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地圖와 地誌의 기록으로 본 은평 지역의 지명 = Place Name Changes in Eunpyeong Area: Observations from Records ofOld Maps and Historical Geographical Tex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1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은평구는 조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행정 경계와 지명의 소멸, 개명, 추가 등 변화가 많은 지역이다. 고지도와 지지, 근대지도에 표기된 지명은 유지되는 경우도 있지만, 소멸되...

      현재 은평구는 조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행정 경계와 지명의 소멸, 개명, 추가 등 변화가 많은 지역이다. 고지도와 지지, 근대지도에 표기된 지명은 유지되는 경우도 있지만, 소멸되거나 개명, 추가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지명과 행정 경계 변화는 고지도와 지지, 근대지도에 기록된 지명과 경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 은평구를 중심으로 연구 지역의 범위를 설정하고, 고지도와 지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근대지도에 표기된 지명과 행정 경계를 중심으로 은평 지역의 장소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자료는 고지도 11종 16장, 지지 8종, 「京城府地圖」 등 근대지도 2종으로 자료에 기록된 은평 지역의 지명과 경계를 파악하였다. 은평 지역의 지명은 磚石峴, 白蓮山 등 자연지명은 현재에도 유지되거나 개명되어 사용되고 있고, 安養洞, 梁鐵坪, 迎署驛 등 인문지명은 1914년 이후에 소멸되거나 개명된 지명이 확인되었다. 자료에 기록된 지명을 통해 은평 지역은 의주대로의 시작 지점으로의 교통로 역할과 사찰의 즐비해 있는 종교문화 공간으로서의 장소성을 지닌 곳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은평 지역의 미시적인 연구 범위를 설정하여 시기에 따른 지명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후 연구지역 범위를 확대하여 지역에 해당하는 기초자료를 조사하고 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역 연구를 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홍제원"

      2 박선영,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1 (11): 93-116, 2019

      3 박선영,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3 (33): 13-34, 2021

      4 김기혁, "지역문화 연구 자료로서 고지도 및 지리지: 조선 후기 군현지도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119-142, 2007

      5 최원석, "조선후기 고지도에 재현된 지역경관 - 남해안 및 진주를 사례로 -" 경남문화연구원 (49) : 243-276, 2016

      6 권선정,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大田의 장소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8 (28): 55-74, 2016

      7 이현군, "조선시대 한성부 도시구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의주로 가는 길, 은평의 역과 참" 은평역사한옥박물관 2018

      9 송여정 ; 김연희, "은평한옥마을의 문화관광자원화 연구" 한국지역문화학회 4 (4): 51-68, 2017

      10 은평구청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은평역사한옥박물관(상설전시도록)" 은평역사한옥박물관(은평구청 문화관광과) 2017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홍제원"

      2 박선영,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특징– 국내외 주요 소장처를 중심으로 -"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1 (11): 93-116, 2019

      3 박선영, "한국 근대지형도의 소장 현황과 조선지형도(제2차지형도)의 특징 - 국립중앙박물관과 스탠포드대학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33 (33): 13-34, 2021

      4 김기혁, "지역문화 연구 자료로서 고지도 및 지리지: 조선 후기 군현지도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119-142, 2007

      5 최원석, "조선후기 고지도에 재현된 지역경관 - 남해안 및 진주를 사례로 -" 경남문화연구원 (49) : 243-276, 2016

      6 권선정, "조선후기 고지도를 통해 본 大田의 장소성"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8 (28): 55-74, 2016

      7 이현군, "조선시대 한성부 도시구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의주로 가는 길, 은평의 역과 참" 은평역사한옥박물관 2018

      9 송여정 ; 김연희, "은평한옥마을의 문화관광자원화 연구" 한국지역문화학회 4 (4): 51-68, 2017

      10 은평구청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은평역사한옥박물관(상설전시도록)" 은평역사한옥박물관(은평구청 문화관광과) 2017

      11 문화재청, "금암기적비"

      12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국역 북한지(北漢誌)" 1994

      13 국가기록원, "경성부전도"

      14 "首善全圖"

      15 "輿地圖"

      16 "漢京識略"

      17 "海東地圖"

      18 "楊州郡邑誌"

      19 "東輿圖"

      20 "東國輿地備攷"

      21 "東國輿圖"

      22 "擇里志"

      23 "御製守城綸音"

      24 "廣輿圖"

      25 "山徑表"

      26 "大東輿地圖"

      27 "地乘"

      28 "八道郡縣地圖"

      29 "京畿邑誌"

      30 "京畿誌"

      31 "京城府全圖"

      32 "京城(1:50,000, 1918年 測圖,製版)"

      33 "京兆府誌"

      34 "[畿甸]邑誌"

      35 "1872년지방지도"

      36 양보경, "16~17세기 읍지의 편찬 배경과 그 성격" (27) : 51-71,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