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城의 高句麗國 再檢討 = The review of Goguryeo in the Hans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4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tween June and July of 670, Geommojam, a refugee of Goguryeo,re-established Goguryeo by crowning Anseung, a scion of the royalfamily of Goguryeo, as king in Hanseong, or Jaeryeong in today’sHwanghae Province. In alliance with Silla, Hanseong Gogur...

      Between June and July of 670, Geommojam, a refugee of Goguryeo,re-established Goguryeo by crowning Anseung, a scion of the royalfamily of Goguryeo, as king in Hanseong, or Jaeryeong in today’sHwanghae Province. In alliance with Silla, Hanseong Goguryeo tookmost of the Hwanghae Province area and acquired an internationalstature by dispatching envoys to Japan.
      The war between the Goguryeo-Silla combined forces and the TangEmpire lasted from September of 671 to May of 673. Even though thecombined forces were defeated by the Tang army and retreated to theImjin River, Anseung did not stop trying to overcome the crisis and sentenvoys to Japan. However, in the end, he could not achieve his goal andhad to take refuge in Silla with the revived army of Goguryeo.
      Anseung devoted himself to the reconstruction of Goguryeo andfought with his army to the last moment. Bodeokguk could beestablished in Silla territory because the excellent abilities of Anseungand the Goguryeo people were essential to Silla for the war against theTang Empi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안승과 검모잠 등 고구려 부흥운동 세력에 관한 사료는 비교적 풍부한 편이나사건의 시기가 불분명하고 사료 간에 내용이 상충하여 연구자마다 견해를 달리한다. 이 글에서는 중국 사료들 ...

      안승과 검모잠 등 고구려 부흥운동 세력에 관한 사료는 비교적 풍부한 편이나사건의 시기가 불분명하고 사료 간에 내용이 상충하여 연구자마다 견해를 달리한다. 이 글에서는 중국 사료들 간의 내용 비교, 『신당서』 동이열전과 『삼국사기』 신라본기 비교, 고구려본기의 구조 분석, 『일본서기』에 보이는 고려사를 통해 한성의 고구려국의 성립과 나당전쟁이 진행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670년 6월 이후 안승이 한성 고구려국의 왕으로 즉위하여 5부와 관등을 정비하였고, 평양 이남까지 영역을 확장하였다. 671년 9월 신라군과 연합하여 당군을 침입을 물리쳤고 이듬해인 672년부터 본격적인 전투를 벌였다. 양측은석문 전투 이후 4개월간 백수산 전선을 유지하였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소개된 봉산 고당성의 지명이 이때에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이러한 대치과정 중 672년 8월 이후 안승이 검모잠을 살해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내분과 기근 등으로 673년 윤5월에는 호로하까지 밀리게 된다.
      안승은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왜에 사신을 파견하려고 하지만 당군이 황해를봉쇄한 까닭에 신라 송사의 도움으로 왜에 사신을 파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호로하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모두 신라로 내투하게되었다. 하지만 검모잠을 죽이고 신라로 달아닸다는 기존의 이해와 달리 안승은 마지막까지 고구려인들과 함께하였고, 이러한 신뢰가 있었기에 신라 내투이후에도 보덕국에서 안승을 중심으로 결속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해도지편찬위원회, "황해도지" 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2 김용국, "황해도지" 황해도 1970

      3 김종복, "특집 : 백제와 고구려 고지에 대한 당의 지배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78) : 73-103, 2010

      4 井上秀雄, "일본서기입문" 민족문화사 1988

      5 성은구, "일본서기" 정음사 1987

      6 김수태,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일조각 1994

      7 전용신, "완역 일본서기" 일지사 1989

      8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 2012

      9 서영교, "신문왕대 보덕성민의 반란과 핼리혜성" 인문과학연구소 36 (36): 225-254, 2009

      10 이호영, "신라삼국통합과 여·제패망원인연구" 서경문화사 1997

      1 황해도지편찬위원회, "황해도지" 황해도지편찬위원회 1982

      2 김용국, "황해도지" 황해도 1970

      3 김종복, "특집 : 백제와 고구려 고지에 대한 당의 지배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78) : 73-103, 2010

      4 井上秀雄, "일본서기입문" 민족문화사 1988

      5 성은구, "일본서기" 정음사 1987

      6 김수태,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일조각 1994

      7 전용신, "완역 일본서기" 일지사 1989

      8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 2012

      9 서영교, "신문왕대 보덕성민의 반란과 핼리혜성" 인문과학연구소 36 (36): 225-254, 2009

      10 이호영, "신라삼국통합과 여·제패망원인연구" 서경문화사 1997

      11 정선여, "신라로 유입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 - 報德國 주민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6) : 71-106, 2010

      12 김수태, "신라 문무왕대의 대복속민 정책"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6 : 1999

      13 서인한, "신당전쟁사" 국방군사연구소 1999

      14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15 임기환, "보덕국고" 가락국사개발연구원 10 : 2003

      16 노태돈, "변태섭 화갑기념사학논총" 1985

      17 정인성, "대방태수 張撫夷墓의 재검토" 한국상고사학회 69 (69): 39-69, 2010

      18 노태돈, "대당전쟁기 신라의 대외관계와 군사활동" 군사편찬연구소 34 : 1997

      19 서영교, "나당전쟁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6

      20 서영교, "나당전쟁기 석문전투" 동국대학교사학회 38 : 2002

      21 양병룡, "나당전쟁 진행과정에 보이는 고구려유민의 대당전쟁"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46 : 1997

      22 이상훈, "나당전쟁 연구" 주류성 출판사 2012

      23 이병도, "국역 삼국사기" 을유문화사 1977

      24 이정빈, "고연무의 고구려 부흥군과 부흥운동의 전개" 한국역사연구회 (72) : 131-157, 2009

      25 조인성,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 동북아역사재단 2007

      26 이병도, "고구려의 일부유민에 대한 당의 추호정책" 진단학회 (25·26·27) : 1964

      27 林起煥, "고구려 집권체제 성립과정의 연구"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5

      28 임기환, "고구려 정치사 연구" 한나래 2004

      29 김종복,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지배 정책" 성균관대학교 19 : 2003

      30 池內宏, "高句麗滅亡後の遺民の叛亂及び唐と新羅の關係" 12 : 1930

      31 강경구, "高句麗 復興運動 新考察" 한국상고사학회 47 (47): 89-113, 2005

      32 村上四男, "新羅と小高句麗國" 朝鮮學會 (37·38) : 1966

      33 이재석, "7세기 후반 報德國의 존재 의의와 왜국" 일본사학회 (31) : 33-52, 2010

      34 김주성, "7세기 삼국 고대 전투모습의 재현"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1) : 43-74, 2011

      35 전준현, "670년에 재건된 ‘高句麗國’에 대한 연구" 력사연구소 82 (82): 1982

      36 이상훈, "662년 김유신의 군량 수송작전"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5 (55): 97-122,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