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문종 16년 京畿 개편의 성격과 開城府의 위상 = Goryeo Moon-jong(文宗) 16th year the characteristic of Gyeonggi(京畿)’s reform and status of Gaeseong-bu(開城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19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organization of Gaegyeong(開京) and its regions nearby went along the lines of Goryeo’s national reform of its provincial government system. A detailed history is introduced in the Wanggyeong Gaeseong chapter(王京開城府) of the Goryeosa...

      The reorganization of Gaegyeong(開京) and its regions nearby went along the lines of Goryeo’s national reform of its provincial government system. A detailed history is introduced in the Wanggyeong Gaeseong chapter(王京開城府) of the Goryeosa(高麗史) Jiriji(地理志), with Gaegyeong and its nearby areas reorganized in 995 and 1018 respectively since Taejo(太祖) installed Gaeju(開州). The regions nearby Gaegyeong, in particular, were called Gyeonggi(京畿) after 1018. The provincial government system of 1018 mainly constituted the reorganization of Ju-hyeon(主縣) and Sok-hyeon(屬縣) and setting up a Gyaesu-gwan system(界首官制), with Gyeonggi also reorganized in accordance.
      The Gyaesu-gwan system involved Gyeong(京), Mok(牧), and Dohobu(都護府) taking a mediating role in the administrative system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Ju-hyeon. However, Gyeonggi was set up as a directly subordinate(直隸) to the Sangseo-doseong(尙書都省), meaning a Gyaesu-gwan did not exist in Gyeonggi. This meant that the Gaeseong Hyeonryeong(開城縣令) and the Jangdan Hyeonryeong(長湍縣令) would directly send administrative documents to the Sangseo-doseong, with the Gyaesu-gwan of Goryeo’s unique tasks including Sangpyo-jinha(上表進賀), Hyang-gong-seonsang(鄕貢選上), and Wae-ok-su chu-geom(外獄囚 推撿). Because Gyeonggi did not have a Gyaesu-gwan, its unique tasks are assumed to have been handled by the Gwangju-mok(廣州牧) or the Anseo-daedohobu(安西大都護府), who were the Gyaesu-gwan nearby.
      Gyeonggi, installed in 1018, was ruled by the Hyeonryeong, and the Hyeonryeong was the lowest position among the provincial posts of Goryeo. The tasks of the Gyaesu-gwan which were dealt at the level of large towns corresponding to Gyeong, Mok, and Dohobu could not be handled by the Hyeonryeong. Also, the fact that the Gyaesu-gwan exam of Gyeonggi was handled by the Gyaesu-gwan nearby factored as a disadvantage for Gyaesu-gwan exam applicants.
      The reorganization of Gyeonggi in 1062 was carried out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issues resulting from the absence of a Gyaesu-gwan as well as the issues resulting from Hyeonryeong rule. The Gaeseong-hyeon was upgraded to Gaeseong-bu(開城府), and the 11 hyeons subordinated to Sangseo-doseong were transferred. The introduction of the Gaeseong-bu increased the level of the dispatched provincial official. Mainly figures corresponding to the senior seventh rank Chamsang(叅上) and up to the senior sixth rank Wonwaerang(員外郎) were dispatched as the Jigaeseongbusa(知開城府事, Minister of Gaeseong-bu).
      The Gaeseong-bu corresponds to the Jijubugunsa(知州府郡事) among the levels of towns that comprised Goryeo’s provincial government system. The status of the Jijubugunsa was identical to the Bang-eo-sa(防禦使), and his stipend to the Pan-gwan(判官) of the Gyeong, Mok, and Dohobu. Goryeo, on principle, dispatched figures up to the junior seventh rank as Jijubugunsa and Bangs-eo-sa, and actual cases confirm dispatches between the junior seventh rank and senior sixth rank. However, candidates for the Gyaesu-gwan Pan-gwan were senior seventh rank Chamsang and up to the senior sixth rank, which agrees with the appointment principle of the Gaeseong-bu. Therefore, the Gaeseong-bu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status corresponding to the the Gyaesu-gwan Pan-gw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朴宗基, "지배와 자율의 공간-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2 윤경진, "고려초기 10道制의 시행과 운영체계" 진단학회 (101) : 99-134, 2006

      3 정은정, "고려중기 경기지역의 공한지 개발" 부경역사연구소 (16) : 205-240, 2005

      4 정은정, "고려전기 경기의 형성과 대경기제" 한국중세사학회 (17) : 135-176, 2004

      5 윤경진, "고려전기 界首官의 운영체계와 기능" 국학연구원 (126) : 31-62, 2004

      6 윤경진, "고려전기 界首官의 설정원리와 구성 변화 -『고려사』지리지 계수관 연혁의 補正을 겸하여-" 진단학회 (96) : 1-32, 2003

      7 李鎭漢, "고려전기 官職과 祿俸의 관계 연구" 一志社 1999

      8 윤경진, "고려전기 京畿의 편성과 운영" 역사문화연구소 (33) : 37-70, 2009

      9 한국역사연구회, "고려의 황도 개경" 창작과 비평사 2002

      10 박종기, "고려시대 남경지역의 개발과 경기제" (창간) : 2003

      1 朴宗基, "지배와 자율의 공간-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2 윤경진, "고려초기 10道制의 시행과 운영체계" 진단학회 (101) : 99-134, 2006

      3 정은정, "고려중기 경기지역의 공한지 개발" 부경역사연구소 (16) : 205-240, 2005

      4 정은정, "고려전기 경기의 형성과 대경기제" 한국중세사학회 (17) : 135-176, 2004

      5 윤경진, "고려전기 界首官의 운영체계와 기능" 국학연구원 (126) : 31-62, 2004

      6 윤경진, "고려전기 界首官의 설정원리와 구성 변화 -『고려사』지리지 계수관 연혁의 補正을 겸하여-" 진단학회 (96) : 1-32, 2003

      7 李鎭漢, "고려전기 官職과 祿俸의 관계 연구" 一志社 1999

      8 윤경진, "고려전기 京畿의 편성과 운영" 역사문화연구소 (33) : 37-70, 2009

      9 한국역사연구회, "고려의 황도 개경" 창작과 비평사 2002

      10 박종기, "고려시대 남경지역의 개발과 경기제" (창간) : 2003

      11 정은정, "고려시대 개경의 도시변화와 경기제의 추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12 朴龍雲, "고려시대 開京연구" 一志社 1996

      13 김동수, "고려시대 界首官의 범위에 대한 재론" 호남사학회 19 : 215-231, 2002

      14 李鎭漢, "고려시대 守令職의 제수 자격" 55 : 2002

      15 박종진, "고려시기 지방제도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6 정학수, "고려 개경의 범위와 공간구조" 한국역사연구회 (59) : 159-195, 2006

      17 末松保和, "高麗開城府考" 1 : 1965

      18 具山祐, "高麗時期鄕村支配體制硏究" 혜안 2003

      19 朴龍雲, "高麗時大官階官職硏究" 高麗大學校出版部 1997

      20 朴龍雲, "高麗時代蔭敍制와 科擧制硏究" 一志社 1990

      21 尹武炳, "高麗時代州府郡縣의 領屬關係와 界首官" 17·18 : 1962

      22 朴龍雲, "高麗時代尙書省硏究" 景仁文化社 2000

      23 이진한, "高麗時代 守令의 京職 兼帶" 진단학회 (95) : 1-28, 2003

      24 邊太燮, "高麗政治制度史硏究" 一潮閣 1971

      25 金龍善, "高麗墓誌銘集成"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2

      26 "高麗史節要"

      27 "高麗史"

      28 鄭學洙, "高麗前期京畿制硏究" 建國大學校 2009

      29 金東洙, "韓國史學論叢:李基白古稀紀念論叢" 一潮閣 1994

      30 末松保和, "稻葉博士還曆記念滿鮮史論叢" 1938

      31 "東文選"

      32 尹武炳, "李丙燾博士華甲記念論叢" 一潮閣 1956

      33 浜中昇, "朝鮮歷史論集(上)" 1979

      34 北村秀人, "朝鮮歷史論集(上)" 1979

      35 "新增東國輿地勝覽"

      36 "宣和奉使高麗圖經"

      37 "太宗實錄"

      38 "世宗實錄地理志"

      39 윤경진, "『고려사』식화지(食貨志) 외관록(外官祿) 규정의 기준 시점과 성립 배경" 한국역사연구회 (78) : 195-247, 2010

      40 윤경진, "『고려사』 지리지 ‘대경기’ 기사의 비판적 검토 ― 공민왕 18년 경기 탁전(度田)으로의 재해석 ―" 한국역사연구회 (69) : 193-224, 2008

      41 김용선, "(속)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 출판부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8 0.81 1.498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