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무용과 부산 = New Dance and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9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necessary to hold two perspectives on New dance. New dance triggered changes in the status of dance art such as liberation and expression of the body, independence of dance as a fine art, and the birth of a dancer as an artist, but it also playe...

      It is necessary to hold two perspectives on New dance. New dance triggered changes in the status of dance art such as liberation and expression of the body, independence of dance as a fine art, and the birth of a dancer as an artist, but it also played a role as propaganda for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the transition to cultural rule in the 1920s, Japan emphasized the unity of Japan and Joseon and promoted Japanese culture as superior and advanced, positioning Joseon's things as outdated. internalized the cultural imperialism of Joseon youth and encouraged them to study in Japan. The pure dance and absolute dance that New Dance put forward as the banner may have been a pure ideology that blinded the colonial reality.
      Since the 1920s, in line with cultural politics, Korean New dance performances have been frequently performed in Korea, mainly in Gyeongseong and Busan. In particular, Busan was a gateway city for Western culture through Korea. In the history of nationals culture been treated as a periphery of art.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view that the colonial era was a blank period for Busan dance, the enthusiasm of the New dance was hot.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Ishii Baku in 1926 or performances of Choi Seung-hee discuss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New dance were held in Busan in the same year, so it is safe to say that Busan is the city where the New dance began like Gyeongseong.
      In addition, Busan was a city where new dance performances by Ishii Baku, Choi Seung-hee, Jo Taek-won, and Bae Gu-ja were actively performed. This is a sign that shows that Busan has Spectators who can appreciate the art of dance, a theater environment that can implement a New dance, and geographical convenience. In this atmosphere, New dancers such as Bae Gu-ja, Park Young-in, Park Oe-seon, and Kim Hae-rang were born and grew up. In the meantime, after studying in Japan, he did not return to the region other than Kim Hae-rang, so Busan has been recognized as a city where New dance performances and dancers stayed and left. This was the limit of Busan, a colonial city where Korean colonial rule of predatory education flourished.
      However, New dancer such as Yoshiki Seina opened a dance research institute and created New dance works such as the absolute dance work etude <Inspiration> while continuing educational activities. A group called Busan Yeowolhoe created Poetic dance such as <The Rainy Moon> and <The Bird Chaser>. In other words, Busan was not just a cultural gateway, but a region where New dances were created and enjoy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무용에 대해서는 두 가지 관점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신무용은 몸의 해방과 표현, 순수예술로서의 무용의 독립, 작가로서의 무용가 탄생 등 무용예술의 위상에 변화를 촉발했으나 일제의...

      신무용에 대해서는 두 가지 관점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신무용은 몸의 해방과 표현, 순수예술로서의 무용의 독립, 작가로서의 무용가 탄생 등 무용예술의 위상에 변화를 촉발했으나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위한 프로파간다 역할 또한 수행하였다. 1920년대 문화통치로 전환하면서 일제는 일본과 조선이 하나임을 강조하며 일본문화를 우수하고 선진적인 것으로 선전함으로써 조선의 것을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위치시켰다. 문화통치에 의해 만들어진 신화는 조선 청년들의 문화제국주의를 내면화시켜 일본 유학을 부추겼다. 신무용이 기치로 내세운 순수무용, 절대무용은 식민지 현실에 눈을 멀게 하는 순수 이데올로기였을지도 모른다.
      1920년대 이후 문화정치에 발맞추어 일본의 신무용 공연이 경성과 부산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부산은 일본을 경유한 서구문물이 드나드는 관문도시였다. 그동안 국가문화사에서 부산은 예술의 변방으로 다루어져 왔다. 식민지시대가 부산무용의 공백기라는 기존의 관점과는 달리 신무용 열기는 뜨거웠다. 1926년 석정막의 공연이나 1930년 최승희의 공연을 막론하고 신무용의 기점으로 논의되는 두 공연 모두 같은 해에 부산에서도 이루어졌기에 부산 역시 경성처럼 신무용이 시작된 도시라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게다가 부산은 석정막, 최승희, 조택원, 배구자 들의 신무용 공연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도시였다. 이는 부산이 신무용이라는 새로운 무용예술을 감상할 관객층, 신무용을 구현할 수 있는 극장 환경, 지리적 편이성 등을 두루 갖추고 있었음을 드러내는 표지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배구자, 박영인, 박외선, 김해랑과 같은 신무용가가 나고 성장하였다. 그동안 일본 유학 후 김해랑 외에는 지역으로 돌아오지 않았기에 부산은 신무용 공연과 무용가가 머물렀다가 떠난 도시라고 인식되어 왔다. 이는 일제의 약탈적 교육이 성행하는 식민도시 부산의 한계였다. 하지만 길목성홍과 같은 신무용가가 무용연구소를 열어 무음악 무용작품 습작 <인스피레이션> 등의 신무용작품을 창작하는 한편 교육활동을 지속적으로 하였으며 부산여월회라는 단체가 <비 내리는 달님>, <새를 쫓는 자>와 같은 무용시(舞踊詩)를 창작했다. 즉 부산은 문화적 관문을 넘어 신무용을 창작하고 그것이 향유되는 지역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한국현대문화사대계-정치ㆍ경제사" 1978

      2 김정인, "한국근대사 2" 푸른 역사 2022

      3 김현남, "한국 현대무용의 시대적 흐름에 관한 연구" 37 (37): 425-435, 1998

      4 강이문, "한국 무용문화와 전통" 현대미학사 2001

      5 강이문, "한국 무용문화와 전통" 현대미학사 91-100, 2001

      6 강이문, "한국 무용문화와 전통" 현대미학사 31-47, 2001

      7 성기숙, "한국 근대춤의 전통과 신무용의 창조적 계승" 민속원 2009

      8 성기숙, "한국 근대춤의 담론적이해" 민속원 2007

      9 이송, "한국 근대춤의 담론적 이해" 민속원 201-218, 2007

      10 성기숙, "한국 근대무용가 연구" 민속원 2004

      1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한국현대문화사대계-정치ㆍ경제사" 1978

      2 김정인, "한국근대사 2" 푸른 역사 2022

      3 김현남, "한국 현대무용의 시대적 흐름에 관한 연구" 37 (37): 425-435, 1998

      4 강이문, "한국 무용문화와 전통" 현대미학사 2001

      5 강이문, "한국 무용문화와 전통" 현대미학사 91-100, 2001

      6 강이문, "한국 무용문화와 전통" 현대미학사 31-47, 2001

      7 성기숙, "한국 근대춤의 전통과 신무용의 창조적 계승" 민속원 2009

      8 성기숙, "한국 근대춤의 담론적이해" 민속원 2007

      9 이송, "한국 근대춤의 담론적 이해" 민속원 201-218, 2007

      10 성기숙, "한국 근대무용가 연구" 민속원 2004

      11 마리 뷔그만, "춤의 언어" 현대미학사 1994

      12 김영희, "일제강점기 초반 기생의 창작춤에 대한 연구-191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33) : 197-235, 2004

      13 정영진, "일제강점기 부산의 음악"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15) : 347-399, 1998

      14 이주희, "일본의 근대무용가 이시이바쿠(石井漠)의 조선에서의 무용활동 고찰" 한국무용예술학회 42 (42): 81-98, 2013

      15 이종숙, "인물로 본 신무용 예술사, 최승희에서 최현까지" 민속원 2018

      16 이시이 바쿠, "이시이 바쿠의 무용예술" 민속원 2011

      17 마산국제춤축제위원회, "우리춤의 선각자 춤꾼 김해랑" 불휘미디어 2011

      18 김경애, "우리 무용 100년" 현암사 2000

      19 성기숙, "외래춤의 이식과 신무용의 정체성" (1) : 40-52, 2000

      20 정진욱, "신무용의 개념과 역사적 위상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537-547, 2004

      21 김영희, "신무용 시기의 한성준과 그의 조선음악무용연구회 활동" (1) : 61-70, 2000

      22 전은자 ; 이재연, "신무용 기점에서 본 배구자 연구" 대한무용학회 45 (45): 177-202, 2005

      23 이진아, "식민지조선의 신무용과 근대적 예술 개념의 수용" 한국사회사학회 (112) : 199-240, 2016

      24 래리 샤이너, "순수예술의 발명" 인간의 기쁨 2015

      25 월터 D. 미뇰로, "서구 근대성의 어두운이면" 현암사 2018

      26 김온경, "부산춤 100년사"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 2010

      27 강이문, "부산무용의 토대와 비전" 현대미학사 21 (21): 90-94, 2015

      28 강이문, "부산무용의 진단" 현대미학사 21 (21): 95-100, 2015

      29 이병옥, "부산․영남 지역춤의 생태문화적 특성" 현대미학사 21 (21): 128-146, 2015

      30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무용용어해설집" 1975

      31 방정미, "무용미학" 형설출판사 1977

      32 이주희 ; 추정금, "동래권번에 관한 연구 - 학습내용과 기생의 활동 중심으로 -" 한국무용예술학회 24 (24): 155-180, 2008

      33 공영호, "근대무용의 개념과 기점에 관한 연구-갑오경장을 기점으로" (1) : 215-243, 2003

      34 정은영, "근대 전통춤의 형성과 민족주의적 성찰" 한국체육철학회 18 (18): 203-219, 2010

      35 성기숙, "근대 신무용의 장르인식과 공연미학" 대한무용학회 51 (51): 159-180, 2007

      36 이주영, "근대 무용사에 있어서 “한국성”의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식민지 시대 신무용을 중심으로" 11 (11): 35-42, 2011

      37 안성희, "권번 여기 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38 김복희, "광복 이전의 한국적 현대무용의 발전과정" 19 : 131-156, 1996

      39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2권" 1990

      40 부산직할시사편찬위원회, "『부산시사』 제1권" 1989

      41 이종숙, "‘무용(舞踊)’, ‘신무용(新舞踊)’ 용어의 수용과 정착: <매일신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기사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46 : 9-35, 2017

      42 손각중, "Modern Dance의 한국적 수용의 시대별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 31 (31): 39-62, 2010

      43 박상환, "20세기 초 한국의 춤과 몸에 대한 예술철학적 소고" 인문학연구원 (44) : 215-236, 2009

      44 이애순, "20세기 초 최승희무용의 수용과 변형양상 재고" (11) : 185-211, 2010

      45 가미자와 카즈오, "20세기 무용사"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