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조 · 성종대 정몽주 인식 =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 Seongjo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04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과정을 살펴보려는 일환으로써 세조 · 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사서는 당대의 인식을 보여주는 척도이며, 그 시대 편찬자의 사관을 잘 반...

      본고는 조선 전기 성리학 이해과정을 살펴보려는 일환으로써 세조 · 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사서는 당대의 인식을 보여주는 척도이며, 그 시대 편찬자의 사관을 잘 반영하고 있다. 세조 · 성종대 편찬된 관찬사서인 『국조보감』과 『동국통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조대 『국조보감』의 편찬자, 즉 신숙주 등 8인의 정몽주 인식은 실록에 비해 상당히 많은 부분이 배제되어 그들의 정치성향과 무관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성종대 『동국통감』의 편찬자는 서거정 중심의 훈척과 표연말?최부 등 사림으로서, 이들의 정몽주 인식은 사뭇 달랐다. 세조대 공신이자 훈척인 서거정은 『필원잡기』에서 농(弄)을 빌어서 정몽주를 폄하하고 있는데 비해, 김종직의 문인인 표연말 · 최부 등은 신편 『동국통감』에서 정몽주의 절의를 칭송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사서(史書) 진강의 영향을 들 수 있다. 세종대 경연과 달리 성종대 경연에서는 새로이 『고려사』를 진강한다. 『고려사』에 수록된 정몽주의 칭송기사를 발췌하여 신편 『동국통감『에 수록한 사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성종대 사림은 정몽주를 ‘절의지사’ 라고 칭한다.
      그러므로 세조 · 성종대의 정몽주 인식은 세종대 『삼강행실도』의 ‘충신’에서 중종대 문묘종사의 ‘성현’으로 숭배되는 과정에 있으며, 성종대 사림의 정몽주 인식은 ‘절의지사’ 라고 정의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Kukjobogam and Dongguktonggam. Through the eight compilers of Kukjobogam such as Sin Suk-Ju, it had proved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f...

      This paper was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Kukjobogam and Dongguktonggam. Through the eight compilers of Kukjobogam such as Sin Suk-Ju, it had proved the fact tha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Dynasty were excluded in Kukjobogam unlike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Because Kukjobogam was written by focused in achievements and good words of the Kings, the articles for Jeong Mong-Ju were also partially omitted. This was found out being related to political opinions of eight persons such as Sin Suk-Ju.
      As the results abou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ongjong Dynasty through the compilers of Dongguktonggam, there were distinc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King’s relatives and the recognition of Sarim such as Pyo Yeon-Mal and Choi Bu. Seo Keo-Jeong who the King’s relatives in Sejo Dynasty have banteringly denigrated Jeong Mong-Ju through Pilwonjabki. It was a look that reflects from the regency by the queen mother in the initial Seongjong Dynasty and the political affairs by Chancellors.
      However the government styles were chang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systems by Chancellors,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were gradually changed by appointed Sarim from the management the affairs of state in Seongjong 7th Dynasty. During the lecture, only Jeong Mong-Ju and Gil Je were mentioned as ‘Jeoleuijisa’, and the recognition about ‘Jeoleuijisa’ was changed as severely remonstrated persons in usual not urgent crisis.
      I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change, the lecture of history books was played an important role. Unlike Sejong Dynasty, Goryeosa was lectured twice, and Hanseo was lectured before and after the compilement of Dongguktonggam. As a result,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been compiled by attaching 204 pieces of Shinsaron. Dongguktonggam was included the contents to honor the achievements of Jeong Mong-Ju in Goryeosa by Choi Bu and Pyo Yeon-Mal. Although Dongguktonggam in the Seongjong 16th Dynasty have coexisted the recognition of Hunchuk and Salim,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have been represented as the ‘Jeoleuijisa’ recognition of Salim.
      Therefore,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in Sejo? Seongjong Dynasty was in the process of being worshiped as ‘Saint’ for Jeong Mong-Ju in discussions of Confucian shrine in Jungjong Dynasty from the recognition as ‘Loyalty’ for Jeong Mong-Ju in Samkanghaengsildo of Sejong Dynasty, and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of Salim in Seongjong Dynasty could be defined as ‘Jeoleuijis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세조대 『국조보감』을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Ⅲ. 성종대 『동국통감』을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Ⅳ. 맺음말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세조대 『국조보감』을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Ⅲ. 성종대 『동국통감』을 통해 본 정몽주 인식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주희, "李克增의 생애와 관직활동" (30) : 2006

      2 김중권, "조선조 경연에서 성종의 독서력 고찰" 한국서지학회 (32) : 535-572, 2005

      3 김보정,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포은학회 9 : 67-97, 2012

      4 윤훈표, "조선 세조 때 兵政(병정) 편찬의 의미와 그 활용" 역사실학회 (40) : 5-38, 2009

      5 지두환, "세조 집권 과정에서의 내종친의 정치성향" 백산학회 (99) : 5-38, 2014

      6 송웅섭, "성종의 즉위와 국정운영방식의 변화" (49) : 2014

      7 김보정, "동아시아사의 인물과 라이벌" 아세아문화사 2008

      8 유영옥, "동국통감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9 "高麗史"

      10 "高麗史節要"

      1 류주희, "李克增의 생애와 관직활동" (30) : 2006

      2 김중권, "조선조 경연에서 성종의 독서력 고찰" 한국서지학회 (32) : 535-572, 2005

      3 김보정,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포은학회 9 : 67-97, 2012

      4 윤훈표, "조선 세조 때 兵政(병정) 편찬의 의미와 그 활용" 역사실학회 (40) : 5-38, 2009

      5 지두환, "세조 집권 과정에서의 내종친의 정치성향" 백산학회 (99) : 5-38, 2014

      6 송웅섭, "성종의 즉위와 국정운영방식의 변화" (49) : 2014

      7 김보정, "동아시아사의 인물과 라이벌" 아세아문화사 2008

      8 유영옥, "동국통감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9 "高麗史"

      10 "高麗史節要"

      11 兪英玉, "集賢殿의 運營과 思想的傾向" (18) : 1994

      12 "錦南先生集"

      13 "筆苑雜記"

      14 "東國通鑑"

      15 "朝鮮王朝實錄(世祖∼成宗) "

      16 "國朝寶鑑"

      17 "四佳集"

      18 安秉禧, "世祖의 經書口訣에 대하여" (7) : 1983

      19 韓永愚, "『東國通鑑』의 歷史敍述과 歷史認識下" (16) : 1979

      20 韓永愚, "『東國通鑑』의 歷史敍述과 歷史認識上" (15) : 1979

      21 鄭求福, "『東國通鑑』에 대한 史學史的考察" (21․22) : 1978

      22 윤훈표, "15세기 말엽부터 16세기 중엽까지 경연의 변모와 그 의미" 역사실학회 (51) : 75-111,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