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광개토왕대의 임진강・한강 유역 진출과 남방 접경 = King Gwanggaeto of Goguryeo's Inroad to the Han River Basin and to the Imjin River Basinand the Southern Bor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8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t was tried to review the process of King Gwanggaeto occupying the Baekje area and advancing into the basic of the Han River in the battle between Goguryeo and Baekje from the late 4th to early 5th centuries, and the transition pattern...

      In this paper, it was tried to review the process of King Gwanggaeto occupying the Baekje area and advancing into the basic of the Han River in the battle between Goguryeo and Baekje from the late 4th to early 5th centuries, and the transition pattern of the borders of the two countries.
      Goguryeo, attempting to advance southward in the late 4th century, clashed with Baekje over the Nangnang and Daebang regions. In the process, the two countries continued to fight over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seong River while forming a boundary around the Myeorak Mountains.
      Goguryeo, somewhat weak in the 370s and 380s, began to show a dominant pattern when King Gwanggaeto took the throne. In July 392, he succeeded in advancing to the basin of the Imjin River crossing the Myeorak Mountains and the Yeseong River by destroying Baekje's government facilities and conquered about 10 castles including the Seokhyun Castle. In October, by occupying the Gwanmi Castle, which was presumed to be located at the confluence of the Imjin River and the Han River, Goguryeo took control of the Kyunggi Bay and prepared a bridgehead to press the Baekje. However, as Baekje strongly counterattacked, Goguryeo had no choice but to retreat from the Imjin River area to the Yeseong River area.
      As Baekje continued to try to restore its territory and confront Goguryeo, King Gwanggaeto launched a large-scale attack on Baekje in 396. He succeeded in occupying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by conquering the capital of Baekje. Furthermore, while occupying 58 provinces and 700 villages, Goguryeo advanced to the area of Yeseong River-Imjin River – West Coast of Gyeonggi-do-Bukhan River. Baekje, restoring the capital city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through temporary surrender, attempted a counterattack while seeking an alliance with Wae. In the process, the two countries established contact zones at the south of the Yeseong River and north of the Imjin River and confronted each other taking it as a buffer zone. After that, Goguryeo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Yaodong Region than in the south, and Baekje suffered an internal problem of dissociation of the people. As a result, the two countries entered a period of lull, and the border at that time has been fixed for a long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4세기 후반~5세기 초반 고구려와 백제의 각축전 속에서 광개토왕이 백제 영역을 차지하고 임진강과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 그리고 양국 국경의 변천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

      본고에서는 4세기 후반~5세기 초반 고구려와 백제의 각축전 속에서 광개토왕이 백제 영역을 차지하고 임진강과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과정 그리고 양국 국경의 변천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4세기 후반 남방 진출을 시도한 고구려는 낙랑․대방 지역을 두고 백제와 군사적 충돌을 빚었고, 이 과정에서 양국은 멸악산맥을 중심으로 접경을 형성하면서 예성강 중하류 일대를 둘러싼 공방전을 이어갔다. 370~380년대 다소 약세를 보이던 고구려는 광개토왕이 즉위하면서 우세한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였는데, 392년 7월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리고 석현성 등 10여 개의 성을 함락함으로써 멸악산맥을 넘고 예성강을 건너 임진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리고 10월에는 임진강-한강 하구 합류처에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관미성을 점령함으로써 경기만을 장악하여 백제 도성을 압박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였다. 하지만 백제가 거세게 반격함에 따라 임진강 유역에서 예성강 유역으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
      백제가 계속해서 영토 수복을 시도하며 고구려에 맞서자 396년 광개토왕은 다시 대대적인 백제 공략에 나섰고, 백제 도성을 함락함으로써 한강 하류 지역을 차지하는 데 성공하였다. 나아가 58성 700촌 또한 차지하면서 예성강-임진강-경기 서해안-북한강 유역까지 진출하였다. 일시적인 항복을 통해 도성과 한강 하류 유역을 되찾은 백제는 왜와 연합을 모색하면서 반격을 시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양국은 예성강 이남-임진강 이북을 접경공간으로 설정하고 완충지대로 삼으면서 대치하였다. 이후 고구려는 남방보다 요동 지역의 정세에 관심을 두었고 백제는 민심 이반이라는 내부 문제에 시달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양국은 소강기에 들어서게 되었고 접경은 장기간 고착화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민덕식, "羅唐戰爭에 관한 考察-買肖城 전투를 중심으로-" 40 : 1989

      2 서영일, "한성 백제의 교통로 상실과 웅진천도" 서울역사편찬원 (72) : 41-76, 2008

      3 김수태, "한국해양사Ⅰ-선사・고대" 한국해양재단 2013

      4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5 여호규,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6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전문사전-성곽・봉수편" 2011

      7 박영재, "파주 오두산성 동벽 유구 조사와 성격 고찰" 80 : 2008

      8 박성현, "특집총론:한국 고대의 국경과 변경" 한국역사연구회 (82) : 17-25, 2011

      9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탑평리유적(중원경 추정지) 발굴조사보고서" 2009

      10 고광의,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 -題額과 干支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98) : 47-96, 2020

      1 민덕식, "羅唐戰爭에 관한 考察-買肖城 전투를 중심으로-" 40 : 1989

      2 서영일, "한성 백제의 교통로 상실과 웅진천도" 서울역사편찬원 (72) : 41-76, 2008

      3 김수태, "한국해양사Ⅰ-선사・고대" 한국해양재단 2013

      4 정진술, "한국해양사" 경인문화사 2009

      5 여호규,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6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전문사전-성곽・봉수편" 2011

      7 박영재, "파주 오두산성 동벽 유구 조사와 성격 고찰" 80 : 2008

      8 박성현, "특집총론:한국 고대의 국경과 변경" 한국역사연구회 (82) : 17-25, 2011

      9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탑평리유적(중원경 추정지) 발굴조사보고서" 2009

      10 고광의,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 -題額과 干支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98) : 47-96, 2020

      11 서영일, "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난 고구려성과 관방체계" 10 : 2000

      12 신채호, "조선상고사(단재신채호전집 제1권 역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13 전덕재,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지배방식" 서울역사편찬원 (73) : 99-144, 2009

      14 문안식, "백제의 흥망과 전쟁" 혜안 2006

      15 김수태, "백제의 전쟁" 주류성 2007

      16 김병남, "백제 한성시대 후기의 북방 영역" 69 : 2004

      17 백종오, "백제 한성기 산성의 현황과 특징" 69 : 2004

      18 김병희, "매소성 전투의 위치와 실상에 대한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1) : 195-228, 2014

      19 채희국, "대현산성 답사기" (2) : 1966

      20 이상훈, "나당전쟁 연구" 주류성 2012

      21 국립문화재연구소, "군사보호구역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경기도편" 2000

      22 이기동,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백제관계 기사의 검토" 17 : 1986

      23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 1966

      24 박성봉, "고구려의 한강유역 진출과 의의" 42 : 1984

      25 서영일, "고구려의 백제공격로 고찰" 38 : 2006

      26 손영종, "고구려사(1)"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5

      27 서영교, "고구려, 전쟁의 나라" 글항아리 2007

      28 윤명철, "고구려 해양사 연구" 사계절 2003

      29 김기섭, "고구려 중기의 정치와 사회" 동북아역사재단 2020

      30 임기환,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경영과 서울" 서울학연구소 (18) : 1-33, 2002

      31 장창은, "고구려 남방 진출사" 경인문화사 2014

      32 박종서, "고구려 고국원왕-광개토태왕대 남진로 검토" 49 : 2014

      33 오붕근, "개정판 조선수군사(고대~중세편)" 사회과학출판사 2012

      34 육군박물관, "강화도의 국방유적" 2000

      35 "高麗史"

      36 武田幸男, "高句麗史と東アジア" 岩波書店 1989

      37 那珂通世, "高句麗古碑考" 49 : 1893

      38 공석구, "高句麗 領域擴張史 硏究" 서경문화사 1998

      39 이도학, "高句麗 南進 經營史의 硏究" 백산자료원 1995

      40 김윤우, "高句麗 南進 經營史의 硏究" 백산문화 1995

      41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수정판)" 박영사 1985

      42 윤일녕, "關彌城位置考" 2 : 1990

      43 "資治通鑑"

      44 노태돈,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45 津田左右吉, "滿鮮歷史地理(第1卷)"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46 池內宏, "滿鮮史硏究-上世篇 第二冊-" 吉川弘文館 1960

      47 김성호, "沸流百濟와 日本의 國家起原" 지문사 1982

      48 "東史綱目"

      49 "晉書"

      50 "新增東國輿地勝覽"

      51 "忠州高句麗碑"

      52 천관우, "廣開土王의 征服活動" 일조각 3 : 1988

      53 여호규, "廣開土王陵碑의 문장구성과 서사구조" 영남문화연구원 (25) : 7-41, 2014

      54 "廣開土王陵碑"

      55 佐伯有淸, "廣開土王碑と七支刀" 吉川弘文館 1977

      56 박성봉, "廣開土好太王期 高句麗 南進의 性格" 27 : 1979

      57 酒井改藏, "好太王碑面の地名について" 8 : 1955

      58 王健群, "好太王碑硏究" 吉林人民出版社 1984

      59 "大東地志"

      60 이상훈, "唐의 軍事戰略을 통해 본 羅唐戰爭期의 買肖城 戰鬪" 신라문화연구소 (29) : 89-123, 2007

      61 "三國史記"

      62 拜根興, "七世紀中葉唐與新羅關係硏究"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

      63 윤성호, "『朝鮮城址實測圖』를 활용한 삼국시대 성곽 연구" 고려사학회 (83) : 131-160, 2021

      64 정호섭, "『三國史記』 高句麗本紀 4∼5세기의 기록에 대한 검토 -국내 전승의 원전에서 채록한 기록을 중심으로-" 신라문화연구소 38 : 21-52, 2011

      65 임기환, "5~6세기 고구려의 남진과 영역 범위, 경기도의 고구려 문화유산" 경기도박물관 2007

      66 장창은, "4~5世紀 高句麗의 南下와 三國의 領域向方 -『三國史記』 地理志 ‘高句麗故地’의 實際(Ⅰ) -" 한국학연구소 34 : 21-50, 2010

      67 최영인, "4세기~5세기 초반 고구려의 남진과 임진강 유역 지배방식" 31 : 2020

      68 정동민, "4세기 후반高句麗의南方 接境과 廣開土王의對百濟戰 水軍운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38) : 9-42, 2021

      69 여호규, "4세기 후반~5세기 초엽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의 국경 변천" 한국역사연구회 (84) : 169-213, 2012

      70 최창빈, "4세기 말~5세기초 고구려의 국남7성과 국동6성에 대하여" (3) : 1990

      71 성정용, "4~5세기 백제의 지방지배" 24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