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조선 후기 승려의 금강산 유람록 연구-18세기 허정 법종(虛靜法宗), 19세기 혼원 세환(混元世煥)의 금강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ravel Essays of Mt. Geumgang by Mon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26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cords of travel to Mt. Geumgang by two mon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are Yugeumgangnok (遊金剛錄) by Heojeong Beopjong (허정법종) (1670-1733) in the 18th century and Geumgangnok (金剛錄) by Honwon Seh...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cords of travel to Mt. Geumgang by two mon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are Yugeumgangnok (遊金剛錄) by Heojeong Beopjong (허정법종) (1670-1733) in the 18th century and Geumgangnok (金剛錄) by Honwon Sehwan (혼원세환) (1853-1889) in the 19th century.
      These two monks were well-educated and literate enough for their literary works to be published. In their records, their identity as monks is revealed, and they recognized and described the space of Mt. Geumgang from a monk’s perspectiv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our route, the appearance of the temple on Mt. Geumgang, and the monks’ perceptions of the space of Mt. Geumgang. The significance of the travel essays of these two monks lies in the fact that they faithfully recorded the traditions related to the temple and place name of Mt. Geumga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majority of Confucian scholars. Beopjong and Sehwan made records of their visits to Mt. Geumgang, convinced that the Buddha, Bodhisattva, Sravaka, and Ten Kings of Hell resided in the space of Mt. Geumgang, Therefore, their travel was not a journey for pleasure, but a pilgrimage to the world of Buddhism.
      Thus, the travel essays of these two monk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showing their perceptions,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dimension of discourse surrounding the representation of Mt. Geumga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에 금강산 유람은 크게 유행하여 수많은 유람록이 남아있다. 그 기록의 작자는 대부분 양반 문인들이었다. 유람록에서 불교에 대한 내용은 여행자의 피상적 관찰과 유학자의 시각...

      조선 후기에 금강산 유람은 크게 유행하여 수많은 유람록이 남아있다. 그 기록의 작자는 대부분 양반 문인들이었다. 유람록에서 불교에 대한 내용은 여행자의 피상적 관찰과 유학자의 시각에서 서술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두 승려의 금강산 유람기록을 다루었다. 18세기 허정 법종(1670-1733)의 「유금강록(遊金剛錄)」과 19세기 혼원 세환(1853-1889)의 「금강록(金剛錄)」이다. 이 글은 승려 유람록에 대한 시론적 연구로서, 법종과 세환의 금강산 유람 기록 중 유람 경로와 금강산 사찰의 모습, 금강산 공간 인식을 검토하였다.
      산수 유람이 크게 유행하던 시기에 이 두 승려는 유람을 표방하고 금강산 곳곳을 순력하여 유려한 문장으로 기록을 남겼다. 그 기록들은 당시 금강산 유람의 시대적 양태를 반영하는 한편, 대다수의 유학자들과는 차별화된 시각에서 금강산 사찰과 지명에 얽힌 전승을 충실히 기록했다. 유학자의 유람록에서 승려들은 유람을 위한 노동력이나 관찰 대상이었다. 승려가 유람의 주체가 되어 남긴 기록은 금강산 유람의 다층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자료이다. 법종과 세환의 기록에서는 금강산 공간을 승려의 시각에서 인식하고 표현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두 승려는 금강산을 순력하면서 부처와 보살, 성문, 시왕이 주처하는 불세계임을, 역대 고승들이 자취가 남은 역사적 공간임을 확신하고 기록을 남겼다. 따라서 이들의 유람은 보통의 산수 유람이 아니라 불세계에 대한 순례길이었다고 여겨진다. 이렇게 조선 후기 승가의 인식을 보여주는 두 승려의 유람록은 금강산 표상을 둘러싼 담론의 장에 중요한 의미를 준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CHOI, Young Jun(최영준), "嶺南大路 [The Main Road in Region of Youngnam]"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1990

      2 SEHWAN (세환), "혼원집 [A collection of HonWon's works]" 동국대학교 출판부 (Dongguk University Press) 2020

      3 BEOPJONG (법종), "허정집 [A collection of HeoJeong's works]" 동국대학교 출판부 (Dongguk University Press) 2015

      4 KWON, Sang Ro(권상로), "한국사찰전서[The Collection of Korean Temples]" 이화문화사(EhwaMunhwasa) 1990

      5 이경순, "조선후기 사족(士族)의 산수유람기에 나타난 승려 동원과 불교 전승 비판" 한국사상사학회 (45) : 373-405, 2013

      6 최윤정, "조선후기 금강산의 불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7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정책의 실제: 승정체제, 사찰, 승도에 대한 정책의 성격과 변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3) : 171-196, 2018

      8 고영섭,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 표훈사, 유점사, 신계사, 건봉사를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4) : 305-353, 2010

      9 강호선, "고려시대 강원지역 불교의 전개" 강원사학회 (32) : 31-58, 2019

      10 YUJEOM-SA(유점사), "楡岾寺本末寺誌[The Record of the Head and Branch temples of Yu-jeom-sa]" 아세아문화사 (AsiaMunhwasa) 1977

      1 CHOI, Young Jun(최영준), "嶺南大路 [The Main Road in Region of Youngnam]"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1990

      2 SEHWAN (세환), "혼원집 [A collection of HonWon's works]" 동국대학교 출판부 (Dongguk University Press) 2020

      3 BEOPJONG (법종), "허정집 [A collection of HeoJeong's works]" 동국대학교 출판부 (Dongguk University Press) 2015

      4 KWON, Sang Ro(권상로), "한국사찰전서[The Collection of Korean Temples]" 이화문화사(EhwaMunhwasa) 1990

      5 이경순, "조선후기 사족(士族)의 산수유람기에 나타난 승려 동원과 불교 전승 비판" 한국사상사학회 (45) : 373-405, 2013

      6 최윤정, "조선후기 금강산의 불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7 손성필, "조선시대 불교정책의 실제: 승정체제, 사찰, 승도에 대한 정책의 성격과 변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3) : 171-196, 2018

      8 고영섭, "금강산의 불교신앙과 수행전통 : 표훈사, 유점사, 신계사, 건봉사를 중심으로" 보조사상연구원 (34) : 305-353, 2010

      9 강호선, "고려시대 강원지역 불교의 전개" 강원사학회 (32) : 31-58, 2019

      10 YUJEOM-SA(유점사), "楡岾寺本末寺誌[The Record of the Head and Branch temples of Yu-jeom-sa]" 아세아문화사 (AsiaMunhwasa) 1977

      11 이경순, "17-18세기 士族의 유람과 山水空間 인식"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4

      12 이종수, "16-17세기 유학자의 유람록으로 본 금강산 불교" 경남문화연구원 (51) : 229-259, 2016

      13 YI, Meon Shin (이면신), "(갑오년의 금강산 유람) 봉래일기 [A Journal of Bongrae (Geumgang mountain) in 1894]" 올리브그린 (Olive green) 18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