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초기 內議省의 성립과 운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142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에서 내사문하성과 상서성이 성립되기 이전에는 내의성과 더불어 광평성, 내봉성이 재상관부를 이루었다. 이 중 내의성은 정사를 협의하고 간쟁하기도 하며, 국왕의 명에 따라 제칙을 ...

      고려에서 내사문하성과 상서성이 성립되기 이전에는 내의성과 더불어 광평성, 내봉성이 재상관부를 이루었다. 이 중 내의성은 정사를 협의하고 간쟁하기도 하며, 국왕의 명에 따라 제칙을 작성하는 역할을 하던 관부였다. 이 관부의 성립으로 고려는 유교적 정치 이상을 실현시키려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언제 내의성이 성립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고려는 태봉의 제도를 이어 받았는데, 태봉에서는 보이지 않던 관부이다. 게다가 성립된 시기를 알려주는 기록도 남아있지 않다. 다만 고려가 태조 2년 천도를 하고 3성 6상서 9시를 설치하였는데 대체로 당의 관제를 모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여기서 말하는 3성은 광평성, 내봉성, 내의성으로 짐작되는데, 광평성과 내봉성은 이미 성립된 시기를 알 수 있기에 새로운 관부인 내의성이 3성에 포함됨으로 천도를 계기로 성립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내의성의 장관이 내의령인데, 이에 대해 『고려사』나 『고려사절요』에 임명된 사례가 나오지 않아 추측만 하는 정도였다. 이 논문에서는 태조대에도 내의령이 임명되었음을 예시하였다. 그 이유는 태조 말기에 활약했던 내의령 황보숭이란 인물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의령을 지냈다고 추측되는 왕규의 활동을 통해, 내의령은 내의성의 장관이면서도 광평성 시중, 내봉령과 더불어 재신의 역할을 하였던 것도 알 수 있다.
      내의성은 광종대로 들어서면 그 위상이 더욱 높아진다. 물론 광종이 호족억압정책을 펴기 전에는 태조대와 마찬가지로 2위에 있었던 사례가 보이지만, 후에는 광평성시중을 제치고 1위의 위상을 갖고 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 있다. 또한 태자에게 주는 명예직에도 ‘내사 제군사 내의령’이라 하여, 내의령직을 포함할 정도로 그 위상이 높았다. 차관직인 내의시랑도 내의령과 함께 그 위상이 높아져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내의성의 관원인 내의승지사인직에 임명된 사례도 몇 건이나 보인다. 이는 광종대 내의성은 관원들의 활약이 다른 관직자들에 비해 두드러짐을 알려준다. 따라서 광종대의 내의성은 주요 관부였음을 알 수 있다.
      경종대에는 새로운 관직인 집정내사령이 나타나는데, 이런 중에도 내의령 임명이 보이고 있어 그 관직은 지속되었다고 보이지만, 자세한 내용을 알 수는 없다. 경종대를 지나 성종이 즉위하면서 내의성은 사라지고 새로운 관부인 내사문하성과 상서성이 성립됨으로, 본격적으로 당제를 받아들여 시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사문하성과 상서성이 성립되기 전 고려 독자적인 관부이며 재부를 이루었던 내의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e-eui-sung(內議省), Gwang-pyung-sung(廣評省), and Nae-bong-sung(內奉省) consisted of government offices for prim ministers before organization of Naesa-munha-sung(內史門下省) and Sangsu-sung(尙書省). Nae-eui-sung played roles of cou...

      Nae-eui-sung(內議省), Gwang-pyung-sung(廣評省), and Nae-bong-sung(內奉省) consisted of government offices for prim ministers before organization of Naesa-munha-sung(內史門下省) and Sangsu-sung(尙書省). Nae-eui-sung played roles of counselling and criticising for political issues and writing Royal edicts, and so on. Due to the organization of Nae-eui-sung, we could realize that the government of Koryo pursued to achieve the ideas for Confucian politics.
      When was the government office started in Koryo? There is no direct evidence to indicate the time to be established. Yet, there is a record that Koryo established Three-ministries, Six-departments which approximately imitated the political system of the Tang Dynasty after transfer of the Capital to Kaekyung. Even if some controversies have existed, I would like to accept the record positively. Therefore, I think th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Nae-eui-sung might have been when the Capital was removed from Chunlwon to Kaekyung. Even though the government office was established late, the minister of Nae-eui-sung, Nae-eui-ryung, played a role as a prime minister with Gwang-pyng Si-jung and Nae-bong-ryung. The rank of the ministry might be the second among Three-Ministries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Taejo.
      However, the position of the ministry climbed to the top instead of the Gwang-pyung-sung during the King Gwangjong’s reign due to the king’s policies to oppress local strongmen. Under the circumstances, the Nae-eui-ryung functioned as an honorary official rank for the crown prince, as well as the top rank for subjects. It was thought that the position of the ministry became higher during King Gwangjong’s reign than King Taejo’s. In addition, even lower positioned officials such as Nae-eui-sung-ji-sa-in were found more than ever.
      The posi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was maintained even after King Kyongjong’s accession to the throne. Yet, King Kyongjong organized a new government official named Jip-jung Nae-sa-ryung(執政 內史令), so the power of Nae-eui-sung was influenced by the new official post. It is hard to know how Nae-eui- sung was changed because of the limited historical records. Even so, we can find that Nae-eui-ryung was appointed as ever. At last, the ministry was disappeared when King Sungjong adopted the model of the Tang Dynasty as the political system. Influenced by the model, Koryo finally established Naesa -munha-sung and Sangsu-su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머리말
      • Ⅰ. 내의성의 성립
      • Ⅱ. 내의성의 운영
      • 맺음말
      • 요약
      • 머리말
      • Ⅰ. 내의성의 성립
      • Ⅱ. 내의성의 운영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변태섭, "한우근박사정년기념 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2 최정환, "한국중세사회의 제문제-김윤곤교수 정년기념논총-" 2001

      3 하현강,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1988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3"

      5 하일식, "통일신라기의 나당 교류와 당 관제의 수용" 4 : 2003

      6 변태섭, "중앙의 정치조직" 국사편찬위원회 13 : 1993

      7 한국역사연구회, "역주 나말여초금석문 (상)․(하)" 혜안 1996

      8 최규성, "아석 김창수교수화갑기념사학논총" 1992

      9 이기동, "신라 관직제도의 특성" 2 : 1991

      10 김규호, "당대재상제도의 연구" 20 : 1967

      1 변태섭, "한우근박사정년기념 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2 최정환, "한국중세사회의 제문제-김윤곤교수 정년기념논총-" 2001

      3 하현강,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1988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13"

      5 하일식, "통일신라기의 나당 교류와 당 관제의 수용" 4 : 2003

      6 변태섭, "중앙의 정치조직" 국사편찬위원회 13 : 1993

      7 한국역사연구회, "역주 나말여초금석문 (상)․(하)" 혜안 1996

      8 최규성, "아석 김창수교수화갑기념사학논총" 1992

      9 이기동, "신라 관직제도의 특성" 2 : 1991

      10 김규호, "당대재상제도의 연구" 20 : 1967

      11 이기동, "나말여초 近侍機構와 文翰機構의 확장-중세적 측근정치의 志向-" 77 : 1978

      12 이기백, "귀족적 통치기구의 성립" 국사편찬위원회 5 : 1975

      13 조인성, "궁예정권의 중앙정치제도-이른바 광평성체제에 대하여" 33 : 1986

      14 최규성, "궁예정권의 성격과 국호의 변경" 19 : 1987

      15 박재우, "고려초기 재신의 성격과 운영" 한국역사연구회 (43) : 187-221, 2002

      16 김대식, "고려전기 중앙관제의 성립과 육전제의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17 이정훈, "고려전기 정치제도 연구" 혜안 2007

      18 김갑동, "고려전기 정치사" 일지사 2005

      19 이정훈, "고려전기 삼성제와 정사당" 104 : 1999

      20 신수정, "고려전기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체제 하의 재신(宰臣)" 한국역사연구회 (73) : 67-95, 2009

      21 崔貞煥, "고려전기 3省 6部制에 대한 재고찰" 한국중세사학회 (24) : 35-74, 2008

      22 이태진, "고려재부의 성립" 56 : 1972

      23 변태섭, "고려의 정치체제와 권력구조" 4 : 1976

      24 박용운, "고려시대 상서성 연구" 경인문화사 2000

      25 박용운, "고려시대 中書門下省宰臣연구" 일지사 2000

      26 박용운, "고려사 백관지 역주" 신서원 2009

      27 정경현, "고려 태조대의 순군부에 대하여" 48 : 1987

      28 최규성, "고려 태조 왕건정권의 성격" 26 : 1990

      29 김대식, "고려 초기 중앙관제의 성립과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68) : 29-57, 2008

      30 신수정, "고려 초기 재상관부(宰相官府)의 성립과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68) : 59-88, 2008

      31 권영국, "고려 초 徇軍部의 설치와 기능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135) : 115-140, 2006

      32 김대식, "고려 성종대 삼성육부제의 도입과정" 14 : 2000

      33 박재우, "고려 국정운영의 체계와 왕권" 신구문화사 2005

      34 변태섭, "高麗政治制度史硏究" 일조각 1971

      35 金甲童, "高麗太祖 初期의 中央官府와 支配勢力-太祖 元年 6月 辛酉 詔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71) : 77-100, 2003

      36 "高麗墓誌銘集成"

      37 "高麗圖經"

      38 矢木毅., "高麗國初の廣評省と內議省, 高麗官僚制度硏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8

      39 "高麗史節要"

      40 최정환, "高麗史 百官志 門下府의 구성과 문제점" 한국중세사학회 (20) : 5-54, 2006

      41 "高麗史"

      42 최정환, "高麗 宰相制度와 政事堂" 한국중세사학회 (25) : 303-340, 2008

      43 윤성재, "高麗 光宗의 政治基盤" 고려사학회 13 : 135-160, 2002

      44 "東史綱目"

      45 김종섭, "五代 官制 운영의 특징 ― 樞密使와 宰相을 중심으로 ―" 역사학회 (189) : 175-208, 2006

      46 "三國遺事"

      47 "三國史記"

      48 구효선, "6~8세기 신라 재상의 성격" 고려사학회 (16) : 45-77,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1.05 2.15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