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詩畫를 통한 교유에 관한 試論: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李澄 筆 山水花鳥圖帖》(보물 1985호)을 중심으로 = A Brief Study of the Formation of the Literati’s Friendship through Poems and Paintings in the Mid-Joseon Period with Focus on The Album of Landscape, Flowers, and Birds by Yi Jing (李澄) (National treasure No.1985)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제작 상황과 전래 내력을 말해주는 서발문과 관련 기록들을 통해 미술품의 역사성을 비교적 상세하게 밝힐 수 있는 문화재이다.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화가 이...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제작 상황과 전래 내력을 말해주는 서발문과 관련 기록들을 통해 미술품의 역사성을 비교적 상세하게 밝힐 수 있는 문화재이다.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화가 이징이 그림을 그리고, 국왕 선조의 부마인 신익성이 서문을 지었다. 그리고 또 다른 부마 윤신지를 비롯하여 5명의 사대부들이 상당한 양의 제화시를 작성했고, 그 중 한 명인 정두경은 발문에 해당하는 글을 지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화로 꾸며진 화첩은 선조의 또 다른 부마인 서경주의 아들 서정리가 소장하고 있었다.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그림을 매개로 하여 시문을 주고받는 문화활동이 정서적 교감과 집단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집단 지성을 형성하는 수단이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서문과 제화시를 작성한 인물들은 모두 광해군대의 정치적 시련을 공유했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문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속에서 그림을 매개로 한 시의 수창으로 공감대를 형성했고, 그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바로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정, "李景嚴의 斜川庄 경영과 『斜川詩帖』의 의미 재론" 국문학회 (19) : 27-58, 2009

      2 이명희, "현주 이소한의 한시 연구 - 가계문학 계승양상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98 : 217-247, 2018

      3 장지성, "한국의 화훼영모화" 안그라픽스 2020

      4 박헌순, "한국문집총간해제 3" 1999

      5 정옥자,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돌베개 2012

      6 정옥자, "조선시대 문화사 (하) - 시대정신과 인간의 대응" 일지사 2008

      7 오세현, "조선 후기 한양 동부(東部) 관동(館洞)의 인문지리와 연안이씨(延安李氏) 관동파(館洞派)" 서울학연구소 (61) : 31-72, 2015

      8 김은정, "신익성의 金剛山 유람과 문학적 표현" 진단학회 (98) : 107-129, 2004

      9 지두환, "선조대왕과 친인척 – 조선의 왕실 14-2 선조 후궁" 역사문화 2002

      10 이은하, "문화재대관 보물 – 회화 Ⅰ" 문화재청 2018

      1 김은정, "李景嚴의 斜川庄 경영과 『斜川詩帖』의 의미 재론" 국문학회 (19) : 27-58, 2009

      2 이명희, "현주 이소한의 한시 연구 - 가계문학 계승양상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98 : 217-247, 2018

      3 장지성, "한국의 화훼영모화" 안그라픽스 2020

      4 박헌순, "한국문집총간해제 3" 1999

      5 정옥자, "지식기반 문화대국 조선" 돌베개 2012

      6 정옥자, "조선시대 문화사 (하) - 시대정신과 인간의 대응" 일지사 2008

      7 오세현, "조선 후기 한양 동부(東部) 관동(館洞)의 인문지리와 연안이씨(延安李氏) 관동파(館洞派)" 서울학연구소 (61) : 31-72, 2015

      8 김은정, "신익성의 金剛山 유람과 문학적 표현" 진단학회 (98) : 107-129, 2004

      9 지두환, "선조대왕과 친인척 – 조선의 왕실 14-2 선조 후궁" 역사문화 2002

      10 이은하, "문화재대관 보물 – 회화 Ⅰ" 문화재청 2018

      11 오세현, "규장각 소장 『澤堂集』의 刊行과 다양한 異本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4) : 157-190, 2014

      12 백인산, "간송미술관 소장 《삼청첩(三淸帖)》의 역사성에 대한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46 (46): 186-205, 2013

      13 李宜顯, "陶谷集"

      14 이남면, "鄭斗卿의 교유관계와 교유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12 : 33-75, 2012

      15 朴世堂, "西溪先生集"

      16 金萬重, "西浦漫筆"

      17 金智惠, "虛舟 李澄의 生涯와 山水畫 硏究" 207 : 1995

      18 한국민족미술연구소, "葆華閣設立七十周年紀念書畫大展" 2008

      19 李景奭, "白軒先生集"

      20 姜慧仙, "白軒 李景奭의 삶과 시세계" 10 : 2006

      21 李明漢, "白洲集"

      22 金萬基, "瑞石集"

      23 李昭漢, "玄洲集"

      24 尹新之, "玄洲集"

      25 李植, "澤堂遺稿全集(古 3428-67A)"

      26 김대중, "澤堂遺稿全集" 2013

      27 李植, "澤堂先生集"

      28 한국민족미술연구소, "澗松誕辰百周年紀念號" 2006

      29 金尙憲, "淸陰集"

      30 申翊聖, "樂全堂集"

      31 金垠廷, "樂全堂 申翊聖의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32 呂運弼, "東溟 鄭斗卿의 詩世界" 10 : 2006

      33 南恩璟, "東溟 鄭斗卿 文學의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4 李敏求, "東州集"

      35 "李澄 筆 山水花鳥圖帖"

      36 한국민족미술연구소, "朝鮮中期繪畵" 2003

      37 이원복, "朝鮮中期 四季翎毛圖考" 47 : 1991

      38 崔錫鼎, "明谷集"

      39 오세현, "文章, 조선을 경륜하다" 도서출판 나녹 2018

      40 許筠, "惺所覆瓿稿"

      41 李萬敷, "息山先生文集"

      42 권혜은, "崔北의 花鳥翎毛畵를 통해 본 安山文人들과의 交遊" 미술사연구회 (26) : 139-164, 2012

      43 宋時烈, "宋子大全"

      44 김은정, "「五子詩」창작배경 및 和答詩 연구" 진단학회 (96) : 123-148,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