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퇴계의 향약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자치조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1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우리 전통 내부에 존재했던 자치조직의 흔적을 찾아보고 그것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우리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한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목...

      이 글은 우리 전통 내부에 존재했던 자치조직의 흔적을 찾아보고 그것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우리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한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퇴계의 향약 을 주목할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퇴계의 「향입약조」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향 촌자치조직의 규약인 향약의 모습이 어떠한지, 그리고 그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가 무 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한국사회에 적합한 자치조직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현재까지 퇴계의 「향입약조」가 향약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기 때문에, 먼저 퇴계의 「향입약조」를 향 약으로 볼 수 있는지를 규명해야 한다. 다음으로 그것을 향약으로 볼 수 있다고 한다면 조 선향약으로서 대표성을 지닐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조선향약을 대표 할 만한 지위를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면 과연 그 속에서 긍정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 는지, 그리고 그것이 바람직한 자치조직을 건설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향약 개념의 모호성이 어디에서 비롯 된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퇴계의 「향입약조」를 향약으로 보아도 무방하다는 점을 밝혔다. 다음으로 향약의 전형으로 평가받는, 그래서 조선사회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던 주자의 증손여씨향약 과 퇴계의 향약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 서 퇴계의 향약은 주자의 향약과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은 조선사회가 가진 독특한 역사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퇴계 향약이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조선향약의 기원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퇴계 향약 에 담긴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조선향약의 의의를 밝히고, 오늘날 바람직한 자치조직을 수 립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퇴계 향약의 긍정적 가치를 소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intended to find trace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hat existed inside our tradition, and to portray what form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are desirable in our society by correctly evaluating it. In order to achieve this...

      This thesis is intended to find trace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hat existed inside our tradition, and to portray what forms of th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are desirable in our society by correctly evaluating i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will pay attention to Toegye s Hyang-yak(鄕約), which is considered to have established the origin of Joseon Hyangyak.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will first analyze wher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Hyang-yak comes from.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reveal that Toegye s Hyang-Lip-yak-jo(鄕入約條) can be seen as a Hyang-yak. Next,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oegye s Hyang-yak and Xhu xi's Hyangyak(Jeung-son-yeo-ssi-hyang-yak『增損呂氏鄕約』), which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seon society. In this process, Toegye s Hyang-yak is different from that of Xhu xi s, and since such features come from the unique history of Joseon society, it will be revealed that Toegye s Hyang-yak has opened the door to the origin of Joseon s Hyang-yak. Finally, by clarifying the value contained in Toegye s Hyang-yak, which is said to have established the origin of Joseon Hyang-yak, we will reveal the significance of Joseon Hyangyak and introduce the positive value of Toegye s Hyang-yak, which can help establish a desirable local autonomy organization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퇴계 「향입약조」의 정체성
      • 3. 주자 향약과 퇴계 향약의 비교 분석
      • 3-1. 등장 배경과 목적
      • 요약문
      • 1. 머리말
      • 2. 퇴계 「향입약조」의 정체성
      • 3. 주자 향약과 퇴계 향약의 비교 분석
      • 3-1. 등장 배경과 목적
      • 3-2. 체제와 구성
      • 3-3. 두 향약의 특징
      • 4. 조선향약으로서 퇴계향약의 가치
      • 4-1. 공권력과 자치권의 공존 추구
      • 4-2. 가족윤리에서 사회윤리로, 그리고 국가윤리로의 확장
      • 4-3. 법과 제도보다 도덕성 중시
      • 5.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대백과사전"

      3 이근명, "주희의 『증보여씨향약』과 조선사회" 45 : 2002

      4 우홍준, "조선후기 관변자치제도인 ‘수령향약’의 특성" 한국행정사학회 (29) : 203-219, 2011

      5 유홍렬, "조선향약의 성립" 진단학회 9 : 1933

      6 정재훈, "조선중기 사족의 위상" 조선시대사학회 (73) : 43-70, 2015

      7 지교현, "조선조향약연구" 민속원 1991

      8 박익환, "조선전기 향규와 향규약고" 한국사학회 38 : 1984

      9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10 이석희, "조선시대 지방자치론"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중앙행정학연구회 (창간) : 1987

      1 "論語"

      2 정신문화연구원, "한민족대백과사전"

      3 이근명, "주희의 『증보여씨향약』과 조선사회" 45 : 2002

      4 우홍준, "조선후기 관변자치제도인 ‘수령향약’의 특성" 한국행정사학회 (29) : 203-219, 2011

      5 유홍렬, "조선향약의 성립" 진단학회 9 : 1933

      6 정재훈, "조선중기 사족의 위상" 조선시대사학회 (73) : 43-70, 2015

      7 지교현, "조선조향약연구" 민속원 1991

      8 박익환, "조선전기 향규와 향규약고" 한국사학회 38 : 1984

      9 "조선왕조실록" 국사편찬위원회

      10 이석희, "조선시대 지방자치론"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중앙행정학연구회 (창간) : 1987

      11 이광우, "조선시대 정부의 향약 시행 논의와 그 성격" 동아인문학회 (39) : 137-178, 2017

      12 박현순, "조선시기 향벌의 내용과 추이" 국사편찬위원회 105 : 2004

      13 변영호, "이 퇴계에게 있어서의 정치 ‐재지사족(在地士族)의 시점으로부터‐" 영남퇴계학연구원 (9) : 283-341, 2011

      14 김상현, "유교 이상사회론에 대한 연구 -『예기』 「예운」편의 대동사상을 중심으로-" 대동철학회 78 (78): 219-248, 2017

      15 황병곤, "예안향약을 통해서 본 퇴계의 향민자치관" 퇴계학연구원 52 : 1986

      16 김명진, "예안향약에 관한 소고" 건국대학교 13 : 1978

      17 정진영, "영남지역 향약의 형성과 변천"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4 : 1992

      18 이성무, "여씨향약과 주자증손여씨향약" 진단학회 71, 72 : 1991

      19 이병탁, "아도르노의 도덕철학- 정치: 법의 지배에서 도덕의 지배로 -" 대동철학회 92 : 229-253, 2020

      20 장준호, "시민사회의 이론적 단층: 헤겔과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25 (25): 195-220, 2015

      21 "順菴集"

      22 "雲川集"

      23 "退溪集"

      24 "紫巖集"

      25 "朱熹集"

      26 윤인숙, "朝鮮前期 鄕約의 구현을 통한 ‘士文化’의 확산 ― 金安國의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81) : 7-40, 2013

      27 "愚川集"

      28 "弘齋全書"

      29 배기헌, "16세기 향촌지배질서와 유향소의 성격" 대구사학회 35 : 1988

      30 정진영, "16세기 향촌문제와 재지사족의 대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7 :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3 1.0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