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모곡>의 전승 과정과 주제에 대한 재검토 = Study on the tradition process and theme of the Samogok( 思母曲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90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시가인 <사모곡>을 「고려사」 악지 삼국속악조의 <목주가>와 동일한 작품으로, 아버지를 원망하며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노래로 이해해 왔다. 그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시가인 <사모곡>을 「고려사」 악지 삼국속악조의 <목주가>와 동일한 작품으로, 아버지를 원망하며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노래로 이해해 왔다. 그러나 <사모곡>의 전승 과정을 재검토하면서 <목주가>와의 연관 성을 찾을 수 없었다. 다만 「악학편고」의 기록을 통해 <사모곡>이 악장이라는 문화적 관습 속에서 조선 후기까지 지속적인 전승과 향유가 이루어진 작품임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궁중은 만인의 아버지인 왕과 왕위를 안정적으로 잇기 위하여 계비나 후궁과 같은 여러 명의 어머니들이 상존하는 특별한 공간이기도 하다. 이곳에서 아버지를 원망하고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주제의 노래가 끊임없이 전승, 향유된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다. <사모곡>의 주제를 해명하기 위해 시의 종결부에 해당하는 제3행의 탄사 ‘아소 님하’에 주목하여 이 구절이 사용된 다른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사모곡>의 주제를 모성애로 상징되는 완전 하고 절대적인 사랑을 임에게 갈구하는 작품으로 새롭게 해석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st studies, it is the same work as the poetry of the Koryo dynasty, Samogok(思母曲), which is the same work as the Mokjuga(木州 歌) of The History of Korea(高麗史). However, it was hard to find a connection with the Samogok(思母曲) an...

      In most studies, it is the same work as the poetry of the Koryo dynasty, Samogok(思母曲), which is the same work as the Mokjuga(木州 歌) of The History of Korea(高麗史). However, it was hard to find a connection with the Samogok(思母曲) and Mokjuga(木州歌). Samogok(思 母曲) was able to confirm newly that it is the work which consisted of the court literature, by the late Joseon Dynasty. I focused on common phrase, ‘아소 님하’ in the third line, which corresponds to the end of the poem, and compared it with other works using this passage. Through this, the theme of this work is a work appealing to the complete and absolute love symbolized by maternal lo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사모곡>의 전승 과정
      • 3. <사모곡>의 주제와 표현 방식
      • 4. 결론
      • 1. 서론
      • 2. <사모곡>의 전승 과정
      • 3. <사모곡>의 주제와 표현 방식
      • 4.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철, "한국어학의 신연구" 한신문화사 1-613, 1990

      2 정병욱, "한국시가문학의 탐구" 신구문화사 1-492, 1999

      3 임동권, "한국부요연구" 집문당 1-233, 1982

      4 성기옥, "한국고전심포지엄시리즈 악학궤범" 일조각 1-237, 2001

      5 신동익,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407, 1992

      6 강전섭, "한국고전문학연구" 대왕사 1-406, 1982

      7 김광순, "한국고전문학사의 쟁점" 새문사 1-527, 2004

      8 이종출, "한국고시가연구" 태학사 1-487, 1989

      9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사 연구" 박이정 1-338, 1998

      10 서울대학교 규장각, "충청도읍지 2"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1

      1 최호철, "한국어학의 신연구" 한신문화사 1-613, 1990

      2 정병욱, "한국시가문학의 탐구" 신구문화사 1-492, 1999

      3 임동권, "한국부요연구" 집문당 1-233, 1982

      4 성기옥, "한국고전심포지엄시리즈 악학궤범" 일조각 1-237, 2001

      5 신동익, "한국고전시가작품론 1" 집문당 1-407, 1992

      6 강전섭, "한국고전문학연구" 대왕사 1-406, 1982

      7 김광순, "한국고전문학사의 쟁점" 새문사 1-527, 2004

      8 이종출, "한국고시가연구" 태학사 1-487, 1989

      9 강등학, "한국 구비문학사 연구" 박이정 1-338, 1998

      10 서울대학교 규장각, "충청도읍지 2"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1

      11 최문휘, "충남민요집"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충남지회 1-831, 1990

      12 고영근, "중세어 자료 강해" 집문당 1-474, 2006

      13 송석하, "전승노리의 유래, 전남지방 강강수월래" 조선일보사출판부 46 : 1-370, 1938

      14 김흥규, "욕망과 형식의 시학" 태학사 1-338, 1999

      15 임주탁, "옛노래 연구와 교육의 방법" 부산대학교 출판부 1-560, 2009

      16 볼프강 카이저, "언어예술작품론" 예림기획 1-733, 1999

      17 양주동, "양주동전집 2" 동국대학교출판부 1-463, 1995

      18 "악학편고"

      19 권영철, "악학편고" 형설출판사 1-401, 1976

      20 김명준, "악장가사 주해" 다운샘 1-224, 2004

      21 김명준, "악장가사 연구" 다운샘 1-335, 2004

      22 "악장가사"

      23 이병기, "시용향악보의 한 고찰" 113 : 14-15, 1955

      24 "시용향악보"

      25 서영숙, "서사민요의 지역문학적 성격: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32 : 123-151, 2012

      2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사모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7 김광수, "논리와 비판적 사고" 철학과현실사 1-495, 2007

      28 김대행, "노래와 시의 세계" 역락 1-381, 1999

      29 "금합자보, 시용향악보, 동대금보, 동대가야금보, 동대율보" 국립국악원 1987

      30 "금합자보"

      31 정재영, "국어 감탄문의 변화" 진단학회 92 : 293-325, 2001

      32 이병기, "국문학전사" 신구문화사 1-557, 1972

      33 김학성, "국문학의 탐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384, 1987

      34 성기열,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446, 1982

      35 권영철, "고려시대의 가요문학" 새문사 1-446, 1982

      36 성호경, "고려시대 시가 연구" 태학사 1-468, 2006

      37 윤영옥, "고려시가의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280, 1991

      38 "고려사"

      39 박병채,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삼우사 1-411, 1976

      40 최용수, "고려가요연구" 계명문화사 1-443, 1996

      41 강헌규, "고려가요 사모곡 신고" 국어국문학회 84 : 238-243, 1980

      42 B. H. Smith, "The New Princeton Encyclopedia of Poetry and Poe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383, 1993

      43 장성진, "<사모곡>의 의미와 변용" 문학과 언어학회 20 : 157-186, 1998

      44 황준연, ""시용향악보"향악곡의 연대" 4 : 99-119,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7 1.6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