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부안 유람 기록에 관한 일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10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시대 부안 유람에 관한 기록을 취합하고 분석하여 부안 유람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부안 지역의 명승을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그 실상과 의의를 검토하였다. 먼저 부안 유...

      이 논문은 조선시대 부안 유람에 관한 기록을 취합하고 분석하여 부안 유람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부안 지역의 명승을 문헌 자료에 근거하여 그 실상과 의의를 검토하였다. 먼저 부안 유람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전면적으로 검토하였다. 여러 선 행 연구 가운데 문헌 자료를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조선시대 부안 지역 유람과 관련된 문헌 자료를 분석하여 부안 명승의 가치를 재고하고자 한다. 우선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부안 유람 자료 5편을 새롭게 발굴하여 총 16편의 부안 유람 기록 목록을 도출하였다. 16편의 작품을 통해 부안 유 람의 양상과 시대별 특징을 규정하였다. 이 문헌 자료들은 모두 세밀한 묘 사와 문학적 필치로 각 명승을 다양하게 형상화하였고, 부안 지역 명승의 실상을 드러내었다. 부안의 유람이 알려지게 된 데에는 매월당 김시습의 역할이 일정 부분 있 었다. 이정귀의 유람 이후 부안은 호남의 대표적인 명승지로 부상하였다. 부 안은 문인들의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인문적 가치를 확립하고, 비교와 품평을 통해 지속해서 사람들에게 회자되었다. 부안 명승은 대체로 유흥의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이따금 탈속의 공간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서 는 ‘소봉래’라 일컬어지며 호남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에 그 명성을 떨쳤다. 이로써 오늘날에는 부안의 채석강·적벽강 일원, 직소폭포 일원, 우금바위 일원이 명승으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직소폭포는 국내 3대 폭포 중 하나 인 송도의 박연폭포, 이백의 여산폭포와 우열을 다투며 명승의 위상을 다졌고, 우금바위 일원은 강세황과 강흔 부자의 유람과 실경산수화 「부안유람 도권」의 창작을 통해 명승으로서의 가치가 확고해졌음을 살펴보았다. 유람 기록은 지역 공간의 문화자원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 를 통해 부안 지역 명승의 가치를 드러내고, 역사적 지식과 지역에 대한 이 해를 요하는 문화관광 콘텐츠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attern of excursions in Buan at the tim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excursion records of Bua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elucidated the fact and significance of the premodern scenic spots in the Buan region...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pattern of excursions in Buan at the time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excursion records of Bua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elucidated the fact and significance of the premodern scenic spots in the Buan region based on the literature of the times. First of all, the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the excursions in Buan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on a full scale.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is a fact that no study among many precedent studies has analyzed the literature of the times to reconsider the status of various scenic spots in Buan. In that regard, this study intended to reconsider the value of scenic spots in Buan by analyzing the literature materials related to excursions in the Buan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o that end,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was first improv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materials employed in the precedent studies. In addition, 5 excursion records of Buan, which were not identified thus far, were newly discovered, thereby resulting in deriving a total of 16 excursion records in Buan. This study defined the development pattern of the excursion records in Bu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through the 16 records. All these literature materials embodied each scenic spot variously using detailed descriptions and literary touches and depicted the real shapes of scenic spots in Buan colorfully. Next, the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excursion records of Buan, thereby examining the real shapes and significance of the scenic spots in Buan. Kim Si-Seup whose pen name is Maewoldang partly played a certain role in making the excursion spots of Buan known. After Lee Jeong-Gwi's excursion, Buan became on the rise as a representative scenic spot in the Honam area. The humanistic values of Buan were established by literary figures embodying the excursion spots and have been on everyone’s lips through comparison and quality. The scenic spots in Buan were perceived not only as places of entertainment typically but also as spaces for transcendence of the reality occasionally. In reaching the 19th century, Buan was called “Sobongrae” and made its fame throughout the country as well as in the Honam area. As with this, it is possible to know that both the humanistic and historic values of Buan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excursions and records by the literary figures of the times. As a result, it has reached that the areas of Chaeseokgang River and Jeokbyeokgang River, Jigso Falls area, and Ugeumbawi Rock area in Buan have been designated as scenic spo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Jigso Falls hardened its status as a scenic spot by competing for superiority and inferiority with the Park Yeon Falls in Songdo which is one of the three major falls in Korea as well as with the Falls in Lushan Mountain of China that appeared in a poem by LI Po (李白). Moreover, in the vicinity of Ugeumbawi Rock, the value as a scenic spot became solidified through the excursions by Kang Se-Hwang and his son, Kang Heun, in the 18th century and the creative work of a real-view landscape painting titled <Buan Yuram Do Gwon>. The excursion records mentioned thus far are worth being fully utilized as a cultural resource for local places. However, it is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utilization of those materials is a challenge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based on literature material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help elucidate the value of scenic spots in the Buan region and develop the cultural tourism contents that require historic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regions based on literature recor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선행 연구 검토 및 문헌 조사
      • Ⅲ. 유람 기록의 양상과 시대별 특징
      • Ⅳ. 부안 명승의 실상과 의의
      • <논문 요약>
      • Ⅰ. 머리말
      • Ⅱ. 선행 연구 검토 및 문헌 조사
      • Ⅲ. 유람 기록의 양상과 시대별 특징
      • Ⅳ. 부안 명승의 실상과 의의
      • 1. 문학적 형상화와 명승 품평
      • 2. 부안 명승의 공간 인식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