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왕조실록 번역사업과 남북한 체제경쟁: 1970년대와 1980년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0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 번역 사업을 남북한 체제경쟁과 정당화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고전번역을 둘러싼 분단국가의 상징정치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하여 근...

      본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 번역 사업을 남북한 체제경쟁과 정당화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고전번역을 둘러싼 분단국가의 상징정치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하여 근대국가의 문화유산 재현과 그 기념의 문화정치를 해명하고자 한다. 1970년대를 통해 첨예해진 남북한의 민족사적 역사정통성 경쟁은 전근대 기록물 같은 문화유산을 부각시켰고, 그 중심에서 『실록』과 같은 민족고전에 대한 재현의 정치가 작동하게 만들었다. 남북한은 『실록』 번역의 준비와 과정이 상이했지만, 공히 대내외적인 체제 정당성 작업의 문화적 장치로 이를 작동시키면서 서로가 자극을 주고받았다. 북한이 『실록』 번역을 국가적 차원에서 해방 이후부터 체계적으로 준비했다면, 남한은 유신시대에 와서 국가가 개입하기 시작하면서 번역작업이 시작되었다. 북한은 1970년대의 집중적인 번역을 통해 1980년대 초 완역을 이룩했는데, 이는 5공화국에 자극을 주어 『실록』 번역의 집중지원과 그에 따른 빠른 완역이 가능하게 했다. 결국 남북한이 서로를 의식하면서 체제의 논리를 민족주의에 결합시켜 경쟁적으로 번역작업을 진행하였고, 이는 대내적인 차원에서 정당성에 대한 국민동원의 기제장치의 역할을 했다. 물론,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논리가 활용되었고 실제 작업의 경로와 방식 역시 달랐지만, 남북한은 공히 민족주의와 역사적 전통과 계승, 새로운 역사 창달을 내세우며 국민을 동원하였다. 즉 민족고전 번역이 근대국가의 상징정치와 기억의 장소가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실록』은 민족고전으로 국민교양이 되었다. 이같은 남북한의 『실록』 번역과정은 문화유산을 둘러싼 근대국가의 문화정치와 남북한의 특수성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translation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AJD) in the context of the systemic competi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rough this, attempts to explain the rep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its commemoration a...

      This thesis examines the translation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AJD) in the context of the systemic competi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rough this, attempts to explain the reproduc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its commemoration as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modern state. The historical legitimacy competi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ich became sharper through the 1970s, highlighted cultural heritage such as pre-modern records,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surrounding the translation of AJD was at the center of it. The two Koreas had different preparations and processes for the annals translation, but they both exchanged stimuli as a cultural device for internal and external system legitimacy work. Whereas North Korea prepared systematically for the translation of AJD at the national level since liberation, South Korea began the translation work in the 1970s when the state began to intervene. North Korea achieved a complete translation in the early 1980s through intensive translation in the 1970s. North and South Korea were conscious of each other and competed in the translation work. The logic mobilized in this process was different, and the path and method of the actual work were different, but both Koreas combined it with nationalism and used it in symbolic politics. In the process, AJD were turned into national classics and canonized as national culture. This process of translating AJD by North and South Korea clearly shows the historical reproduction and symbolic politics of legitimacy developed by the modern state around cultural heritage. This fact also shows the uniqueness of the two Koreas in the reproduction and commemoration of cultural herit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근대국가의 민족문화유산과 조선왕조실록
      • Ⅲ. 번역 경쟁과 역사정통성, 그리고 상징정치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근대국가의 민족문화유산과 조선왕조실록
      • Ⅲ. 번역 경쟁과 역사정통성, 그리고 상징정치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주, "홍기문의 학문과 『조선왕조실록』" 역사학연구소 (26) : 7-27, 2014

      2 권경열, "한문고전번역의 특성과 과제" 인문과학연구소 28 : 67-88, 2012

      3 김정훈,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 읽는 책 123-199, 2003

      4 손호철,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읽는책 237-291, 2003

      5 유명우, "한국의 번역과 번역학" 1 (1): 229-248, 2000

      6 홍기문, "하나의 문화재를 놓으시고" 2 (2): 2-5, 1978

      7 신안식, "콘텐츠 원천 소스로서의 국학고전 번역의 현황과 과제" 4 : 240-305, 2004

      8 전영률, "주체의 력사과학이 걸어온 자랑찬 40년" 3 (3): 2-8, 1985

      9 김형석, "조선왕조실록과 리조실록으로 남북한 협력 방안 제시" 26 : 5-21, 2018

      10 이성무,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동방미디어 1999

      1 강영주, "홍기문의 학문과 『조선왕조실록』" 역사학연구소 (26) : 7-27, 2014

      2 권경열, "한문고전번역의 특성과 과제" 인문과학연구소 28 : 67-88, 2012

      3 김정훈,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 읽는 책 123-199, 2003

      4 손호철, "한국의 정치사회적 지배담론과 민주주의 동학" 함께읽는책 237-291, 2003

      5 유명우, "한국의 번역과 번역학" 1 (1): 229-248, 2000

      6 홍기문, "하나의 문화재를 놓으시고" 2 (2): 2-5, 1978

      7 신안식, "콘텐츠 원천 소스로서의 국학고전 번역의 현황과 과제" 4 : 240-305, 2004

      8 전영률, "주체의 력사과학이 걸어온 자랑찬 40년" 3 (3): 2-8, 1985

      9 김형석, "조선왕조실록과 리조실록으로 남북한 협력 방안 제시" 26 : 5-21, 2018

      10 이성무, "조선왕조실록 어떤 책인가" 동방미디어 1999

      11 백과사전출판사, "조선대백과사전 8" 백과사전출판사 1999

      12 심은정, "제5공화국 시기 프로야구 정책과 국민여가" 역사학연구소 (26) : 197-238, 2014

      13 이강로, "정치사적 맥락에서 본 박정희, 전두환의 쿠데타와 집권 과정 비교" 19 (19): 175-197, 2004

      14 이종일, "정전 논쟁의 사회사적 고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5 (55): 63-83, 2016

      15 최광승, "유신체제기 박정희 정권의 애국적 국민 생산 프로젝트: 화랑도와 화랑교육원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3) : 237-275, 2014

      16 이하나, "유신체제기 ‘민족문화’ 담론의 변화와 갈등" 역사문제연구소 16 (16): 41-80, 2012

      17 김영수,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17-276, 2005

      18 송현원,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께서 민족고전연구분야에 쌓아올리신 불멸의 령도업적" 2 (2): 17-18, 2012

      19 정갑영, "우리나라 전통 문화 정책의 전개 과정과 그 의미" 23 (23): 15-32, 2000

      20 오희복, "우리 당의 현명한 령도밑에 민족고전번역에서 이룩한 자랑찬 성과" 46 (46): 36-40, 2000

      21 아말비, "영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아카넷 2004

      22 권오헌, "역사적 인물의 영웅화와 기념의 문화정치 : 1960~1970년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23 백승철, "역사 관련 고전 국역의 의의와 문제점" 125 : 173-190, 2016

      2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 50년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6

      25 김덕성, "세계 최대의 력사책 리조실록" 1 (1): 21-22, 2007

      26 이종석, "새로 쓴 현대 북한의 이해" 역사비평사 2000

      27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4

      28 김지원, "북한판 국역 「리조실록」 어떤 책인가" 79 : 20-21, 1991

      29 강진웅, "북한의 항일무장투쟁 전통과 민족 만들기-민족주의와 권력, 담론, 주체" 한국사회학회 46 (46): 24-63, 2012

      30 권경순, "북한의 한문고전번역 현황과 한문고전번역 원칙" 한국고전번역학회 (9) : 261-301, 2018

      31 전미영, "북한의 통치담론과 전통문화" 북한연구학회 7 (7): 185-206, 2003

      32 권오영, "북한의 역사 만들기" 푸른역사 89-109, 2003

      33 도면희, "북한의 역사 만들기" 푸른역사 59-85, 2003

      34 정상돈, "북한의 사상과 역사인식" 한울 220-257, 2006

      35 김정우, "북한의 번역 연구와 고전 번역 사업" 12 (12): 307-317, 2003

      36 정철현, "북한의 문화정책" 서울경제경영 2008

      37 정창현,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과 관리체계" 인문학연구원 53 : 223-251, 2012

      38 이준성,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 변화와 고구려사 - 『민족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66 : 221-252, 2020

      39 강혜석, "북한 민족주의론의 원형과 정치적 동학(1945-1985): 사회주의의 역사적 경험과의 비교" 북한연구학회 21 (21): 119-154, 2017

      40 김광운, "북한 민족주의 역사학의 궤적과 환경" 한국사연구회 (152) : 273-306, 2011

      41 전영선, "북한 민족문화 정책의 이론과 현장" 역락 2005

      42 박지영, "번역과 내셔널리티(nationality) -1950년대 고전번역(國譯) 현황과 그 정치성" 한국문학연구학회 (52) : 297-350, 2014

      43 알루아레즈, "번역, 권력, 전복" 동인 2008

      44 전재호,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책세상 2000

      45 전재호, "박정희를 넘어서" 푸른숲 236-265, 1998

      46 장성호, "박정희 정권과 전두환 정권의 정치권력 획득에 관한 비교연구" 13 : 154-183, 2000

      47 은정태, "박정희 시대 성역화 사업의 추이와 성격" 15 : 241-277, 2005

      48 권오헌, "민주화 이후세종대왕의 국가영웅화와 기념문화의 변천" 동양사회사상학회 18 (18): 265-302, 2015

      49 존스, "민족주의와 고고학: 과거와 현재의 정체성 만들기" 사회평론 2008

      50 기어리, "민족의 신화, 그 위험한 유산" 지식의풍경 2004

      51 한국고전번역원, "민족문화추진회 42년사: 1965-2007" 한국고전번역원 2009

      52 민족문화추진회, "민족문화추진회 30년사" 민족문화추진회 1995

      53 채금옥, "민족고전 『리조실록』과 홍기문" 2 (2): 20-21, 1997

      54 샤스텔, "문화재의 개념" 아모르문디 2016

      55 문화공보부, "문화공보 30년" 문화공보부 1979

      56 볼프럼, "무기가 된 역사" 역사비평사 2007

      57 황선익, "독립운동 기념의 역사적 전개와 독립운동 기념관" 한국근현대사학회 (87) : 107-138, 2018

      58 젠킨스,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1999

      59 정영미, "남북한 조선왕조실록 번역 비교 - 『현종실록』을 중심으로 -" 한국고전번역원 48 : 299-342, 2016

      60 박호성,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연구" 당대 1997

      61 박찬수, "남북한 국역 조선왕조실록 용어 비교" 17 : 206-213, 1994

      62 이승표, "남·북한 국역 조선왕조실록 체재·내용 비교" 17 : 189-205, 1994

      63 전미영, "김일성의 말, 그 대중설득의 전략" 책세상 2001

      64 아스만, "기억의 공간" 그린비 2011

      65 박경환, "기록유산을 활용한 전통문화콘텐츠 개발 - ‘조선시대 使行文化 콘텐츠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 (1): 313-342, 2008

      66 이상현, "권력과 저항 사이에서-1980년대 민속의 정치적 의미 변화의 배경과 과정-" 한국민속학회 69 : 7-36, 2019

      67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조선왕조실록 현대화 사업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최종보고서 Ⅱ" 한국고전번역원 2011

      68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조선왕조실록 현대화 사업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조사연구 최종보고서 Ⅰ" 한국고전번역원 2011

      69 정양완, "국역 『리조실록』에 대하여" 17 : 95-113, 1994

      70 케이, "과거의 힘: 역사인식, 기억과 상상력" 삼인 2004

      71 로웬달, "과거는 낯선 나라다" 개마고원 2006

      72 이상하, "고전언해 및 남북한 고전국역의 비교검토와 고전 譯註의 한 방안" 한국고전번역원 30 (30): 93-138, 2007

      73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수요조사분석 및 성과측정 모델 개발 연구" 한국고전번역원 2011

      74 이연숙, "고전, 고전번역, 문화번역" 미다스북스 16-37, 2010

      75 최동언, "경애하는 수령 김일성동지께서 민족고전 발굴수집과 보존관리사업에서 이룩하신 불멸의 업적" 2 (2): 7-10, 2001

      76 강문식, "『조선왕조실록』 연구의 현황" 조선시대사학회 (74) : 215-245, 2015

      77 신동호, "『임꺽정』에서 『황진이』까지: 홍명희, 홍기문, 홍석중 3대의 문학과 삶" 5 (5): 280-292, 2005

      78 서정문, "『고전번역사업』의 종합적 목표 설정을 위한 시론" 1 : 97-128, 2010

      79 Spillman, Lynette P, "When do Collective Memory Last?" 22 (22): 445-447, 1998

      80 Cohen, Anthony P., "The Symbolic Construction of Community" Routledge 2004

      81 Rosenzweig, Roy, "The Presence of the Past: Popular Used of History in American Lif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8

      82 Lowenthal, David I, "The Heritage Crusade and the Spoils of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83 Glassberg, David, "Sense of Histor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01

      84 Kertzer, David I, "Ritual, Politics & Power" Yale University Press 1988

      85 Glassberg, David, "Public History & the Study of Memory" 18 (18): 7-23, 1996

      86 Halbwachs, Maurice, "On Collective Memor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87 Cinar, Alev, "National History as a Contested Sites" 43 (43): 364-391, 2001

      88 Kammen, Michael, "Mystic Chord of Memory" Vintage 1991

      89 Erll, Astrid, "Memory in Culture" Palgrave Macmillan 2011

      90 Conerton, Paul, "How Societies Rememb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91 Littler, Jo, "History, Nationhood, and the Question of Britain" Palgrave Macmillan 330-341, 2004

      92 Claval, Paul, "Heritage, Memory & Politics of Identity" Ashgate 86-93, 2007

      93 Harvey, David C, "Heritage Pasts and Heritage Presents: Temporality, Meaning and the Scope of Heritage Studies" 7 (7): 319-338, 2001

      94 Newman, Andrew, "Heritage Builds Communities: The Application of Heritage Resources to the Problems of Social Exclusion" 4 (4): 143-153, 1998

      95 Confino, Alon, "Germany as a Culture of Remembrance" The University of North California Press 2006

      96 Winter, Jay, "Cultural Memory Studies: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Handbook" Walter de Gruyter 61-74, 2008

      97 Grabes, Herbert, "Cultural Memory Studies: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Handbook" Walter de Gruyter 311-319, 2008

      98 Hebel, Udo J, "Cultural Memory Studies: An International and Interdisciplinary Handbook" Walter de Gruyter 47-60, 2008

      99 Assmann, Aleida, "Cultural Memory Studies" Walter de Gruyter 2008

      100 Tranister, Daniel, "Cultural Memory & Construction of Identity"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2-230, 1999

      101 Lilliane, Weissbeg, "Cultural Memory & Construction of Identity"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7-26, 1999

      102 Booth, W. James, "Communities of Memo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06

      103 Lowenthal, David I, "Commemorations: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41-58, 1994

      104 David, Eric, "Commemorations: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90-104, 1994

      105 Gillis, John R, "Commemorations: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4, 1994

      106 정갑영, "21세기를 향한 우리나라 전통문화정책의 방향과 과제" 7 : 103-123, 1995

      107 황병주, "1970년대 유신체제의 안보국가 담론" 역사문제연구소 16 (16): 109-139, 2012

      108 구경남, "1970년대 국정 <국사> 교과서에 나타난 애국심 교육과 국가주의"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47-383, 2014

      109 서은주, "1970년대 ‘민족문화’ 담론과 한국학 -분단인식과 관련하여-" 중앙어문학회 54 : 377-403, 2013

      110 김수정, "1960~1970년대 한국 문화정책에 대한 재고찰: 초국적 맥락에서 전개된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다" 한국문화사회학회 27 (27): 295-335,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5 1.7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