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일문학의 북한 표상 - 최실의 『지니의 퍼즐』 - = North Korea Represented in Zainichi Korean Literature : Jini’s Puzzle written by Che S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86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 in Japan represented in Jini’s Puzzle written by Che Sil, and thinks about the meaning of North Korea issue in recent Zainichi Korean Literature. The first thing worthy of notice is the structure o...

      This paper considers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 in Japan represented in Jini’s Puzzle written by Che Sil, and thinks about the meaning of North Korea issue in recent Zainichi Korean Literature.
      The first thing worthy of notice is the structure of the text, or the perspective. Through the chain transfer like Japan󰠏Chosun School󰠏North Korea, the problems happened in Japan are concentrated on North Korea, and this process is overlooked from the position of the United States. This structure directly represents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 in Japan. In fact, Jini’s conflict is the problem faced in the position of Zainichi. As soon as Zainichi, however, is replaced by North Korea in Japan, the basic issues arisen from the Japanese society such as discrimination or violence are erased.
      Through the period of the colonization and the Cold War,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have been involved each other in history, international relation, and separation, et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diachronic and comprehensive view over these problems. It is significant to think about the historicity and literary implications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by objectifying the sensation the text arou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최실의 『지니의 퍼즐』에 표현된 일본사회의 북한 인식을 살펴보고, 최근에 재일문학이 표상해 온 북한 문제에 대하여 그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지니의 퍼즐』에서 우선 주목...

      본고는 최실의 『지니의 퍼즐』에 표현된 일본사회의 북한 인식을 살펴보고, 최근에 재일문학이 표상해 온 북한 문제에 대하여 그 의미를 생각해 본 것이다. 『지니의 퍼즐』에서 우선 주목할 점은 소설의 구조, 즉 시선의 문제이다. 일본󰠏조선학교󰠏북한으로 연쇄되는 이동이 거듭되면서 일본에서 일어나는 문제가 북한으로 초점이 집중되고, 일련의 과정을 미국이라는 제삼의 위치에서 조망하는 구도는 일본사회의 북한 인식의 단면을 보여준다. 작중인물 지니가 겪는 갈등은 재일(在日)하는 입장에서 부딪히는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재일’이 일본 속의 북한 문제로 등치되는 순간 정작 일본사회에 배태된 차별과 폭력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들은 소거되어 버린다.
      한반도와 일본은 식민과 분단, 냉전의 시간을 지나오면서 역사문제나 국제관계뿐만 아니라 남북한 간에, 그리고 북일 간에 이산(離散)의 문제가 얽혀 있어 통시적이고 포괄적인 시좌와 인식이 필요하다. 특히, 재일문학은 이러한 얽힌 문제들이 다양하게 표출되는 공간이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문학 텍스트는 주체와 대상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견지하기 어려운 만큼,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시각을 갖고 시대적인 보편성을 찾아낼 수 있을 때에 비로소 새로운 해석의 지평이 열릴 것이다. 본고에서 최실의 『지니의 퍼즐』이 일본에 불러일으킨 반향을 대상화하여 재일문학이 갖는 역사성과 문학적 함의를 찾아내려고 한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宋基燦, "「語られないもの」としての朝鮮学校─在日民族教育とアイデンティティ・ポリティクス─" 岩波書店 2012

      2 정영환,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푸른역사 2019

      3 서경식, "책임에 대하여-현대 일본의 본성을 묻는 20년의 대화" 돌베개 2019

      4 최실, "지니의 퍼즐" 은행나무 2018

      5 오미정, "전후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수용 ― 잡지 『民主朝鮮』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0) : 145-167, 2011

      6 신승모, "전후 ‘재일’외국인의 문학상 수상과 ‘다문화사회’의 향방" 일본학연구소 44 : 289-321, 2017

      7 김인덕,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연구" 국학자료원 : 새미 2016

      8 홍윤표, "읽는 만큼 보이는 일본" 역락 2019

      9 정영환, "일본의 조선학교(김지연 사진집)" 눈빛출판사 2013

      10 김태경, "분노사회 일본―2000년대 이후 일본 사회・문화 분석―" 일본연구소 54 : 151-169, 2018

      1 宋基燦, "「語られないもの」としての朝鮮学校─在日民族教育とアイデンティティ・ポリティクス─" 岩波書店 2012

      2 정영환,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푸른역사 2019

      3 서경식, "책임에 대하여-현대 일본의 본성을 묻는 20년의 대화" 돌베개 2019

      4 최실, "지니의 퍼즐" 은행나무 2018

      5 오미정, "전후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수용 ― 잡지 『民主朝鮮』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0) : 145-167, 2011

      6 신승모, "전후 ‘재일’외국인의 문학상 수상과 ‘다문화사회’의 향방" 일본학연구소 44 : 289-321, 2017

      7 김인덕,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연구" 국학자료원 : 새미 2016

      8 홍윤표, "읽는 만큼 보이는 일본" 역락 2019

      9 정영환, "일본의 조선학교(김지연 사진집)" 눈빛출판사 2013

      10 김태경, "분노사회 일본―2000년대 이후 일본 사회・문화 분석―" 일본연구소 54 : 151-169, 2018

      11 송화섭, "대화와 압력의 일본 대북정책-북・일 관계정상화는 핵・미사일・납치문제가 선행돼야 한다-" 2006

      12 구니토 아미, "구술증언으로 본 재일탈북자의 일상생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9 0.732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