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초 小北 정권의 성립과정에 對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15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17세기 초 소북 정권의 성립과정을 정치사적 흐름에서 다시 한 번 고찰하는 것에 있다. 소북 정권의 탄생의 배경에는 북인들과 선조의 영합이 있었다. 선조는 임진왜란, 정유...

      본고의 목적은 17세기 초 소북 정권의 성립과정을 정치사적 흐름에서 다시 한 번 고찰하는 것에 있다. 소북 정권의 탄생의 배경에는 북인들과 선조의 영합이 있었다. 선조는 임진왜란, 정유재란 이후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대외적으로는 강경론자를 자청하면서 明으로부터 재신임을 얻고, 대내적으로는 明의 권위를 활용하여 공신 서훈 작업과 존호 제정 작업을 통해 정권의 정당성을 유지하려 했다. 북인들은 이러한 선조의 요구에 조응하여 대외강경론을 전개하며 ‘화의론자’들을 배척하는 한편, 최영경이라는 인물을 선택하여 기축옥사의 부당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선조와 소북 정권의 결탁은 17세기 초 조선의 정치 상황과 관련하여 상당히 역설적인 결과를 이루어냈다. 선조와 소북 정권은 明의 권위에 의존하고 明의 은덕을 강조함으로써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여, 결과적으로는 독자적인 대내외 정책을 펴나갈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전략은 明이 강대국으로서 존재할 때에나 효과적인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고식지계에 불과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essay is to research the foundation of the Sobuk Regime. The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buk regime was the coalition between King Sunjo and Bukin. King Sunjo externally pretended to be a hawk and internally used Ming Chi...

      The goal of this essay is to research the foundation of the Sobuk Regime. The backgroun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buk regime was the coalition between King Sunjo and Bukin. King Sunjo externally pretended to be a hawk and internally used Ming China`s authority for performing commemorations and for establishing eulogistic titles in order to reinforce his legitimacy. Bukin corresponded to King Sunjo`s request by taking strong stands on diplomatic issues to exclude doves.
      The coalition between King Sunjo and the Sobuk regime caused rather paradoxical results. By depending on Ming`s authority and emphasizing Ming`s favor, King Sunjo and the Sobuk regime were able to reinforce their respective sovereign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정응태 무고 사건과 ‘主和誤國論’
      • 3. 丁酉再亂 전후 처리와 小北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정응태 무고 사건과 ‘主和誤國論’
      • 3. 丁酉再亂 전후 처리와 小北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練藜室記述"

      2 이태진,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태학사 2003

      3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1" 동방미디어 2000

      4 한명기, "임진왜란기 明・日협상에 관한 연구-明의 강화 집착과 조선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98 : 2002

      5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6 김경태, "임진왜란 후, 明 주둔군 문제와 조선의 대응" 국학연구원 (147) : 353-397, 2009

      7 김경태, "임진왜란 후 강화교섭기 국서문제의 재검토" 고려사학회 (36) : 43-86, 2009

      8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대일강화정책의 성격연구" 한국사연구회 (138) : 39-74, 2007

      9 김태훈, "이덕형(1561~1613)의 외교 지식 축적과 구현" 한일관계사학회 (61) : 173-209, 2018

      10 구덕회, "선조대 후반(1594~1608) 정치체제의 재편과 정국의 동향" 20 : 1988

      1 "練藜室記述"

      2 이태진, "조선시대 정치사의 재조명" 태학사 2003

      3 이성무, "조선시대 당쟁사1" 동방미디어 2000

      4 한명기, "임진왜란기 明・日협상에 관한 연구-明의 강화 집착과 조선과의 갈등을 중심으로" 98 : 2002

      5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6 김경태, "임진왜란 후, 明 주둔군 문제와 조선의 대응" 국학연구원 (147) : 353-397, 2009

      7 김경태, "임진왜란 후 강화교섭기 국서문제의 재검토" 고려사학회 (36) : 43-86, 2009

      8 김경태, "임진왜란 직후,대일강화정책의 성격연구" 한국사연구회 (138) : 39-74, 2007

      9 김태훈, "이덕형(1561~1613)의 외교 지식 축적과 구현" 한일관계사학회 (61) : 173-209, 2018

      10 구덕회, "선조대 후반(1594~1608) 정치체제의 재편과 정국의 동향" 20 : 1988

      11 남명학연구원, "덕계 오건과 수우당 최영경" 예문서원 2009

      12 이정철, "기축옥사 초기 전개 양상 再考" 한국고전번역원 45 : 209-246, 2015

      13 李啓煌, "文祿・慶長の役と東アジア" 臨川書店 1997

      14 大津透, "岩波講座日本歷史第十卷-近世一" 岩波書店 2014

      15 "宣祖實錄"

      16 정홍준, "壬辰倭亂직후 政局의 推移와 北人政權의 성립" 34 : 1988

      17 신병주, "北人 학파의 연원과 사상, 그리고 현실인식" 한국철학사연구회 (32) : 43-78, 2011

      18 민덕기, "前近代동아시아 세계의 韓日관계" 경인문화사 2007

      19 허지은, "丁應泰의朝鮮誣告事件을 통해 본 조명관계" 한국사학회 (76) : 169-205, 2004

      20 신병주, "17세기 전반 북인관료의 사상-김신국, 남이공 김세렴을 중심으로" 8 : 1992

      21 차은주, "16~17세기 金藎國의 社會經濟政策硏究" 12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87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