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사료로 본 백제 熊津시기 왕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5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왕력과 관련된 『일본서기』 기사는 크게 120년 내려야 『삼국사기』 와 맞는 부분과 120년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일본서기』편찬과정이 여러 단계를 거...

      백제왕력과 관련된 『일본서기』 기사는 크게 120년 내려야 『삼국사기』 와 맞는 부분과 120년을 조정할 필요가 없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일본서기』편찬과정이 여러 단계를 거쳤음을 말해주며, 120년 차이가 나는 백제계 자료와 중국측 자료를 이용하여 왜국의 초기 대외관계기사 등에 사실성을 부여하고자 한 데서 비롯된다.
      개로왕과 문주왕, 곤지의 관계는 모두 형제관계이다. 개로왕과 문주왕을 나타내는 ‘母弟’는 『일본서기』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同母弟’임을 밝혔다. 문주가 왕으로 즉위할 수 있었던 것은 개로왕 직계의 사망과 함께 곤지의 백제 국내 부재라는 배경이 있었다. 문주의 뒤를 이은 인물은 장자인 삼근왕이다.
      한편 곤지는 왜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무령왕과 동성왕을 낳았다. 먼저 무령왕의 출자와 관련하여 『일본서기』 본문에는 개로왕의 자식으로, 분주로 인용된 『백제신찬』에는 곤지의 자식으로 나오지만, 후자가 사실일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일본서기』 본문에서 무령왕을 개로왕의 자식이라고 기록하게 된 것은 한성백제와 웅진백제 양 혈통의 정당한 계승자로서의 무령왕의 모습을 부각시키고자 백제왕씨를 비롯한 백제계 씨족(倭君씨)이 『일본서기』 편찬과정에 관여한 결과이다. 그 과정에서 당시 백제계 씨족들과 잦은 교류를 가졌던 藤原不比等의 탄생담을 모티브로 개로왕의 임신한 부인을 곤지에게 하사했다는 무령왕의 출생담이 만들어졌다고 보았다.
      삼근왕의 뒤를 이은 동성왕은 무령왕의 이모제였다. 동성왕은 왜국에서 태어나 자라다가 삼근왕이 사망하자 귀국하여 즉위하였다. 동성왕의 즉위과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각이 있지만, 이모형인 무령왕의 모계 문제와 국내외 세력의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ntries in Nihon shoki that relate to the chronology of Baekje’s kings can be divided into those chronologies which maybe matched with those in the Samguk sagi, only if the former 120 years are deducted from its chronicle and others which do not...

      The entries in Nihon shoki that relate to the chronology of Baekje’s kings can be divided into those chronologies which maybe matched with those in the Samguk sagi, only if the former 120 years are deducted from its chronicle and others which do not require the arrangement of 120 years. This suggests that the compilation process of Nihon shoki took many steps, since the text was intended to add factuality to the initial articles of Japanese foreign relations by using data from Baekje and Chinese texts with the interval of 120 years between them.
      King Gaero had sibling relationships with King Munju and Gonji. “Moje” (母弟), representing King Gaero and King Munju, was identified as “Dongmoje” (同母弟) by investigating cases included in Nihon shoki. Munju could become the king due to the death of a direct descendant of King Gaero and the absence of Gonji in Baekje. It was King Samgeun, the first born son of King Munju, who succeeded to King Munju.
      Meanwhile, Gonji gave birth to King Muryeong and King Dongseong, while settling in Japan. First, King Muryeong is described as a son of King Gaero in the Nihon shoki, while he appears as a child of Gonji in Baekje sinchan. The latter case is likely to be true. Nevertheless, he was recorded as a son of King Gaero in Nihon shoki, as the Baekje descent group, including the Kudaranokonikisk, was involved in the compiling process of Nihon shoki, in order to highlight the identity of King Muryeong as a valid successor of two lineages, Hanseong and Woongjin Baekje. King Muryeong’s birth tale in which King Gaero granted his pregnant wife to Gonji seemed to have been created in the process, with the motive of the other birth tale of Fujiwara Fuhito 藤原不比等(Fujiwara Fuhito) as Fuhito often interacted with Baekje’s clans at that time.
      King Dongseong, who followed King Samggeun, was Imoje of King Muryeong. He was born and raised in Japan, and then returned to Baekje and acceded to the throne when King Samgeun died. Although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enthronement process of King Dongseong, his enthronement may have been possible due to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maternal line of King Muryeong, Imohyeong,and the support of domestic and foreign for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日本書紀』의 백제왕력기사 성격
      • 3. 개로왕과 문주왕, 곤지의 관계
      • 4. 무령왕의 出自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日本書紀』의 백제왕력기사 성격
      • 3. 개로왕과 문주왕, 곤지의 관계
      • 4. 무령왕의 出自
      • 5. 삼근왕과 동성왕 즉위
      • 6.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석, "한일 역사교류의 어제와 오늘" 2001

      2 김기섭, "한성시대 백제의 왕계에 대하여-『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83 : 1993

      3 이도학, "한성말 웅진시대 백제왕위계승과 왕권의 성격" 50-51 : 1985

      4 주보돈, "한성도읍기의 백제" 2007

      5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6 김은숙, "일본서기의 백제기사의 기초적 검토" 충남대 백제연구소 21 : 1991

      7 양기석, "웅진시대의 백제지배층 연구-왕권강화정책과 관련하여-" 14 : 1980

      8 정재윤, "웅진시대 백제 정치사의 전개와 그 특성"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9 나행주, "왜국의 對한반도 정책 - 「임나의 조」정책의 전개과정 -" 한일관계사학회 (40) : 223-257, 2011

      10 양기석, "왜5왕 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1 이재석, "한일 역사교류의 어제와 오늘" 2001

      2 김기섭, "한성시대 백제의 왕계에 대하여-『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83 : 1993

      3 이도학, "한성말 웅진시대 백제왕위계승과 왕권의 성격" 50-51 : 1985

      4 주보돈, "한성도읍기의 백제" 2007

      5 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6 김은숙, "일본서기의 백제기사의 기초적 검토" 충남대 백제연구소 21 : 1991

      7 양기석, "웅진시대의 백제지배층 연구-왕권강화정책과 관련하여-" 14 : 1980

      8 정재윤, "웅진시대 백제 정치사의 전개와 그 특성"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9 나행주, "왜국의 對한반도 정책 - 「임나의 조」정책의 전개과정 -" 한일관계사학회 (40) : 223-257, 2011

      10 양기석, "왜5왕 문제와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11 윤용혁, "연구논문 : 무령왕 "출생전승"에 대한 논의" 백제문화연구소 (32) : 1-17, 2003

      12 이용빈, "선사와 고대" 한국고대학회 2003

      13 이도학, "새로쓰는 백제사" 푸른역사 1997

      14 양기석,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 국사편찬위원회 1995

      15 김영심, "백제학연구총서 쟁점백제사 개로왕의 꿈, 대국 백제" 한성백제박물관 2016

      16 노중국, "백제정치사연구" 일조각 1988

      17 김은숙, "백제유민들의 활동"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18 양기석, "백제성왕대의 정치개혁과 그 성격-전제왕권의 성립문제와 관련하여-" 한국고대사학회 4 : 1990

      19 김은숙, "백제관련 자료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6

      20 양기석, "백제 전지왕대의 정치적 변혁" 10 : 1982

      21 노중국, "백제 왕실의 남천과 지배세력의 변천" 4 : 1978

      22 양기석, "백제 성왕대의 정치개혁과 그 성격" 4 : 1991

      23 문경현, "백제 무령왕의 출자에 대하여" 60 : 2000

      24 김기섭, "백제 동성왕의 즉위와 정국 변화" 한국상고사학회 50 (50): 5-21, 2005

      25 강종원, "백제 근초고왕의 왕위계승" 27 : 1997

      26 이도학, "백제 고대국가 연구" 일지사 1996

      27 이용빈, "백제 개로왕의 즉위와 정치변혁" 4 : 1992

      28 김기섭, "백제 東城王 암살사건 재검토" 한국학연구소 34 : 113-129, 2010

      29 정재윤, "문주・삼근왕대 해씨 세력 동향과 곤지계의 등장" 40 : 2000

      30 정재윤, "동성왕 23년 정변과 무령왕의 집권" 99-100 : 1997

      31 이재석, "곤지의 도왜시점과 동기에 대한 재검토" 30 : 2001

      32 연민수,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1998

      33 김은숙, "西文氏의 ‘歸化’전승" 역사학회 118 : 1988

      34 김영심, "百濟의 ‘君’號에 대한 試論的 考察" 백제연구소 (48) : 1-32, 2008

      35 홍성화, "百濟와 倭 왕실의 관계 -왕실 간 혼인관계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39) : 301-329, 2011

      36 三品彰英, "百濟記・百濟新撰・百濟本記について" 朝鮮學會 24 : 1962

      37 古川政司, "百濟王統系譜の一考察" 7 : 1977

      38 노중국, "百濟王室의 南遷과 支配勢力의 變遷" 서울대 국사학과 4 : 1978

      39 이기백, "百濟王位繼承考" 11 : 1959

      40 坂元義種, "百濟史の硏究" 塙書房 1978

      41 山尾行久, "百濟三書と日本書紀" 1978

      42 정재윤, "百濟 王族의 倭 派遣과 그 性格 -昆支를 中心으로-" 백제연구소 (47) : 1-28, 2008

      43 오계화, "百濟 武寧王의 出自와 王位繼承" 한국고대사학회 33 : 249-290, 2004

      44 田中俊明, "百濟 文周王系의 등장과 武寧王" 백제연구소 (49) : 123-142, 2009

      45 黛弘道, "物部・蘇我氏と古代王權" 吉川弘文館 1994

      46 홍성화, "熊津時代 百濟의 王位繼承과 對倭關係" 백제문화연구소 (45) : 43-66, 2011

      47 이도학, "漢城末熊津時代百濟王系의 검토" 15 : 1984

      48 今井啓一, "椒房と歸化人系" 1984

      49 鈴木靖民, "東アジア諸民族の国家形成と大和政権" 東京大學出版會 1 : 1984

      50 류민화, "朝鮮固有名表記字의 연구" 혜안 2000

      51 日本古典文學大, "日本書紀 上" 岩波書店 1967

      52 山尾行久, "日本國家の形成" 岩波書店 1975

      53 山尾幸久, "日本古代王權形成史論" 岩波書店 1983

      54 義江明子, "日本古代女帝論" 塙書房 2017

      55 주보돈, "古代東亞細亞와 백제" 충남대백제연구소 2003

      56 주보돈, "古代東亞世亞와 百濟" 서경 2003

      57 羅幸柱, "古代朝日關係における‘質’の意味" 早稻田大學史學會 134 : 1996

      58 山尾幸久, "古代の日朝關係" 塙書房 1989

      59 坂元義種, "五世紀の<百濟大王>とその王・侯" 朝鮮史硏究會 4 : 1968

      60 이기동, "中國史書에 보이는 백제왕 牟都에 대하여" 62 : 1974

      61 笠井倭人, "中國史書における百濟王統" 塙書房 8 : 1975

      62 양기석, "三國時代人質의 성격에 대하여" 15 : 1981

      63 保立道久, "かぐや姫と王権神話" 洋泉社 2010

      64 박재용, "『일본서기』의 편찬과 백제 관련 문헌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65 李根雨, "『日本書記』에 인용된 百濟三書에 관한 연구"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4

      66 연민수, "5세기후반 백제와 왜국-곤지의 행적과 동성왕의 즉위사정을 중심으로-" 동국대 일본학연구소 13 : 1994

      67 김수태, "5세기 후반 백제의 대왜 관계와 남조" 백제학회 (6) : 169-193, 2011

      68 김현구, "2002년 학술회의 : 백제문화를 통해 본 고대 동아시아 세계 ; 백제와 일본간의 왕실외교 - 5세기를 중심으로 -" 백제문화연구소 (31) : 31-4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