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金石集帖』의 여성 묘주 탁본 연구 = A Study of Female Graves Rubbings on 《Geumseokjipche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4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rubbings related to female graves from The Album of Inscriptions (金石集帖, Geumseokjipcheop) housed at Kyoto University Library, shedd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ravestones and epigraphs. This paper also aims at...

      This paper explores rubbings related to female graves from The Album of Inscriptions (金石集帖, Geumseokjipcheop) housed at Kyoto University Library, shedd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gravestones and epigraphs. This paper also aims at analyzing the way female lives and death were dealt with in Chosŏn Korea. The questions this paper raises is to be answer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is paper examines what the aspects of left (左, Zuo) engraved on the husband's tombstone are like. The tombstone building practice is accompanied by the funeral ceremony, and especially in women's funerals, the significance of ‘Fuzuo (祔左),’ meaning female is buried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husband's grave, and woman obeys her husband even after death, is emphasized. Even during Chosŏn dynasty, however, there were anomalies due to the location of the husband's tomb and geomancy, including suffering from an early death without children. which case woman was returned to her parents who tried to set up a gravestone, and show their daughter’s life objectively regardless childbirth or parenting. This phenomenon is also seen in the family of Sarim in the early Chosŏn Dynasty.
      Next, it is revealed what kind of woman's monument was erected. Building a monument is a costly, labor-intensive task. Nevertheless, not all female owners of the gravestones are not the wife or mother of a bureaucrat who served as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or a good mother who had children and raised them well. These tombstones indicates that there was a perception that everyone’s life should be remembered during the Chosŏn dynasty. And the format of the female gravestones is elucidated; this style does not change much depending on whether the owners of gravestones are male or female. Nonetheless, a unique form was created such as planning and building a common tombstone for couples.
      This paper aims to deepen comprehension of the life and death of women, and the attitude of women toward life and death in the Chosŏn Korea. However, since it was not easy to set up a gravestone, understanding of women's lives and deaths through the monument is probably limited to upper-class wom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본 교토대학 부속도서관(이하 교토대학) 소장 『金石集帖』에 수록된 女性墓主 拓本을 분석하여 여성묘주 碑石과 碑文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가 여성의 삶과 죽...

      본 연구는 일본 교토대학 부속도서관(이하 교토대학) 소장 『金石集帖』에 수록된 女性墓主 拓本을 분석하여 여성묘주 碑石과 碑文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통해 조선시대가 여성의 삶과 죽음을 대하는 태도를 보다 깊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음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남편의 비석에 새겨진 “祔左”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비석은 장례문화에 수반되는 행위인데 여성의 장례에서는 “祔左의 禮”를 중시하였다. “부좌”는 남편의 무덤을 기준으로 그 왼쪽에 묻혔다는 뜻으로 여성이 죽음 이후에도 남편을 따른다는 從葬을 의미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도 “부좌의 예”를 행하지 않은 여성들이 있었다. 남편의 무덤의 위치가 부좌를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고, 풍수적인 이유 등으로 부좌를 하지 못한 여성들이 있었다. 그 이외에는 자식이 없이 일찍 죽은 여성들이 부좌를 하지 못하고 친정 묘역으로 돌아갔다. 친정에서는 자식이 없이 요절한 딸의 일생을 출산, 양육, 출가외인 등의 관념으로 재단하지 않고 비석을 세워 드러내고 알리고자 하였다. 조선전기 사림 집안에서도 볼 수 있는 일이었다. 동시에 남편이나 시댁 관련 정보를 비문에 새겨 딸 혹은 누이가 시댁이나 남편과의 갈등이나 불화로 인해 부좌를 하지 못하였다는 오해를 警戒하고자 하였다.
      다음, 조선시대는 어떤 여성의 비석을 세웠던가를 밝혔다. 비석을 세우는 일은 비용과 인력과 공력이 드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석의 여성묘주가 반드시 높은 관직을 역임한 관료의 아내나 어머니, 자식을 낳아 잘 기른 훌륭한 어머니는 아니었다. 이러한 여성묘주의 비석은 조선시대에 누구의 삶도 기억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다음, 여성묘주 碑文의 형식을 분석하였다. 묘도문자의 형식은 묘주가 남성인가 여성인가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묘주의 비문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형식이 생성되었다. 撰者는 부부 공동의 비석을 기획하였고, 공동 撰者의 비석이 세워졌으며, 비석이라는 공간에서 부모와 나와 나의 자녀가 함께 존재하는 애틋하고 정겨운 가족의 모습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의 여성의 삶과 죽음, 조선시대가 여성의 삶과 죽음을 대하는 태도, 조선시대의 여성의 존재 양상에 대한 이해를 보다 깊게 하고자 하였다. 단 비석이 세우는 일이 쉬운 일이 아니었기에 비석을 통해 여성의 삶과 죽음을 이해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층 여성에 대한 이해로 제한될 한계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石集帖"

      2 "金石錄"

      3 "金石錄"

      4 "金石錄"

      5 "金石錄"

      6 "金石淸玩"

      7 구자훈 ; 한민섭, "金在魯 『金石錄』의 구성과 그 특징" 한국실학학회 (21) : 237-302, 2011

      8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1책" 태학사 657-676, 2012

      9 심경호,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일조각 107-135, 2021

      10 강혜선, "조선후기 女性 描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학회 (30) : 7-36, 2002

      1 "金石集帖"

      2 "金石錄"

      3 "金石錄"

      4 "金石錄"

      5 "金石錄"

      6 "金石淸玩"

      7 구자훈 ; 한민섭, "金在魯 『金石錄』의 구성과 그 특징" 한국실학학회 (21) : 237-302, 2011

      8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1책" 태학사 657-676, 2012

      9 심경호,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일조각 107-135, 2021

      10 강혜선, "조선후기 女性 描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학회 (30) : 7-36, 2002

      11 강혜선, "조선후기 여성 대상 제문과 묘지명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국문학회 (13) : 57-82, 2005

      12 심경호, "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 근역한문학회 49 : 273-350, 2018

      13 최효식, "동도 명기 홍도 최계옥의 일생에 대하여" 신라문화연구소 (30) : 225-241, 2007

      14 강명관, "그림으로 읽는 조선 여성의 역사" 휴머니스트 20-26, 2012

      15 심경호, "교토대학 소장 금석집첩(金石集帖)에 대하여" 민족문화연구원 (83) : 211-248, 2019

      16 홍완표, "고려시대 귀족 여성의 혼인 생활 연구: 염경애 묘지명을 중심으로" 한경대 185-195, 2005

      17 金昌協, "農巖集" 한국고전번역원

      18 朴祥, "訥齋集" 한국고전번역원

      19 南九萬, "藥泉集" 한국고전번역원

      20 "海東金石苑"

      21 李裕元, "林下筆記" 한국고전번역원

      22 鄭蘊, "東谿集" 한국고전번역원

      23 葛城末治, "朝鮮金石攷" 亞細亞文化社 1-734, 1978

      24 박철상, "朝鮮時代 金石學 硏究"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25 李瀷, "星湖先生全集" 한국고전번역원

      26 "日省錄"

      27 藤本幸夫, "日本現存朝鮮本硏究 史部" 동국대 출판부 1338-1890, 2018

      28 "己卯錄補遺"

      29 權尙夏, "寒水齋集" 한국고전번역원

      30 "大東金石書"

      31 金柱臣, "壽谷集" 한국고전번역원

      32 朴世采, "南溪先生朴文純公文續集" 한국고전번역원

      33 박진완, "京都大學 부속도서관 소장 『金石集帖』 자료 현황" 국사편찬위원회

      34 최기숙, "18세기 여성 대상 애제문과 비지문을 통해 본 한문의 ‘문자적ㆍ구술적’ 포용성 - ‘한문/언문’과 ‘말/글’의 중첩과 포용의 맥락" 한국고전문학회 (48) : 259-289, 2015

      35 황수연, "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한국고전여성문학회 (6) : 161-19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