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당-신라 능묘비 형태의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Form of Royal and Elite’s Tombstone in Tang and Sill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lla Tombstone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Korean tombstone culture. This is because the various factors observed in these tombstones were later expanded to all different kinds of tombstones. Another additional reason is Silla tombsto...

      Silla Tombstone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Korean tombstone culture. This is because the various factors observed in these tombstones were later expanded to all different kinds of tombstones. Another additional reason is Silla tombstones’ persistency, which was steadily succeeded and developed to late Silla and early Goryeo period, through Goryeo dynasty and finally to Joseon dynasty.
      Silla Tombstone is an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of Tang’s tombstone culture. In order to closely research the process, the style of writing, typeface, and general form itself must be comprehensively compared. Among those items written above, comparative studies on writing styles and typefaces have already been done. However, comparative research on tombstones’ form has not yet been specifically dealt wit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of Silla tombstone by comparing forms of Tang-Silla tombstone itself. Through this form comparison between the two, this study aims to infer the meaning of imitation and transformation pattern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ang-Silla tombstones by dividing them into tombstone’s head-body-bearing support, and placement methods, it was possible to view the overall process of imitation and to understand Silla’s reflection of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jection of the ideological system. Particularly, Silla did not unconditionally accept the entire tombstone culture, but rather led a fairly autonomous culture through compromising the methods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China or projecting the idea of “King is Buddha” Ideological system.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point of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의 능비와 묘비는 한국의 비 문화 형성과정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다. 이들에서 관찰되는 제 속성은 이후 탑비(塔碑), 사적비(事蹟碑) 등으로 확대되었음과 동시에 나말여초, 고려, 조...

      신라의 능비와 묘비는 한국의 비 문화 형성과정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다. 이들에서 관찰되는 제 속성은 이후 탑비(塔碑), 사적비(事蹟碑) 등으로 확대되었음과 동시에 나말여초, 고려, 조선까지 꾸준하게 계승, 발전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신라 능묘비는 중국 당(唐) 능묘비 문화를 신라가 모방, 변용한 것이다. 그 과정을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체(文體), 서체(書體), 형태를 종합적으로 비교해야 한다. 이 중 문체, 서체에 대한 비교연구는 이미 진행된 바 있으나 형태에 대한 비교연구는 아직 구체적으로 다루지 못한 듯하다. 따라서 이 글은 당-신라 능묘비의 형태를 비교하여 신라의 당 능묘비 모방, 변용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추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당-신라 능묘비를 비수(碑首), 비신(碑身), 비부(碑趺), 배치방식으로 나누어 비교하고 그 의미를 추론해본 결과 여러 요소에서 신라의 당 능묘비 모방 과정, 전통적인 제작기법의 반영, 관념체계의 투영 등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신라가 당 능묘비 문화 전반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중국 남북조시대의 방식을 절충하거나 왕즉불(王卽佛) 사상을 투영하는 등 상당히 주체적인 능묘비 문화를 영위하였음을 밝힌 점은 이 글의 가장 큰 의의라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黃壽永, "金石文의 新例" 일지사 5 : 1976

      2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석비 -고대(국보·보물)-" 2020

      3 정인성, "한국고고학자가 다시 쓰는 『조선고적조사보고』 -1909년과 1910년의 조사내용-" 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2020

      4 李完雨, "통일신라시대의 唐代 書風의 수용" 한국미술사학회, 예경 2001

      5 권준희, "통일신라 왕릉의 석인상(石人像) 복식 연구(Ⅰ) - 양당개(裲襠鎧) 착용 석인상을 중심으로 -" 한복문화학회 20 (20): 31-52, 2017

      6 朱甫暾, "통일신라 (陵)墓碑에 대한 몇 가지 논의" 한국목간학회 9 : 2012

      7 유향양, "중국 당대 황제릉 연구" 서경문화사 2012

      8 裵魯燦, "유라시아 고고와 문화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40周年 記念 論叢-" 간행위원회 2020

      9 울산박물관, "울산 율리 영축사지 발굴조사보고서 Ⅱ" 2018

      10 박상준, "신라하대 탑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1 黃壽永, "金石文의 新例" 일지사 5 : 1976

      2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석비 -고대(국보·보물)-" 2020

      3 정인성, "한국고고학자가 다시 쓰는 『조선고적조사보고』 -1909년과 1910년의 조사내용-" 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2020

      4 李完雨, "통일신라시대의 唐代 書風의 수용" 한국미술사학회, 예경 2001

      5 권준희, "통일신라 왕릉의 석인상(石人像) 복식 연구(Ⅰ) - 양당개(裲襠鎧) 착용 석인상을 중심으로 -" 한복문화학회 20 (20): 31-52, 2017

      6 朱甫暾, "통일신라 (陵)墓碑에 대한 몇 가지 논의" 한국목간학회 9 : 2012

      7 유향양, "중국 당대 황제릉 연구" 서경문화사 2012

      8 裵魯燦, "유라시아 고고와 문화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40周年 記念 論叢-" 간행위원회 2020

      9 울산박물관, "울산 율리 영축사지 발굴조사보고서 Ⅱ" 2018

      10 박상준, "신라하대 탑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11 이근직, "신라왕릉연구" 학연문화사 2012

      12 이영호, "신라 중대의 정치와 권력구조" 지식산업사 2014

      13 이영호, "신라 아찬 金恭順 神道碑片 검토" 영남문화연구원 (81) : 37-68, 2022

      14 양은경, "신라 쌍탑가람의 기원과 출현배경" 한국미술사학회 308 (308): 35-71, 2020

      15 정현숙, "신라 사천왕사지 출토 비편의 새로운 이해" 한국목간학회 (22) : 197-220, 2019

      16 박홍국, "새로 발견된 신라 恭順阿湌碑片의 조사와 碑文 書者" 영남문화연구원 (81) : 7-35, 2022

      17 윤선태, "비편으로 찾은 또 하나의 성전사원, 낭산, 도리천 가는 길" 국립경주박물관 2022

      18 박광연, "동아시아의 ‘王卽佛’ 전통과 미륵불 궁예" 한국사학회 (110) : 87-122, 2013

      1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돌에 새긴 유목민의 삶과 꿈 -몽골의 암각화·사슴돌·비문 탁본-" 2008

      20 國立慶州博物館, "낭산, 도리천 가는 길" 2022

      21 진복규, "나말여초(羅末麗初)의 비액서풍(碑額書風)" 미술사학연구회 (30) : 125-158, 2008

      22 남동신, "나말려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56) : 81-111, 2005

      23 심수연, "경주지역 통일신라 귀부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24 대경건축사사무소,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9

      25 강정근, "경주 이조리소재 崔震立神道碑 龜趺의 彫刻樣式과 編年問題 -統一新羅時代 龜趺의 樣式과 관련하여-" 경주사학회 (32) : 77-109, 2010

      26 대경건축사사무소, "경주 서악동 귀부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9

      27 黃壽永, "韓國金石遺文" 일지사 1976

      28 關野貞, "韓国의 建築과 藝術 東京帝国大学 -韓国建築調査報告-" 산업도서출판공사 1990

      29 關野貞, "韓国建築調査報告" 東京帝国大学工科大学 1904

      30 田有前, "雕刻时光 -陕西古代石刻-" 陕西人民出版社 2016

      31 "隋書"

      32 朴日薰, "金庾信墓와 金仁問墓" 한국미술사학회 100 : 1968

      33 张宇, "论唐碑形制与碑碣制度之不符现象" 荣宝斋有限公司 6 : 2015

      34 田有前, "西北艺术文物考察团唐陵考察活动述评" 中国国家博物馆 2 : 2013

      35 李基東, "羅末麗初 近侍機構와 文翰機構의 擴張 -中世的 側近政治의 志向-" 역사학회 77 : 1975

      36 崔尙睦, "統一新羅時代龜趺 및 이首의 樣式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75

      37 李浩官, "統一新羅時代의 龜趺와 螭首" 한국미술사학회 154-155 : 1982

      38 郭丞勳, "統一新羅時代의 政治變動과 佛敎" 국학자료원 2002

      39 杨磊, "汉魏晋南北朝石碑形制研究" 山东艺术学院 2011

      40 關野貞, "朝鮮藝術之硏究" 度支部建築所 1910

      41 金玟圭, "朝鮮時代 陵墓碑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9

      42 张沛, "昭陵碑石" 三秦出版社 1993

      43 정현숙, "新羅와 北魏 ․ 隋 ․ 唐의 書藝 比較 硏究" 한국서예학회 (13) : 189-219, 2008

      44 東國大學校慶州캠퍼스博物館, "新羅狼山遺蹟調査 고적조사보고 1" 1985

      45 齋藤忠, "新羅文化論攷" 吉川弘文館 1973

      46 정병모, "新羅 書畫의 對外交涉" 한국미술사학회, 예경 2000

      47 李泳鎬, "新羅 文武王陵碑의 再檢討" 역사교육학회 8 : 1986

      48 엄기표, "新羅 5~6世紀 石碑의 전개와 특징" 한국목간학회 (18) : 37-65, 2017

      49 "新唐書"

      50 國立慶州博物館, "文字로 본 新羅 -新羅人의 記錄과 筆跡-" 2002

      51 "宋書"

      52 "大唐開元禮"

      53 李炳武, "大唐歌飞的千年传奇 -昭陵博物馆-" 西安出版社 2018

      5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四天王寺 Ⅲ -回廊外廓 발굴조사보고서-" 2014

      55 陕西省考古研究院, "唐顺陵" 文物出版社 2017

      56 张宇, "唐碑形制与唐代碑碣制度关系考" 四川师范大学 2014

      57 陕西省考古研究院, "唐昭陵韦贵妃墓发掘报告" 科学出版社 2017

      58 昭陵博物馆, "唐昭陵李勣(徐懋功)墓清理简报" 陕西省考古研究所 3 : 2000

      59 陕西省考古研究所, "唐新城长公主墓发掘报告" 科学出版社 2004

      60 陈安利, "唐十八陵" 中国青年出版社 2001

      61 王名峰, "唐代乾陵石刻模式形成研究" 西安美术学院 2018

      62 奈良県橿原考古学研究所, "南朝石刻, 中国南朝陵墓の石造物 図録" 橿原考古学協会 2002

      63 南京博物院, "南京陵墓雕刻艺术" 文物出版社 2006

      64 侯立新, "关中唐代碑刻硏究" 陕西师范大学 2014

      65 韦正, "六朝墓葬的考古学研究" 北京大学出版社 2011

      66 胡春勃, "从几件唐代神道碑看唐代碑首的变化" 河北省群众艺术馆 7 : 2016

      67 배노찬, "九政洞 方形墳 年代 再考" 중앙문화재연구원 (36) : 1-37, 2021

      68 卢蓉, "中国墓碑研究"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15

      69 王文广, "中国古代碑之设计" 苏州大学 2012

      70 "三國史記"

      71 洪思俊, "「新羅 文武王陵 斷碑」 追記" 한국미술사학회 26 : 1962

      72 진복규, "〈태종무열왕릉비〉 비액연구"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9 : 2007

      7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Ⅱ.신라왕릉 현황조사보고서 [도면편]" 2013

      7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Ⅰ.신라왕릉 현황조사보고서 [본문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