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에 나타난 중국 국가 직접 呼稱語와 고려 自稱語의 유형과 대립 양상 = The Type of National Address Terms and Aspect of Conflict between Chinese Address Terms and Goryeo Self-address Terms in Goryeo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5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ys to figure out the types of national address terms and the aspec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ypes in 204 diplomatic documents in Goryeo History which Goryeo dynasty send to Chinese dynasty. National address terms fall into calling Chi...

      This study trys to figure out the types of national address terms and the aspec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types in 204 diplomatic documents in Goryeo History which Goryeo dynasty send to Chinese dynasty. National address terms fall into calling Chinese dynasty and calling Goryeo dynasty oneself, and the former is address terms and the latter is self-address terms. The national address terms is divided a direct address terms which don’t have a figurative expression and a indirect address terms which have a figurative expression once again. This study sets a limit on a direct address terms.
      The direct address terms are composed of ‘modifier+modificand’, and the typical modificand of the address terms is ‘朝’ and ‘國’, and the typical modifier of that is ‘上’ and ‘大’. The typical address terms combined the modifier and modificand is ‘上朝’, ‘上國’, ‘大朝’ and ‘大國’. In addition to the typical address terms, there is another type of address terms using different modificand such as ‘大宋’, ‘大邦’ and ‘上都’.
      The direct self-address terms also are composed of ‘modifier+ modificand’, and the typical modificand of the self-address terms is ‘國’ and ‘邦’, and the typical modifier of that is ‘小’. The typical address terms combined the modifier and modificand is ‘小國’ and ‘小邦’. In addition to the typical self-address terms, there are lots of self-address terms which have low frequency of use such as ‘本國’, ‘我國’, ‘當國’, ‘擧國’, ‘闔國’, ‘周邦’.
      The direct address terms and direct self-address terms are fall into two category, one is to have a function of just calling a nation without emotional nuance using emotive meaning, and the another one is to have a function including emotional nuance shch as respect opposite nation and express humbleness of its own country. The former is a neutral expression and the latter is a rhetorical expression. The direct address terms and direct self-address terms show a aspect of conflict between the neutral expression and the rhetorical expression. This aspect of conflict depend on using modifier which has emotional nuance, or not.
      In addition, the rhetorical expression also have a aspect of conflict between direct address terms and direct self-address terms such as <上-下>, <大-小>, <皇-侯/屬>, <國-家> and <都-邑>. This aspect of conflict is understood that it is extended application on confucian order of rank such as a grade of rank between father and s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려에서 중국 왕조에 보낸 『고려사』 소재 204건의 외교문서에 나타난 국가 호칭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 유형의 대립 양상을 조명한 것이다. 국가 호칭은 중국 국가를 호칭한 것...

      본 연구는 고려에서 중국 왕조에 보낸 『고려사』 소재 204건의 외교문서에 나타난 국가 호칭의 유형을 파악하고, 이 유형의 대립 양상을 조명한 것이다. 국가 호칭은 중국 국가를 호칭한 것과 고려 자국을 호칭한 것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호칭어, 후자는 자칭어라 한다. 본 연구는 호칭어와 자칭어 가운데 비유적 표현이 없는 것을 ‘직접 호칭어’와 ‘직접 자칭어’라 규정하고 이들만을 대상으로 유형을 파악한다.
      직접 호칭어는 주로 수식어+피수식어 형태로 구성된다. 호칭어의 대표적 피수식어는 ‘朝’와 ‘國’이고, 대표적 수식어는 ‘上’과 ‘大’이다. 따라서 ‘上朝’, ‘上國’이나, ‘大朝’, ‘大國’이 직접 호칭어의 대표적 유형이다. 이외에 간헐적으로 ‘大宋’, ‘大邦’, ‘上都’와 같이 피수식어를 달리하는 호칭어도 있다.
      직접 자칭어 역시 주로 수식어+피수식어 형태로 구성된다. 직접 자칭어의 대표적 피수식어는 ‘國’과 ‘邦’이고, 대표적 수식어는 ‘小’이다. 따라서 ‘小國’, ‘小邦’이 직접 자칭어의 대표적 유형이다. 이외에 ‘本國’, ‘我國’, ‘當國’, ‘擧國’, ‘闔國’, ‘周邦’과 같은 자칭어도 종종 쓰인다.
      이들 직접 호칭어와 직접 자칭어는 감정적 색채를 배제하고 국가 호명의 기능만을 하는 것과 상대 국가 존중과 자국 겸양과 같은 감정적 색채를 포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있다. 전자는 중립적 표현이고, 후자는 수사적 표현이다. 이에 따라 직접 호칭어와 직접 자칭어는 모두 중립적 표현과 수사적 표현의 대립 양상을 보인다. 이들의 대립은 주로 감정적 색채를 포함하는 수식어의 사용 여부에 따라 대립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수사적 표현 또한 <上-下>, <大-小>, <皇-侯/屬>이나, <國-家>, <都-邑>과 같은 호칭어와 자칭어의 대칭적 대립 양상을 띤다. 이러한 대립은 즉 어버이와 자식의 위계와 같은 유교적 위계질서의 확대 적용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재, "호칭어의 사용 조건과 대우 등분 연구" 국제언어인문학회 (9) : 307-336, 2007

      2 고성환, "호격 구성의 기능과 화용적 특성 및 연결 제약" 한국어의미학회 18 : 217-242, 2005

      3 이돈주, "한자학총론" 박영사 1992

      4 가메이미도리, "한국인과 재한 일본인 유학생 간의 의사소통 걸림돌에 관한 고찰 -호칭어 사용과 인사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4 : 137-153, 2013

      5 이정복, "한국과 중국의 통신 언어 호칭어 ‘님’과 ‘亲’(친)의 쓰임" 우리말글학회 58 : 127-150, 2013

      6 박상택, "한․몽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5) : 2013

      7 신지언, "중국어 호칭어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20) : 169-195, 2008

      8 신명호, "조선시대 국왕호칭의 종류와 의미" 부산경남사학회 (52) : 47-67, 2004

      9 황지연, "소설 <상도>에 나타난 호칭어 번역 연구"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4) : 221-234, 2011

      10 오혜경, "상거래 담화의 호칭어에 관한 일고찰 - 일본어 담화와의 비교 및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일본학회 (43) : 371-393, 2012

      1 최석재, "호칭어의 사용 조건과 대우 등분 연구" 국제언어인문학회 (9) : 307-336, 2007

      2 고성환, "호격 구성의 기능과 화용적 특성 및 연결 제약" 한국어의미학회 18 : 217-242, 2005

      3 이돈주, "한자학총론" 박영사 1992

      4 가메이미도리, "한국인과 재한 일본인 유학생 간의 의사소통 걸림돌에 관한 고찰 -호칭어 사용과 인사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4 : 137-153, 2013

      5 이정복, "한국과 중국의 통신 언어 호칭어 ‘님’과 ‘亲’(친)의 쓰임" 우리말글학회 58 : 127-150, 2013

      6 박상택, "한․몽 호칭어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중원언어학회 (5) : 2013

      7 신지언, "중국어 호칭어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20) : 169-195, 2008

      8 신명호, "조선시대 국왕호칭의 종류와 의미" 부산경남사학회 (52) : 47-67, 2004

      9 황지연, "소설 <상도>에 나타난 호칭어 번역 연구"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4) : 221-234, 2011

      10 오혜경, "상거래 담화의 호칭어에 관한 일고찰 - 일본어 담화와의 비교 및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일본학회 (43) : 371-393, 2012

      11 박흥수,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중국 호칭어의 변화" 중국학연구회 (34) : 147-168, 2005

      12 박은하, "드라마에 나타난 호칭어 및 높임법 사용 양상 연구" 한국드라마학회 (33) : 151-182, 2010

      13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세가" 경인문화사 2008

      14 南基鶴, "고려와 일본의 상호인식" 일본사학회 11 : 2000

      15 이미지, "고려 초기 지칭 표현을 통해 본 對거란 관계" 한국사학회 (99) : 35-69, 2010

      16 김효경, "간찰의 산문 문체적 특징"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8) : 127-150, 2008

      17 통역번역학연구, "2005년 미 행정부의 대 북한 레토릭-북한과 김정일 호칭을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9 : 2005

      18 이미지, "1231・1232년 對蒙 表文을 통해 본 고려의 몽고에 대한 외교적 대응" 고려사학회 (36) : 235-26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