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이지유신(明治維新)과 대한제국의 군제개혁 -일본 메이지 신정부와 대한제국의 헌병 설치 과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The Meiji Restoration and Military System Reform of the Daehan Empire: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Japanese Meiji New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police of the Daehan Emp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2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eries of rebellions of the old Samurai class and the ‘movement for liberal civil rights following the Meiji Restoration in Japan raised a need to reform the disordered military system by introducing the military police. Therefore, the military po...

      A series of rebellions of the old Samurai class and the ‘movement for liberal civil rights following the Meiji Restoration in Japan raised a need to reform the disordered military system by introducing the military police. Therefore, the military police was organized as part of an effort to reform the police and the military system. The Japan’s military police system imitated that of France and thus established the military police as part of the army with broad police rights that cover the administrative and judicial policing as well as military policing granted to them. Japan followed the military police system of France as it was an exemplary military police system that represented Europe back then, and the fact that many bureaucrats in military, police, and judicial system studied in France following the Meiji Restoration also encouraged the Japan’s adoption of the French military police system.
      Meanwhile, Korea actively pushed ahead with the introduction of a modern military system from the Gabo Reform of 1894 up until the formation of the Daehan Empire. However, the Daehan Empire experienced a severe confusion of switching the military system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s it introduced the Japanese military system in early stage but switched to the Russian military system after the incident of Korea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This inevitably spurred the already disordered military discipline at the time. As a corrective measure, major general Baek Seong-gi raised a need for military police.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Daehan Empire followed the example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that the Daehan Empire’s military police borrowed a Japanese newly coined term of ‘Heunbyeong’, or military police and that the Army Military Police Ordinance of the Daehan Empire borrowed the key stipulations and Chinese words as they are directly from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Ordinance. Japan was the only country back then that ran the military police system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culture, which seemingly left no other choice but to follow the Japanese footsteps for the Daehan Empire that was eager to immediately introduce the military police system at the time. In retrospect, the French military police system was eventually transplanted to the Daehan Empire through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래 연이은 사족의 반란과 자유민권운동 등으로 인한 군기 문란으로 헌병을 도입하여 군기를 확립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경찰 및 군제 개혁의 일환으로 헌병제도를 ...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래 연이은 사족의 반란과 자유민권운동 등으로 인한 군기 문란으로 헌병을 도입하여 군기를 확립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경찰 및 군제 개혁의 일환으로 헌병제도를 설치하였다. 일본의 헌병제도는 프랑스의 것을 모방하여 육군의 일부로 헌병을 설치하고 군사경찰과 함께 행정경찰 및 사법경찰이라고 하는 광범위한 경찰권을 부여하였다. 프랑스를 모범으로 삼은 이유는 유럽을 대표하는 헌병제도가 프랑스식이었고, 메이지유신 이래 많은 신정부의 군인, 경찰, 사법 관료들이 프랑스에 유학한 경험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한국은 갑오개혁 이후부터 대한제국 성립을 전후한 시기까지 근대적인 군제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지만, 처음에는 일본의 군제, 아관파천 이후에는 러시아의 군제를 도입하는 등 짧은 기간 사이에 군제가 뒤바뀌는 혼란상이 나타났다. 이는 필연적으로 당시 심화되고 있던 군기 문란 양상에 박차를 가했고, 이러한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육군참장 백성기에 의해 헌병 설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던 것이다. 완성된 대한제국의 헌병제도는 일본이 만든 신조어인 ‘헌병’을 그대로 차용한 점이나, 반포된 대한제국의 「육군헌병조례」가 일본의 「헌병조례」 조문의 중요부분 및 구성, 한자용어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본의 것을 모범으로 삼았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당시 일본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유일하게 헌병제도를 운용하고 있었기에 조속한 헌병제도 도입을 추진하던 대한제국에게는 일본 이외에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프랑스의 헌병제도는 일본을 거쳐 대한제국으로 이식되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희, "일본과 한국의 헌병제도 ‘도입’ 과정을 둘러싼 문무관 대립 양상" 일본연구소 36 : 113-132, 2012

      2 이승희, "메이지(明治) 시기 프랑스 헌병제도의 일본 수용과정" 중앙사학연구소 (39) : 217-252, 2014

      3 양상현, "대한제국의 군제 개편과 군사 예산 운영" 부산경남사학회 (61) : 179-212, 2006

      4 서인한, "대한제국의 군사제도" 혜안 2000

      5 조재곤, "대한제국기 군사정책과 군사기구의 운영" 한국역사연구회 19 : 1996

      6 이성진,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 (21) : 35-52, 2009

      7 김혜영, "갑오개혁 이후 군사법제도(軍司法制度)의 개혁 -「육군징벌령」과 「육군법률」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9) : 115-160, 2013

      8 車文燮, "舊韓末 軍事制度의 變遷"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5 : 1982

      9 田中隆二, "渡正元の「漫遊日誌」について" 日本佛學史學會 30 : 2000

      10 車文燮, "朝鮮時代軍事關係硏究"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1 이승희, "일본과 한국의 헌병제도 ‘도입’ 과정을 둘러싼 문무관 대립 양상" 일본연구소 36 : 113-132, 2012

      2 이승희, "메이지(明治) 시기 프랑스 헌병제도의 일본 수용과정" 중앙사학연구소 (39) : 217-252, 2014

      3 양상현, "대한제국의 군제 개편과 군사 예산 운영" 부산경남사학회 (61) : 179-212, 2006

      4 서인한, "대한제국의 군사제도" 혜안 2000

      5 조재곤, "대한제국기 군사정책과 군사기구의 운영" 한국역사연구회 19 : 1996

      6 이성진,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 (21) : 35-52, 2009

      7 김혜영, "갑오개혁 이후 군사법제도(軍司法制度)의 개혁 -「육군징벌령」과 「육군법률」을 중심으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9) : 115-160, 2013

      8 車文燮, "舊韓末 軍事制度의 變遷"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5 : 1982

      9 田中隆二, "渡正元の「漫遊日誌」について" 日本佛學史學會 30 : 2000

      10 車文燮, "朝鮮時代軍事關係硏究"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6

      11 松下芳男, "明治軍制史論 上卷" 有斐閣 1956

      12 佐久間健, "明治前期における憲兵創設の經緯-藩閥政治との關聯から-(下)" 88 : 2008

      13 佐久間健, "明治前期における憲兵創設の經緯-藩閥政治との關聯から-(上)" 87 : 2008

      14 中原英典, "明治前期における備警兵構想について (上)" 良書普及會 47 (47): 1976

      15 大日方純夫, "日本近代國家の成立と警察" 校倉書房 1992

      16 全國憲友會聯合會, "日本憲兵正史" 硏文書院 1976

      17 田崎治久, "日本之憲兵正·續" 三一書房 1971

      18 松田利彦, "日本の朝鮮植民地支配と警察: 1905~1945" 校倉書房 2009

      19 井上毅傳記編纂委員會, "『井上毅傳』 史料編第1" 國學院大學圖書館 196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