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조일본인 건립 신사(神社)에 관한 기초적 연구-‘한국병합’ 전후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hinto Shrines built by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from the opening port era to 191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8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shinto shrines built by Japanese settlers in Korean peninsula from the opening port era to 1910s. Focusing on how shinto shrines transforme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this study also analyzes influence on Korean society. To cl...

      This study examines shinto shrines built by Japanese settlers in Korean peninsula from the opening port era to 1910s. Focusing on how shinto shrines transforme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this study also analyzes influence on Korean society. To clarify the actual situation, two cases are examined.
      During the opening port era, a shinto shrine in settlement was a place to pray private wishes. As settler’s population increases, shrines dedicated to Amaterasu increased gradually. Amaterasu became a symbolic presence among Japanese settlers from diverse region. During the early period, private wishes and nationalistic intentions coexisted in shrine.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national shinto regime spread widely in colonial Korea. Rules to regulate shinto shrine and buddhist temple established in 1915. In this proces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put emphasis on financial conditions to maintain dignity of shrines. As a result, Korean were forced to join up as worshipper(Ujiko) and contribute to the operating costs.
      To examine the actual construction process, this article analyzes two cases of Incheon and Suwon. These cases present two types of shrine which are reorganized shrine and newly constructed shrin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ules. Through case studies, the transplantation of national shinto regime to colonial Chosen is confirmed.
      In this period, roles of shinto shrines changed. Shrine is not only a place of belief and relaxation but also a symbol of settler’s unification. And shinto shrines we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edification and assimilation of ‘uncivilized’ koreans. Therefore, shinto shrines built by Japanese settlers gradually transformed to fulfill the ro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일본인 거류민들에 의해 건립된 신사가 ‘한국병합’ 전후 변모하는 과정을 조선인 사회를 포함한 지역 사회와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거류지 형태별로 창...

      이 논문은 일본인 거류민들에 의해 건립된 신사가 ‘한국병합’ 전후 변모하는 과정을 조선인 사회를 포함한 지역 사회와의 연관성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거류지 형태별로 창건 형태를 유형화하고 두 가지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개항 초기 거류지에는 소규모의 사당이 설치되었는데 대부분 해양 안전과 사업 번창을 기원하는 거류민들의 사적 기원의 장소였다. 그 후 거류민 인구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출신자로 구성된 거류민 사회를 아우르는 상징적 존재로 황조신(皇祖神) 아마테라스 오미카미를 모시는 신사가 각지에 건립되었다. 이들 신사는 대개 이세신궁을 요배한다는 의미에서 대신궁으로 이름지어졌다. 개항기부터 ‘한국병합’ 시기까지 거류민 신사는 사(私)적인 신앙과 공(公)적인 국민의식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한국병합’을 거치면서 아마테라스를 모시는 신사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신도’ 체제가 식민지 조선에 이식되었다. 여기에 1915년에 ‘신사사원규칙’이 제정되면서 신사(神社)와 작은 사당(神祠)을 관리・감독하는 제도적 장치가 만들어졌다. 총독부는 인가 과정에서 신사의 존엄 유지를 강조했고 이를 위해 재정 확보를 중요시했다. 이 영향으로 신사의 유지・경영를 위해 조선인을 우지코(氏子)로 포섭하고 갹출금을 부담시키는 방식이 취해지기도 했다.
      ‘신사사원규칙’ 후 창건한 거류민 신사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개항장 및 개시장에 건립된 기존의 거류민 신사가 개편되는 유형과 신사가 새롭게 창건되는 유형이 바로 그것이다. 전자인 인천신사 사례를 통해서는 국가적 기능이 강하게 요구되면서 기존의 세속적 기원의 사당이 말사와 섭사로 정리 개편되는 과정이 확인되었다. 후자인 수원신사 사례를 통해서는 국유지를 무상으로 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신사 창건 과정과 신사비 징수를 둘러싼 민족 간 갈등이 확인되었다.
      거류민 창건 신사의 변모 과정을 살펴보면서 눈길을 끄는 것은 신사에 부여된 기능의 변화다. 이전 거류민 신사가 지닌 사적인 신앙과 위안의 장소라는 기능에 더하여 거류민 사회의 통합이라는 기능이 설정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한국병합’을 거치면서 조선인 사회를 교화하는 시설로 신사를 규정하는 관점이 더해졌다. 거류민 창건 신사는 본국의 ‘국가신도’ 체제에 순응하면서 이와 동시에 이민족에 대한 포섭과 ‘동화(同化)’의 공간이란 기대에 부응하는 형태로 변모해갔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호,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박규태, "일본 신사(神社)의 역사와 신앙" 역락 2017

      3 박진한, "식민지시기 ‘인천대신궁’의 공간 변용과 재인천 일본인: 유락과 기념의 장소에서 식민지배의 동원장으로" 국학연구원 (162) : 391-433, 2013

      4 김승, "근대 부산의 일본인 사회와 문화변용" 선인 2014

      5 大曲美太郎, "龍頭山神社史料" 龍頭山神社社務所 1936

      6 山口公一, "韓国併合」以前における在朝日本人創建神社の性格について" 2 : 2009

      7 山口公一, "近代の日本と朝鮮-「された側」からの視座-" 本郷書房 2014

      8 國學院大學日本文化研究所, "神道事典" 弘文堂 1999

      9 "神社寺院規則施行ニ関スル件, In 大正四年寺刹関係書類"

      10 "神社創立願ニ関スル件, In 大正四年寺刹関係書類"

      1 김대호,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식민지적 근대"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박규태, "일본 신사(神社)의 역사와 신앙" 역락 2017

      3 박진한, "식민지시기 ‘인천대신궁’의 공간 변용과 재인천 일본인: 유락과 기념의 장소에서 식민지배의 동원장으로" 국학연구원 (162) : 391-433, 2013

      4 김승, "근대 부산의 일본인 사회와 문화변용" 선인 2014

      5 大曲美太郎, "龍頭山神社史料" 龍頭山神社社務所 1936

      6 山口公一, "韓国併合」以前における在朝日本人創建神社の性格について" 2 : 2009

      7 山口公一, "近代の日本と朝鮮-「された側」からの視座-" 本郷書房 2014

      8 國學院大學日本文化研究所, "神道事典" 弘文堂 1999

      9 "神社寺院規則施行ニ関スル件, In 大正四年寺刹関係書類"

      10 "神社創立願ニ関スル件, In 大正四年寺刹関係書類"

      11 酒井政之助, "発展せる水原"

      12 酒井政之助, "水原" 酒井出版部 1923

      13 "每日申報"

      14 青井哲人, "植民地神社と帝国日本" 吉川弘文館 2005

      15 山口公一,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神社政策と宗教管理統制秩序-「文化政治」 期を中心に-" 43 : 2005

      16 "朝鮮総督府統計年報"

      17 "朝鮮総督府官報"

      18 "朝鮮新報"

      19 "朝鮮ニ於ケル内地人経営ノ宗教情況(警高機発第470号, 明治44年1月調査), In 社寺宗教(明治四十四年)"

      20 菅浩二, "日本統治下の海外神社-朝鮮神宮・台湾神社と祭神" 弘文堂 2004

      21 平壌民団役所, "平壤発展史" 民友社 1914

      22 青野正明, "帝国神道の形成-植民地朝鮮と国家神道の論理" 岩波書店 2015

      23 大韓民國文教部國史編纂委員会, "尹致昊日記 7"

      24 岩下伝四郎, "大陸神社大観" 大陸神道連盟 1941

      25 大邱府, "大邱民団史" 秀英舍 1915

      26 "大神宮氏子総代ノ指令案, In 府制関係"

      27 "大正元年朝鮮総督府京畿道統計年報"

      28 朝鮮公論社, "在朝鮮内地人紳士名鑑"

      29 島薗進, "国家神道と日本人" 岩波書店 2010

      30 永留信孝, "全鮮内地人実業家有志懇話会速記録" 懇話会事務所 1920

      31 高尾新右衛門, "元山発展史" 啓文社 1916

      32 菅浩二, "併合以前の"韓国の神社"創建論-御祭神論を中心に-" 神道宗教学会 167 : 1997

      33 仁川府庁, "仁川府史"

      34 京城府, "京城神社御由緒記, In 国幣社関係綴"

      35 京城居留民団役所, "京城発達史"

      36 "JACAR(아시아역사자료센터) Ref.B020314027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