏究" 1992

      10 배영동, "朝鮮時代 誌石의 調査 硏究" 溫陽民俗博物館 1992

      1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3 오임숙, "조선시대 誌石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4 국립중앙박물관, "삶과 죽음의 이야기 朝鮮墓誌銘"

      5 "顯宗改修實錄"

      6 "顯宗實錄"

      7 "西溪集"

      8 "朱子家禮"

      9 온양민속박물관, "朝鮮時代 誌石의 調査硏究" 1992

      10 배영동, "朝鮮時代 誌石의 調査 硏究" 溫陽民俗博物館 1992

      11 김세진, "朝鮮時代 磁器製 誌石 硏究" 忠北大學校大學院 2009

      12 최호림, "朝鮮時代 墓誌의 種類와 形態에 관한 硏究" 17 : 1984

      13 "明谷集"

      14 "承政院日記"

      15 "孝宗實錄"

      16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國朝文科榜目"

      17 "仁祖實錄"

      18 전승창, "15世紀 位牌形 磁器墓誌와 位牌裝飾 考察" 湖巖美術館 4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