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충렬왕대 ‘衣冠改變令’ 반포와 國俗의 보존 = The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of Attire Reform” and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Traditions under King Ch’ungnyŏ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高麗史에 실린 1278년(충렬왕 4) 2월의 “令境內皆服上國衣冠”이라는 기사에 주목하여, 이러한 조치가 반포된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와 원 관...

      본 논문은 高麗史에 실린 1278년(충렬왕 4) 2월의 “令境內皆服上國衣冠”이라는 기사에 주목하여, 이러한 조치가 반포된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와 원 관계 속에서의 ‘國俗’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몽전쟁기부터 고려에 소개되기 시작한 ‘韃靼의 衣冠’은 강화 이후 譯官과 使臣 등 대원외교 담당층을 중심으로 수용되었으나, 몽골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원 의관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충렬왕 즉위 이후 왕을 비롯한 지배층들의 적극적인 착용과 원의 영향력 증가로 이러한 분위기가 전환되었고, ‘衣冠改變令’ 이 반포되어 모든 관인이 開剃辮髮을 하고 公服 에 몽골식 笠과 胡服을 도입함으로써 이후 13~14세기 관인의 집무복으로 자리잡았다.
      ‘의관개변령’의 반포 배경에는 원과의 신뢰관 계 구축이라는 대외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다.
      禿魯花, 親朝, 通婚이 이루어지고 고려의 官制 및 왕실 용어가 제후국 체제로 강등되는 등 원과의 위계질서를 직접 확인하게 되었다. 더욱이 고려․고려국왕의 지위가 원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으나, 충렬왕 즉위 직후까지 고려 내의 원관인들로 인하여 양국관계는 불안정하였다. 이에 고려는 국왕의 친조를 통하여 이러한 국면을 해결하고자 하였고, ‘의관개변령’을 친조 직전에 반포함으로써 원과의 우호적 관계 구축을 위한 가시적인 효과를 도모한 것이었다.
      고려의 의관 개변은 역설적으로 원으로부터 ‘不改土風’을 재확인받는 계기가 되었고, 한편으 로는 국속에 다소간 개변을 함으로써 고려의 외교적 실리를 취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에서 국속의 유연성을 보여준다. 오히려 元人이 고려의 풍속이 변화시키려는 상황에서 국속이 호명되고, 원과의 상화관계가 강화됨에도 원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국초부터의 황제국 체제 의관을 고수함으로써 국속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는 고려의 국속이 원만한 대원관계를 유지 하며 고려의 사직을 보존하기 위한 능동적인 것
      임을 보여준다. 즉, 외적인 상황에 따라 국속의 형태가 변화할 수 있는 동시에 내적으로 국속 보존에 대한 의식이 복류하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후 양국관계의 변화 및 고려 國體의 위협 상황에서 점차 공고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令境內皆服上國衣冠” article of the Koryŏsa and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and significance of the proclamation of this ordinance,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national traditions involved in ...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令境內皆服上國衣冠” article of the Koryŏsa and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and significance of the proclamation of this ordinance,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national tradition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yŏ and Yuan regimes.
      Despite some resistance against the attire because of negative sentiments toward the Mongols, the use of the Mongol attire was initially disseminated among diplomatic groups. However, after the crowning of King Ch’ungnyŏl, these attitudes began to shift, as the attire became commonly worn by the ruling classes. After the “Ordinance of Attire Reform” was proclaimed, all government officials were required to adopt the Mongolian hair style, and public officers were dressed in Mongolian hats and Mongolian clothing (hobok), thereby establishing Mongolian clothing as the official government uniforms of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was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a diplomatic need to establish trust with the Yuan. Under the hierarchical sovereign relationship between Koryŏ and Yuan, Yuan officials within Koryŏ often caused tensions between the two nations. Koryŏ sought to alleviate this issue with the practice of delegated native rule, and the Ordinance was proclaimed as a visible attempt to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under this native rule.
      The Ordinance demonstrated the flexibility of national traditions, as it used these national traditions for the diplomatic benefit of Koryŏ. As the relations with the Yuan stabilized and conflicts were culled, the nation maintained the traditions upheld from its foundation by adhering to the practices of imperial cloth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元 복식문화의 수용과 ‘衣冠改變令’ 반포
      • 1) 원 복식문화의 소개와 開剃辮髮․ 胡服 착용 논란
      • 2) ‘의관개변령’의 반포와 冠服 변화
      • 3. 우호적 麗․元관계의 구축과 國俗의 보존
      • 1. 머리말
      • 2. 元 복식문화의 수용과 ‘衣冠改變令’ 반포
      • 1) 원 복식문화의 소개와 開剃辮髮․ 胡服 착용 논란
      • 2) ‘의관개변령’의 반포와 冠服 변화
      • 3. 우호적 麗․元관계의 구축과 國俗의 보존
      • 1) 의관 개변과 우호적 여․원관계의 구축
      • 2) ‘不改土風’ 확인과 국속의 보존
      •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형과 영의 예술)" 돌베개 2009

      2 이익주, "충선왕 즉위년(1298) ‘개혁정치’의 성격" 7 : 1992

      3 최해율, "유목민의 꽃" 민속원 2006

      4 이정훈, "원간섭기 첨의부의 위상과 역할 –충렬왕과 충선왕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88) : 209-241, 2013

      5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한국역사연구회 (49) : 99-124, 2003

      6 金龍善, "역주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 출판부 2006

      7 김호동, "몽골제국과 고려"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8 이익주,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김형수, "고려후기 정책과 정치" 도서출판 지성인 2013

      10 이종서, "고려후기 상반된 질서의 공존과 그 역사적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2) : 367-392, 2015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형과 영의 예술)" 돌베개 2009

      2 이익주, "충선왕 즉위년(1298) ‘개혁정치’의 성격" 7 : 1992

      3 최해율, "유목민의 꽃" 민속원 2006

      4 이정훈, "원간섭기 첨의부의 위상과 역할 –충렬왕과 충선왕대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88) : 209-241, 2013

      5 채웅석,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한국역사연구회 (49) : 99-124, 2003

      6 金龍善, "역주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학교 출판부 2006

      7 김호동, "몽골제국과 고려"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8 이익주, "동아시아 국제질서 속의 한중관계사" 동북아역사재단 2010

      9 김형수, "고려후기 정책과 정치" 도서출판 지성인 2013

      10 이종서, "고려후기 상반된 질서의 공존과 그 역사적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2) : 367-392, 2015

      11 구산우, "고려시기 제도와 정책의 수용과 배제-成宗代 華風과 土風의 공존과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42) : 99-135, 2015

      12 이개석, "고려-대원 관계 연구" 지식산업사 2013

      13 김보광, "고려 충렬왕의 케시크제 도입과 그 의도" 한국사학회 (107) : 125-168, 2012

      14 이종서, "고려 국왕과 관리의 복식(服飾)이 반영하는 국가 위상과 자의식의 변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0) : 37-63, 2012

      15 張東翼, "高麗後期外交史硏究" 一潮閣 1994

      16 金光哲, "高麗後期世族層硏究" 동아대학교출판부 1991

      17 林亨洙, "高麗後期 禿魯花의 性格變化 硏究" 고려대학교 2008

      18 金惠苑, "高麗史의 諸問題" 三榮社 1985

      19 "高麗史節要"

      20 "高麗史"

      21 李益柱, "高麗․元關係의 構造에 대한 硏究: 소위 '世祖舊制'의 분석을 중심으로" 36 : 1996

      22 李益柱, "高麗·元關係의 構造와 高麗後期 政治體制" 서울대학교 1996

      23 李益柱, "高麗 忠烈王代의 政治狀況과 政治勢力의 性格" 18 : 1988

      24 李益柱, "高麗 對蒙抗爭期 講和論의 硏究" 151 : 1996

      25 "通制條格"

      26 김소현, "胡服 : 실크로드의 복식" 민속원 2003

      27 梁義淑, "素軒南都泳博士古稀紀念歷史學論叢" 民族文化社 1993

      28 "東文選"

      29 "東國李相國集"

      30 윤진영, "星州李氏 家門의 초상화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2) : 139-179, 2009

      31 李康漢, "征東行省官 闊里吉思의고려제도 개변 시도" 한국사연구회 (139) : 83-128, 2007

      32 "宣和奉使高麗圖經"

      33 "元高麗紀事"

      34 金塘澤, "元干涉下 高麗政治史" 일조각 1998

      35 "元史"

      36 李正玉, "中國服飾史" 螢雪出版社 2000

      37 한국역사연구회 14세기고려사회성격연구반,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1994

      38 이명미, "13~14세기 고려・몽골 관계 연구" 혜안 2016

      39 김문숙, "13-14세기 고려복식에 수용된 몽고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몽골학회 (17) : 223-246,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DONG BANG HAK CHI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7 2.15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