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기집 소재 정몽주 일화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 Collections of Pilgi About the Meaning of Jung, Mong-Ju Stories and Its Asp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592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정몽주(鄭夢周)라는 격변기의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서에 기록된 양상과 필기집에 기록된 양상의 비교를 통해 역사에서 문학으로 전승된 인물의 기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에...

      본고는 정몽주(鄭夢周)라는 격변기의 인물을 중심으로 역사서에 기록된 양상과 필기집에 기록된 양상의 비교를 통해 역사에서 문학으로 전승된 인물의 기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고려사 열전조에 들어있는 정몽주의 전(傳)은 전조에 충성을 다한 ‘충신(忠臣)’이면서도 현조의 입장에서 봤을 때는 왕조개창의 걸림돌인 ‘난신(亂臣)’의 이미지
      가 중첩된 면이 공존한다. 때문에 열전에 실리게 되기까지의 과정이 그다지 평탄하지가 않았다. 즉, 충신과 난신의 이중적 면모가 입전의도에 모두 반영되어 기술된 형태를 띄고 있다.
      하지만 선초 필기의 경우 고려사(高麗史)의 열전과는 다른 양상이 나타난다. 조선전기 필기집 가운데 정몽주 관련 일화가 수록된 문헌은 성현(成俔, 1439-1504)의 용재총화(慵齋叢話), 김안로(金安老, 1481-1537)의 용
      천담적기(龍泉談寂記), 이정형(李廷馨, 1549-1607)의 동각잡기(東閣雜記),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의 송도기이(松都記異) 등이 있다.
      용재총화에 수록된 정몽주 이야기는 선초 필기집 텍스트가 ‘일화(逸話)’를 수렴하여 구성하는 방식의 일단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동시에 구연전승에 의해 수렴된 ‘일화’가 서사적 성격이 강화되는 형태로 전변이 진행되는 점 또한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용천담적기에 수록된 정몽주 이야기는 기록의 문제 보다 ‘기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핵심이라 하겠다. 필기류가 가진 ‘기록성’의 측면 보다는 ‘서사성’의 측면에 좀 더 경사된 것을 의미하는데, ‘기이’라는 ‘환상성’이 적극적으로 수렴된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동각잡기는 ‘사실’의 기록전승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구연전승을 통한 편찬자의 의도적 개입을 통해 ‘서사’적 지향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점은 앞선 용재총화나
      용천담적기와 비교할 때 동각잡기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선초 필기가 지닌 특성으로 다양성과 자유분방함을 주목해 본다면 동각잡기는 ‘야사’로의 지향을 보여주고 있는 반면, 용재총화나 용천담적기는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구연전승과의 교직을 통해 ‘서사’로의 지향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몽주’ 일화의 전변양상은 이를 대표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선초 필기 소재 ‘일화’의 특징적
      국면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descriptive aspects of Jung Mong Ju, the character in the era of rapid change by comparison between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pilgi collections. In the Ko-Rye History biography, the Jeon of Jung-Mong-Ju appears as...

      This paper investigates on the descriptive aspects of Jung Mong Ju, the character in the era of rapid change by comparison between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pilgi collections. In the Ko-Rye History biography, the
      Jeon of Jung-Mong-Ju appears as loyal servant to the present dynasty but at the same time it gives highly rebellious impressions of establish a country’s obstacle to the present dynasty. Because of this, the publication
      process was not handy at all. In other words, the both aspects of loyal and rebellious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by intention of biography. However, Seon-Cho pilgi shows different forms from that of Ko-Rye History
      Amo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pilgi, Jung-Mong-Ju related stories are found in multiple sourse like Yong-Jae-Chong-Wha by Sung-Hyun(1439-1504), Yong-Chun-Dam-Juk-Ki by Kim-Ahn-Roh (1481-
      1537), Dong-Kak-Jab-Ki by Lee-Jung-Hyung(1549-1607) and Song- Do-Ki-Ei by Lee-Duck-Hyung.
      Jung-Mong-Ju story in Yong-Jae-Chong-Wha is highly evaluated as it shows the Sun-Cho pilgi’s composition method in details. At the same time, it means even more because it shows stories included by narrate transmission
      gets stronger descriptive characteristics. The story of Jung-Mong-Ju in Yong-Cheon-Dam-Juk-Kifocuses on ‘oddness’ than it does on the problem of record.
      It means that the aspects of ‘recordability’ that pilgi has are more incline than ‘narrativity’ is. The ‘fantasy’ as ‘oddness’ is actively included in the composition. Dong-Kak-Jab-Ki does is not able to overcome the limit of
      record transmission of ‘reality’ and it does not take the path to show ‘narrativity’ through narrate transmission by author’s intervention. This point show the limitation of Dong-Kak-Jab-Ki compared to Yong-Jae-Chong-Wha and Yong-Cheon-Dam-Juk-Ki mentioned previously.
      Dong-Kak-Jab-Ki appears to pursue the sense of ‘unofficial history’ if we pay close attention to the diversity and freewheel. On the other hand, Yong-Jae-Chong-Wha and Yong-Cheon-Dam-Juk-Ki seems to pursue
      the ‘narrativity’ through mixture with narrate transmission based on ‘historical’ records.
      shape of change of ‘Jung-Mong-Ju’ stories shows it well an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Sun-Cho pilgi ‘stories’ could be ascertained through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고려사(高麗史) 열전(列傳) 소재 정몽주(鄭夢周) 기사의 서술 양상
      • 3. 필기집(筆記集) 소재
      • 정몽주(鄭夢周) 일화(逸話)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 4. 맺음말
      • 1. 머리말
      • 2. 고려사(高麗史) 열전(列傳) 소재 정몽주(鄭夢周) 기사의 서술 양상
      • 3. 필기집(筆記集) 소재
      • 정몽주(鄭夢周) 일화(逸話)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승준,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포은학회 9 : 155-184, 2012

      2 윤훈표, "조선조의 『고려사』 열전 정리를 통해 본 역사 바로 세우기" 국학연구원 (171) : 97-129, 2015

      3 이강옥, "조선시대 일화 연구" 태학사 1998

      4 김보정,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포은학회 9 : 67-97, 2012

      5 이강옥, "일화의 형성 원리와 서술 미학" 보고사 2014

      6 윤정희, "용천담적기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성현, "용재총화" 휴머니스트 2015

      8 장시광, "규장각 소장 어문학자료 문학편 해설 I" 태학사 2001

      9 李來宗, "鮮初 筆記의 展開 樣相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10 "高麗史"

      1 윤승준,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포은학회 9 : 155-184, 2012

      2 윤훈표, "조선조의 『고려사』 열전 정리를 통해 본 역사 바로 세우기" 국학연구원 (171) : 97-129, 2015

      3 이강옥, "조선시대 일화 연구" 태학사 1998

      4 김보정,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포은학회 9 : 67-97, 2012

      5 이강옥, "일화의 형성 원리와 서술 미학" 보고사 2014

      6 윤정희, "용천담적기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7 성현, "용재총화" 휴머니스트 2015

      8 장시광, "규장각 소장 어문학자료 문학편 해설 I" 태학사 2001

      9 李來宗, "鮮初 筆記의 展開 樣相에 관한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10 "高麗史"

      11 정병호, "漢文小說「山靈菴記」國譯" 택민국학연구원 (9) : 321-331, 2012

      12 野崎充彦, "朝鮮時代の圃隠像 ― 野史ㆍ野談類を中心に" 포은학회 2 (2): 119-159, 2008

      13 任完爀, "朝鮮前期 筆記硏究 : 朝鮮前期 筆記의 장르적 性格糾明을 위하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14 "奇說"

      15 "大東野乘"

      16 "圃隱先生文集"

      17 徐仁德, "『龍泉談寂記』 연구"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18 이경우, "『용천담적기』와 『패관잡기』 비교 고찰" 서원대 인문과학연구소 8 (8): 1998

      19 양은옥, "『기설』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한의숭, "<류오승기> 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67 : 2012

      21 장영희, "16세기 필기(筆記)의 일고찰(一考察) - ?기묘록(己卯錄)?과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민족문학사학회 26 : 171-198, 2004

      22 현혜경, "16세기 잡록 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6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