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對馬島人 退去 이전의 朝日交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80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과 일본은 임진왜란 이후 1609년의 기유약조로 통교를 재개하였다. 그러나 1868년의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이후부터는 양국 관계가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메이지유신은 일본에서 도쿠가...

      조선과 일본은 임진왜란 이후 1609년의 기유약조로 통교를 재개하였다. 그러나 1868년의 메이지유신(明治維新) 이후부터는 양국 관계가 흔들리기 시작하였다. 메이지유신은 일본에서 도쿠가와 막부가 무너지고 천황을 정점으로 하는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탄생시켰으며, 이에 수반하여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대마번을 매개로 하는 조일관계 역시 대마번이 외교 일선에서 물러나고, 메이지 정부가 직접 조선과 통교관계를 맺으려고 시도하는 등 큰 변화를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조선과 메이지 정부, 그리고 대마번은 각자의 이해관계를 계산하면서 조일 관계는 복잡한 양상을 띄게 되었다.
      근세 후기 조일관계에 대한 대마번의 시각은, 조선에 대한 우월감과 멸시 의식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며, 대마번이 조선에 대하여 ‘藩臣의 禮’를 취하는 "對州私交"는 皇國일본의 권위를 손상시키는 것으로서 개혁되어야 할 대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의 이면에는 진정한 외교관계의 개혁을 의도했다기보다는 당면한 재정난을 타개하려는 숨겨진 목적이 있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외교적 관례[舊例]의 준수를 요구하는 조선정부의 입장은 대마번을 교린체제(交隣體制)의 틀 안에 예속시키려는 것이었다. 대마번은 조선 초부터 수직인(受職人)의 입장에서 매년 조선에 조공(朝貢)을 했고, 현실적으로 조선에 의지해 왔다. 이러한 대마번이 일방적으로 교린체제에서 벗어나겠다고 통고하는 것은 양국의 외교관례에 어긋나는 행위였다. 조선은 대마번의 태도를 이해하기 어려웠으며, 구례에 따른 외교 의례를 지킬 것을 주장하면서 거듭 서계 수정을 요구했다. 그 결과 재정 문제로 곤란을 겪던 대마번은 서계에 新印사용을 중단하고 舊印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1872년 9월에 무단으로 감행된 메이지 정부의 왜관 점령으로 임진왜란 이후 재개된 조일간의 교린체제도 막을 내리게 되었다. 이후 양국관계는 교린체제 하에서의 교섭이 아닌 메이지 정부의 외무성 관리와 직접 교섭하는 단계로 접어들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oth Joseon and Japan resumed communication in 1609. However,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gan to deteriorate. In Meiji Restoration, the Tokugawa shogunate collapsed i...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both Joseon and Japan resumed communication in 1609. However,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began to deteriorate. In Meiji Restoration, the Tokugawa shogunate collapsed in Japan, creating a political system with the emperor as the peak, accompanied by many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sushima Han is also a major change, as the Tsushima withdraws from the front line of diplomacy and the Meiji government directly tries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Joseon. In this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the Meiji govern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overnments, became more complicated.
      It is based on the sense of superiority and contempt for Jos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eonju Province Private Diplomacy" in which " And that it should be reformed. However, we can not overlook the hidden purpose of overcoming the financial difficulties rather than intending to reform the true diplomatic relations. The position of the Joseon government, which calls for the adherence of diplomatic customs (old examples), was to subordinate the cannon to the framework of the system of interchange. Tsushima Han has been tributary to Chosun every year since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and has relied on Chosun in reality. It was a violation of the diplomatic practices of the two countries to notify them that such a cannibal would unilaterally escape from the system. Joseon was unable to understand Tsushima Han"s attitude and repeatedly demanded revision of diplomatic documents, emphasizing the need to maintain diplomatic rituals in accordance with the ritual. As a result, Tsushima, who had trouble with financial problems, had to stop using the new seal in diplomatic documents and use the old seal.
      The Meiji government"s occupation of the Japan House, which was unauthorized in September 1872, also brought about the resump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were resum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Since then, bilateral relations have entered into a stage of negotiating directly with the administration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Meiji government, not through negotiations under the system of inter-Korean re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大修參判使의 파견
      • 3. 팔송사와 차왜
      • 4. 결론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大修參判使의 파견
      • 3. 팔송사와 차왜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명철, "한・일 역사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 - 한일관계의 변화와 총독부 간행 조선사 기술 검토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학회 (40) : 173-220, 2011

      2 김흥수, "한일관계의 근대적 개편과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3 현명철, "기유약조체제의 붕괴 과정에 대하여" 한일관계사학회 (54) : 155-192, 2016

      4 "館守每日記"

      5 石川寬, "近代移行期における日朝関係刷新交涉の研究" 早稲田大學大學院 2007

      6 田保橋潔, "近代日鮮關係史の硏究 上" 朝鮮總督府 1940

      7 현명철, "田保橋潔의 『近代日鮮關係の硏究』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한일관계사학회 51 : 2015

      8 "東萊府啓錄"

      9 한국일본문제연구회, "朝鮮外交事務書 1-4" 成進文化社 1971

      10 石川寬, "明治維新期における対馬藩の動向-日朝外交一元化と朝鮮対馬関係" 歷史學硏究會 (709) : 1998

      1 현명철, "한・일 역사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 - 한일관계의 변화와 총독부 간행 조선사 기술 검토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학회 (40) : 173-220, 2011

      2 김흥수, "한일관계의 근대적 개편과정"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9

      3 현명철, "기유약조체제의 붕괴 과정에 대하여" 한일관계사학회 (54) : 155-192, 2016

      4 "館守每日記"

      5 石川寬, "近代移行期における日朝関係刷新交涉の研究" 早稲田大學大學院 2007

      6 田保橋潔, "近代日鮮關係史の硏究 上" 朝鮮總督府 1940

      7 현명철, "田保橋潔의 『近代日鮮關係の硏究』 무엇이 잘못되었을까" 한일관계사학회 51 : 2015

      8 "東萊府啓錄"

      9 한국일본문제연구회, "朝鮮外交事務書 1-4" 成進文化社 1971

      10 石川寬, "明治維新期における対馬藩の動向-日朝外交一元化と朝鮮対馬関係" 歷史學硏究會 (709) : 1998

      11 石川寬, "明治期の大修參判使と對馬藩" 歷史學硏究會 (775) : 2003

      12 심기재, "明治政府의 對朝 外交·貿易 一元化 過程의 一考察 代官 처리를 중심으로 -" 한국일어일문학회 48 (48): 299-320, 2004

      13 泰東文化社편집부, "日本外交文書 (한국편)" 泰東文化社 1981

      14 石川寬, "日朝關係の近代的改編と對馬藩" (480) : 2002

      15 "承政院日記"

      16 沈箕載, "幕末維新日朝外交史の硏究" 臨川書店 1997

      17 현명철, "對馬藩 소멸 과정과 한일관계사" 동북아역사재단 (41) : 181-213, 2013

      18 현명철, "19세기 후반의 對馬州와 韓日關係" 국학연구원 2003

      19 현명철, "1872년 일본 화륜선의 왜관 입항" 동북아역사재단 (49) : 325-365,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