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당악정재의 전래와 수용 =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Dangak-jeongjae in the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체로 고려의 당악정재는 송나라에서 전래했거나 송 조정이 고려 조정에 보내준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견해에 따라 송 교방악이 고려에 수용된 과정을 검토하다가 몇 가지 ...

      대체로 고려의 당악정재는 송나라에서 전래했거나 송 조정이 고려 조정에 보내준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견해에 따라 송 교방악이 고려에 수용된 과정을 검토하다가 몇 가지 의문이 생겼다. 고려의 당악정재가 모두 송에서 전래된 것이라면, 중국 문헌에 그 이름이 보여야 하고 또 정재의 사와 사의 작자도 어느 정도 밝혀져야 하는데도,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적 환경에서 별다른 변형 없이 도입되어 오랜 세월 동안 유지될 수 있었을까 하는 의문도 들었다.
      이에 먼저 송의 교방악이 들어온 기록을 검토하고, 다음으로 고려 당악정재의 사와 중국 사보(詞譜)의 사를 비교했다. 『어정사보(御定詞譜)』에 전체 16수의 사 중 9수가 실려 있었지만, 그 출처는 모두 『고려사』 「악지」였다. 그리고 그 9수도 「동천경색사(洞天景色詞)」 한 수만 유사한 체를 지녔을 뿐, 나머지 8수는 유사한 체나 사패(詞牌)를 찾을 수 없어 사실상 독자적인 체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당악정재의 사와 곡은 고려에서 직접 창작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당악정재의 성립 과정과 그 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려의 당악정재는 모두 고려에서 창작했거나 재창작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대성악(大晟樂)처럼 송 조정에서 고려에게 보내준 것이 아니라, 고려가 민간 무역과 공식 사절단 등을 활용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각고의 노력을 통해 정재를 만들어낸 것으로 보았다. 즉 송 교방악이 고려에 전래되어 고려의 당악정재가 되었다고 범범하게 이해하기보다는, 고려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가무희를 송 대곡(大曲)의 양식을 차용하여 자체적으로 만들어나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ngak-jeongjae(Korean court dance of Chinese origin) is generally known to had come from Chinese Song Dynasty. However, there arise several questions concerning the inflow process of Song s gyobangak(敎坊樂) into Goryeo specially in the point that...

      Dangak-jeongjae(Korean court dance of Chinese origin) is generally known to had come from Chinese Song Dynasty. However, there arise several questions concerning the inflow process of Song s gyobangak(敎坊樂) into Goryeo specially in the point that the title of dangak-jeongjae items and the composer s name of their lyrics are rerely found in the literary works of ancient China.
      In this context, this thesis discussed about the tentative possibility that the lyrics of Goryeo dangak- jeongjae had been composed by native poets in Goryeo. For this, I examined the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inflow of Song s gyobangak, and compared Goryeo dangak-jeongjae s lyrics and Eojungsabo(御定詞譜), a collection of Chinese lyrics. Further, I tried to chase the establishing process and the composition time of dangak-jeongjae items in the Goryeo Dynasty.
      As a result, there was found a strong possibility that dangak-jeongjae items might had been created or recreated in Goryeo through many efforts to compose dangak-jeongjae in many ways including private trading or official delegation and so on. It does not seem that Song Dynasty gave dangak-jeongjae in the name of daesungak(大晟樂) directly to Goryeo as have been accepted as an historical fact by Korean scholars without enough reasonable proofs. In this respect, the establishing process of dangak-jeongjae needs to be studied more objectively on the base of firm, concrete historical dat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의 제기
      • Ⅱ. 고려의 송 교방악 수입
      • Ⅲ. 고려 당악정재의 사와 중국 사보 속의 사
      • Ⅳ. 고려 당악정재의 성립
      • [국문초록]
      • Ⅰ. 문제의 제기
      • Ⅱ. 고려의 송 교방악 수입
      • Ⅲ. 고려 당악정재의 사와 중국 사보 속의 사
      • Ⅳ. 고려 당악정재의 성립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裕元, "林下筆記"

      2 김한규, "한중관계사Ⅰ" 아르케 1999

      3 藏非非, "한중관계사" 범우 2005

      4 김학주, "한․중 두 나라의 가무와 잡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5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6 가소단, "중국 당송악무와 고려 당악무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7 楊蔭瀏, "중국 고대 음악사" 솔 1999

      8 王水熙, "소동파 평전" 돌베개 2013

      9 심숙경, "당악정재 「헌선도」를 통해 본 고려, 송시대 악무(樂舞)교류" 한국무용예술학회 10 (10): 143-163, 2002

      10 최진아, "다섯 마리 양을 탄 신선이 내려오다: ‘오양선(五羊仙)’ 이야기의 베트남, 중국, 한국에서의 변용" 한국비교문학회 (57) : 43-64, 2012

      1 李裕元, "林下筆記"

      2 김한규, "한중관계사Ⅰ" 아르케 1999

      3 藏非非, "한중관계사" 범우 2005

      4 김학주, "한․중 두 나라의 가무와 잡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5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6 가소단, "중국 당송악무와 고려 당악무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7 楊蔭瀏, "중국 고대 음악사" 솔 1999

      8 王水熙, "소동파 평전" 돌베개 2013

      9 심숙경, "당악정재 「헌선도」를 통해 본 고려, 송시대 악무(樂舞)교류" 한국무용예술학회 10 (10): 143-163, 2002

      10 최진아, "다섯 마리 양을 탄 신선이 내려오다: ‘오양선(五羊仙)’ 이야기의 베트남, 중국, 한국에서의 변용" 한국비교문학회 (57) : 43-64, 2012

      11 박현규, "고려사 「당악」 원문 校勘에 수반되는 판본 선택의 중요성: 車柱環과 唐圭璋의 교감 기록을 중심으로" 중국어문연구회 22 : 2002

      12 박은옥, "고려사 악지의 당악연구" 민속원 2006

      13 차주환, "고려당악의 연구" 동화출판사 1976

      14 박은옥, "고려당악" 문사철 2011

      15 "高麗史"

      16 史浩, "鄮峰眞隱漫錄"

      17 李燾, "續資治通鑑長編"

      18 陳暘, "樂書"

      19 李瀷, "星湖僿說"

      20 王奕清, "御定詞譜"

      21 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

      22 "宋史"

      23 "太宗實錄"

      24 沈括, "夢溪筆談"

      25 유강하, "四川, 道敎 그리고 西王母에 대한 한 연구 –漢代 四川 지역의 西王母 圖像을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30) : 313-335, 2009

      26 "三國史記"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9 1.00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