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기』 「조선열전」 기재 ‘秦故空地上下鄣’에 대한 검토 -秦故空地上下鄣의 공간적 범위와 기능- = A Study of the ‘Old and Vacant Land-Shangxia Fortification’ of Qin Written in Chosun Liezhuan of the Shij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1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intention of exploring the spatial range and spatial functions of the ‘old and vacant Land-Shangxia fortification of Qin’ written in Chosun liezhuan of the Shiji. The Yan Dynasty will invade Gojoseon after defeating D...

      This paper was written in the intention of exploring the spatial range and spatial functions of the ‘old and vacant Land-Shangxia fortification of Qin’ written in Chosun liezhuan of the Shiji. The Yan Dynasty will invade Gojoseon after defeating Dongho in the reign of King Shao of Yan, and secure the area to the Cheonsan Mountain Range. Then, the Qin Dynasty accepts the territory of the Yan Dynasty, and the border of the northeast is limited to the Yalu River, and the soldiers are stationed on the north side of the Yalu River. Then, when the Han appeared, the northeast border was limited to the 'Paesu', and the Cheonsan mountain range ~ Yalu River area became a blank area. This area corresponds to the area of the ‘old and vacant Land-Shangxia fortification of Qin’. These ‘old and vacant Land-Shangxia fortification of Qin’ areas have a function as a connection channel to the gathering area of ​​Chinese aspirants, the expansion area of ​​Wiman forces, and channel to the Xiongnu in sp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사기』 「조선열전」에 기재되어 있는 ‘秦故空地上下鄣’의 공간적 범위와 공간적 기능을 탐색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진고공지상하장의 공간적 범위에 대해서는 현재...

      이 논문은 『사기』 「조선열전」에 기재되어 있는 ‘秦故空地上下鄣’의 공간적 범위와 공간적 기능을 탐색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진고공지상하장의 공간적 범위에 대해서는 현재의 요서 지역으로 보는 견해, 요하 인근으로 보는 견해, 요동 지역으로 보는 견해, 압록강~청천강 사이로 보는 견해 등이 존재해 왔다. 그런데 진고공지상하장은 한나라가 들어서서 후퇴한 지역, 즉 이전 시기 진나라가 새로 개척한 지역에 설치했던 요동외요의 관할 범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리고 요동외요의 범위는 연나라가 개척한 영역과 이를 관장하기 위해서 설치한 장새의 위치 비정을 통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연나라는 소왕대에 장수 진개가 동호를 격파하고 고조선을 침략하여 천산산맥 일대까지 영역을 확보하였다. 다음 진나라 시기에는 연나라의 영토를 접수하고, 이어서 천산산맥 이동의 토착집단을 격파하고 나서 압록강을 건너 고조선을 공격하려 하였을 것이다. 양국 사이에 실질적인 전투를 동반한 전쟁은 없었는데, 이때 고조선은 위기의식을 느껴 조속히 진나라에 항복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진나라는 이러한 항복을 승낙하고 양국의 경계를 압록강선으로 한정하여 압록강 이북에 변방 수비를 위한 군사들을 주둔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어서 한나라가 등장해서는 동북방 영역을 축소하여 국경선을 浿水로 한정하면서 천산산맥~압록강 일대는 공백지대가 되었는데, 이 일대가 진고공지상하장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이러한 진고공지상하장 일대는 공간적으로 중국망명객들의 집합지역, 위만의 세력확대지역, 흉노와의 연결 통로로서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진・한의 세력 교체시 수만 명의 중국계 유민들이 고조선 지역으로 이동해 왔는데, 이들은 준왕조선과 한나라 양국의 관할 범위 밖에 있었던 천산산맥~압록강 일대에 정착하였다. 이들 가운데 한 세력이었던 위만 집단은 고조선의 서변인 진공지상하장에 정착하여 준왕으로부터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위만은 세력을 키워 준왕으로부터 왕권을 빼앗는다. 건국 초의 위만조선은 한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팽창정책을 추진한다. 흉노와 한나라의 대립이라는 국제 질서를 활용하여 흉노와 연결하고자 하였을 것인데, 양자가 연결될 수 있는 유일한 루트는 압록강 이북의 옛 진고공지상하장 지역 외에는 없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2 정인보, "조선사연구 (上)" 우리역사연구재단 2012

      3 전대준, "조선단대사(고조선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4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고대사" 한마당 1989

      5 정찬영, "북한의 우리고대사 인식(Ⅰ)-연구성과와 평가" 대륙연구소 출판사 1991

      6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7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地域의 燕나라 遺物共伴 遺蹟의 諸괮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32, 2011

      8 정찬영, "고조선의 위치와 그 성격에 관한 몇가지 문제" 연문사 1960 (1960): 1960

      9 황철산, "고조선에 관한 토론 논문집" 과학원출판사 1963

      10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고조선문제연구론문집" 논장 1989

      1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2 정인보, "조선사연구 (上)" 우리역사연구재단 2012

      3 전대준, "조선단대사(고조선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0

      4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조선고대사" 한마당 1989

      5 정찬영, "북한의 우리고대사 인식(Ⅰ)-연구성과와 평가" 대륙연구소 출판사 1991

      6 노태돈, "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7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地域의 燕나라 遺物共伴 遺蹟의 諸괮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32, 2011

      8 정찬영, "고조선의 위치와 그 성격에 관한 몇가지 문제" 연문사 1960 (1960): 1960

      9 황철산, "고조선에 관한 토론 논문집" 과학원출판사 1963

      10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고조선문제연구론문집" 논장 1989

      11 사회과학출판사, "고조선문제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73

      12 리지린, "고조선 연구" 열사람 1963

      13 金聖昊, "고대 조선의 역사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1983

      14 "鹽鐵論"

      15 柳學龜, "韓國史學論叢 上" 探求堂 1992

      16 申采浩, "譯註朝鮮上古文化史" 丹齋申采浩先生紀念事業會 1998

      17 金南中, "衛滿朝鮮의 領域과 王儉城" 韓國古代史學會 22 : 2001

      18 徐榮洙, "衛滿朝鮮의 形成過程과 國家的性格" 한국고대사학회 9 : 1996

      19 "與猶堂全書"

      20 金南中, "燕・秦의 遼東統治의 限界와 古朝鮮의 遼東回復" 白山學會 62 : 2002

      21 "漢書"

      22 池內宏, "滿鮮史硏究 上世第一冊" 吉川弘文館 1951

      23 大原利武, "滿鮮に於ける漢代五郡二水考" 近澤書店 1933

      24 "淮南子"

      25 "水經注"

      26 "東國地理志"

      27 吳江原, "昌黎縣位置에 관한 一考察-古朝鮮位置문제와 관련하여-" 韓國精神文化硏究院淸溪史學會 13 : 1997

      28 "新增東國輿地勝覽"

      29 "括地志"

      30 오강원, "戰國時代 燕나라 燕北長城 동쪽 구간의 構造的 實體와 東端" 한국고대학회 (33) : 163-205, 2010

      31 송진, "戰國·秦·漢時期 遼東郡과 그 경계" 한국고대사학회 (76) : 55-94, 2014

      32 "史記"

      33 徐榮洙, "古朝鮮의 위치와 강역" 一潮閣 2 : 1988

      34 吳江原, "古朝鮮의 浿水와 沛水" 江原大學校史學會 13・14 : 1998

      35 오현수, "古朝鮮의 形成과 變遷過程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4

      36 李鍾旭, "古朝鮮史의 展開와 그 領域" 白山學會 (47) : 1996

      37 문정창, "古朝鮮史硏究" 栢文堂 1969

      38 유.엠.부찐, "古朝鮮" 國史編纂委員會 1986

      39 "前漢紀"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