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壯勇營大節目』의 구성과 자료적 가치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1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정조가 왕권 강화를 위해 1793년(정조 17)에 설치한 친위 군영인 장용영의 연혁과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시행규칙 내용을 정리한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의 구성과 ...

      이 연구의 목적은 정조가 왕권 강화를 위해 1793년(정조 17)에 설치한 친위 군영인 장용영의 연혁과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시행규칙 내용을 정리한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의 구성과 자료적 가치를 검토하 는 것이다.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장용영 관련 기록은 『장용 영고사(壯勇營故事)』 8책, 『장용영대절목(壯勇營大節目)』 3책, 『장용영한 산청천성책(壯勇營閑散廳薦成冊)』 1책, 『장용청절목초(壯勇廳節目抄)』 1 책 등 4종 13책이다. 둘째, 『장용영대절목』은 3권 3책 총 6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권 은 건치(建置), 관직(官職), 장교(將校), 차제(差除), 원역(員役), 천전(遷轉), 군제(軍制), 청사(廳舍), 부신(符信), 군호(軍號), 초정(抄定), 참알(參謁), 의 절(儀節), 직장(職掌), 겸찰(兼察), 군적(軍籍), 군기(軍器), 형명(形名), 입직 (入直), 번상(番上), 배호(陪扈), 징발(徵發), 호궤(犒饋), 이진(肄陣), 강사(講 射), 시사(試射), 중일(中日), 사습(私習), 취재(取才), 마정(馬政), 급사(給仕), 급가(給暇), 칙령(飭令), 곤치(棍治) 등의 34개 항목이다. 2권은 경용(經用), 지방(支放), 곡부(穀簿), 회외(會外), 포폄(褒貶), 상견 (相見), 회좌(會坐), 문첩(文牒), 시상(施賞), 회계(會計), 반열(反閱), 주휼(周 恤), 연한(年限), 잡식(雜式) 등의 14개, 3권은 외영(外營), 승유수(陞留守), 제치(制置), 분공(分供), 친군위(親軍衛), 보군(步軍), 유방(留防), 별군관(別 軍官), 도시(都試), 배봉진(拜峯鎭), 고성진(古城鎭), 장별도시(壯別都試), 갈 마창(葛麻倉), 노량진(露梁鎭) 등의 14개 항목이다. 이 가운데 제1권에서 장용영의 설치 연혁을 알 수 있는 건치(建置)는 목록에만 나와 있고, 실제 내용은 누락되어 있다. 셋째, 『장용영대절목』은 정조대 장용영 연구에 필수적인 사료이다. 1 권은 가장 중요한 장용영의 설립 및 인사 운영 체계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2권은 장용영의 재정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3 권은 수원 화성인 장용영 외영을 다루고 있다. 장용영 군제의 운영과 시 기별 사안들을 건치(建置)부터 노량진(露梁津)까지 62개 항목으로 제시하 여 장용영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를 일목요연하게 가장 잘 파악할 수 있 다는 장점과 장용영이 중앙 군영으로써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조의 장용영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엿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넷째, 『장용영대절목』의 자료적 가치는 네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① 향후 수원학 및 정조 시대의 정치사⋅군제사와 관련된 자료들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시켜 준다. ②조선 후기의 군제사 연구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다. ③조선 후기 정치사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다. ④사목⋅절목류의 연구 활용에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and material value of and data value of 「Jangyong-yeong Daejeolmok」 which summarizes the history and operation of Jang Yong-yeong, a pro-government camp established by King Jeongjo in 17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and material value of and data value of 「Jangyong-yeong Daejeolmok」 which summarizes the history and operation of Jang Yong-yeong, a pro-government camp established by King Jeongjo in 1793 (the 17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A comprehensive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cords related in Jangseo-gak,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re are 13 books of four types, including eight books on the 「 Jangyong-yeong Gosa」, three books on the 「Jang’yong-yeong Daejeolmok」, one book on the 「Jangyong-cheong Jeomok-cho」. Second, 「Jangyong-yeong Daejeolmok」 consists of 62 items in three books and The first volume includes 34 items from Geonchi to Gonchi, the second from Gyeongyong to Jabsik, and the third from Oeyeong to Noryangjin. Among them, Geonchi indicating the history of Jang’yong-yeong installation exists only in the list and its actual contents are omitted. Third, 「Jangyong-yeong Daejeolmok」 is the primary historical records to the study of Jang Yong-yeong in King Jeongjo. The first volume includes the most important contents related to Jang Yong-young's establishment an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he second volume deals with Jang Yong-young's finances, while the third volume deals with Jang Yong-young's Woe young , a Hwaseong in Suwon. Jang Yong-yeong's administration and timing issues can be presented in 62 categories from Geonchi to Noryangjin, providing the best insight into Jang's overall operation, and its special aspect as a military camp. Through this, It can show a feature that proves King Jeongjo's special interest and affection of Jang Yong-yeong. Fourth, There are four ways to uncover the data value of 「Jangyong-yeong Daejeolmok」. ①It will strengthen accessibility to records related to the study of Suwon and the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in King Jeongjo period. ②It can expand the scope of military ritual research in the late Joseon Dynasty. ③It can also be used for research on political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④ It can present the possibility in the research and utilization of Samok and Jeolmo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장용영대절목』의 구성과 내용
      • Ⅲ. 『장용영대절목』의 자료적 가치
      • Ⅳ. 맺음말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장용영대절목』의 구성과 내용
      • Ⅲ. 『장용영대절목』의 자료적 가치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수원화성박물관, "화성의 웅혼 장용영"

      2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장서각"

      3 박재광, "조선후기 군사개혁과 장용영"

      4 곽낙현, "조선후기 {壯勇營故事}를 통해 본 도검무예" 동양고전학회 (51) : 279-306, 2013

      5 최형국, "조선시대 최고의 특수부대 장용영" 인물과사상사 (116) : 2007

      6 원창애, "조선시대 과거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7 이방섭, "조선 정조대 장용영의 운영 실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0

      8 김준혁, "조선 정조대 장용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9 박기동, "정조시대의 장용영을 통해본 체육·무예(경호)사적 의미와 가치" 한국체육사학회 14 (14): 101-109, 2009

      10 송찬섭, "정조대 장용영곡의 설치와 운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4) : 243-280, 1999

      1 수원화성박물관, "화성의 웅혼 장용영"

      2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장서각"

      3 박재광, "조선후기 군사개혁과 장용영"

      4 곽낙현, "조선후기 {壯勇營故事}를 통해 본 도검무예" 동양고전학회 (51) : 279-306, 2013

      5 최형국, "조선시대 최고의 특수부대 장용영" 인물과사상사 (116) : 2007

      6 원창애, "조선시대 과거제도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4

      7 이방섭, "조선 정조대 장용영의 운영 실태"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0

      8 김준혁, "조선 정조대 장용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9 박기동, "정조시대의 장용영을 통해본 체육·무예(경호)사적 의미와 가치" 한국체육사학회 14 (14): 101-109, 2009

      10 송찬섭, "정조대 장용영곡의 설치와 운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4) : 243-280, 1999

      11 박범, "정조 중반 장용영의 군영화 과정" 수선사학회 (70) : 125-159, 2019

      12 수원시, "장용영고사(壯勇營故事)역주" 수원시화성사업소 2005

      1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4 정해은, "軍營謄錄은 어떻게 장서각으로 왔을까?"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404-420, 2013

      15 정해은, "藏書閣소장 軍營謄錄類자료에 관한 기초적 검토" 한국학중앙연구원 4 : 2000

      16 김동주, "藏書閣圖書韓國本解題輯-軍事類-"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17 이방섭, "正祖의 壯勇營 운영과 정치적 구상" 조선시대사학회 (53) : 45-82, 2010

      18 김준혁, "正祖의 『武藝圖譜通志』 편찬 의도와 壯勇營강화" 중앙사학연구소 21 : 2005

      19 박 범, "正祖代壯勇營의 軍制와 財政運營" 고려대학교 2017

      20 정정남, "壯勇營의 漢城府內 立地와 營舍의 建築的 특성 -『本營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39-75, 2009

      21 "壯勇營大節目(K2-3369 장서각소장본)"

      22 이왕무, "『本營圖形』을 통한 조선후기 장용영의 모습" 한국학중앙연구원 (21) : 5-38,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1.05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