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전기 동북아의 정세와 전쟁 = nternational Situation and War in Northeast Asia during early period of Jos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761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country, war and peace are both contradictory and very closely related concepts as well. Joseon, which inherited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turmoil as a historical heritage at the end of the Goryeo, was established in 1392 and influenced by ...

      In a country, war and peace are both contradictory and very closely related concepts as well. Joseon, which inherited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turmoil as a historical heritage at the end of the Goryeo, was established in 1392 and influenced b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changing Ming from Yuan(元明交替). Under the pluralistic international order, Goryeo had many times of war to influence the national destiny, and while taking full advantage of Goryeo's capabilities, it made strategic diplomatic relations by utilizing the change of international situation. However, after the founding, Joseon focused on the Ming central international order(明 中心 國際秩序) and ignored diplomatic and military alternatives. Of course, this has the advantage of limiting the external forces that invade Joseon from the North. Since Joseon dealt with the ruling class of North, it was punished in terms of border security.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Joseon faced internal confusion in the face of changes in international affairs, which were replaced by the Ming from the Yuan, as well as domestic political and military complexity. In addition, Joseon has implemented a fierce defense policy to secure security in the Ming central international order. During the peace period, Joseon could implement long-term and systematic defense policies, but the national policy, which was the national policy for the war, changed due to the initial confus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rly Joseon perio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was the decline of Mongolia, a northern n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Ming Dynasty. In this proces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changed suddenly due to the North Yuan forces of the Liaodong, the Mongol forces in the grassland, the Ruzhe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have caused frequent military conflicts around Joseon, resulting in massive wars. As a result, the Joseon changes in the defense policy and experience the Campaign against the Jurchen tribesmen(女眞征伐), Tsushima Subjugation(對馬島征伐), Japanese Riots in the Three Ports(三浦倭亂), Nitanggae Invasion(尼湯介亂), Imjin war(壬辰戰爭), Manchu War in 1636(丙子胡亂).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에 있어 전쟁과 평화는 상반되면서 동시에 매우 긴밀하게 연관된 개념이다. 고려말 정치, 사회, 경제적 혼란을 역사적 유산으로 물려받은 조선은 1392년 개국하면서 원명교체의 국제정세...

      국가에 있어 전쟁과 평화는 상반되면서 동시에 매우 긴밀하게 연관된 개념이다. 고려말 정치, 사회, 경제적 혼란을 역사적 유산으로 물려받은 조선은 1392년 개국하면서 원명교체의 국제정세에 영향을 받아 전쟁에 대응하여 군사정책을 수립, 변화시켰다. 다원적인 국제질서하에서 격랑의 시대에 고려는 국운을 좌우할 전쟁을 여러차례 겪으면서 고려의 역량을 총동원하면서도 국제정세 변화를 활용하여 전략적 외교관계를 맺어 대응했다. 그러나 조선은 건국이후 명 중심 국제질서를 중시하여 외교, 군사적 대안을 무시하였다. 물론 이는 조선이 현실적으로 북방에서 침입하는 외부세력을 여진족으로 한정하는 이점이 있었고, 조선은 북방의 전쟁대상으로 조선의 통제가 가능한 여진족을 상대하였기에 대외정벌 보다 국경안정의 관점에서 토벌을 필요시 시행했다.
      건국초기 조선은 국내의 정치, 군사적 복잡한 관련성 못지않게 원명교체라는 국제정세의 변화에 직면하여 내부의 혼란을 수습하면서 대외적으로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조선의 안보를 담보하기 위한 치열한 국방정책을 시행했다. 평화시기에 조선은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국방정책을 시행할 수 있지만, 건국초기 혼란과 국제정세의 변혁으로 전쟁에 대한 국가정책인 국방정책이 변화했다. 조선전기 국제정세는 북방민족이었던 몽골의 쇠퇴와 한족의 명나라가 건국되면서 중국대륙에 명나라 중심 국제질서가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 요동의 북원세력, 초원지대의 몽골세력, 한반도 북부의 여진족, 전국시대의 혼란으로 인한 왜구의 준동 등이 발생하여 국제정세가 급변했다. 국제정세의 변화는 조선을 둘러싼 군사충돌이 빈번하여 대규모 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그 결과로 조선은 국방정책의 수립, 변화를 경험하고, 여진정벌, 대마도정벌, 삼포왜란, 니탕개의 난, 임진전쟁, 병자호란 등 대외전쟁을 치렀다.
      조선은 건국과 함께 명 중심 국제질서에 편입되어 국가의 안위를 확보하기 위해 명과 군사외교관계를 맺었다. 명나라의 국제정세에 대한 대응방식은 조선의 전쟁이란 군사위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명나라의 몽골정벌은 몽골의 흥망성세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으로 주변 여진족의 남하가 초래되었다. 여진족은 명나라 중심의 국제질서에 편입되면서 조선의 영향권에서 이탈하기 시작했다. 이는 조선과 여진족의 갈등을 초래하여 조선의 여진정벌이란 전쟁으로 이어졌다. 또한,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일본에 대한 교역금지는 왜구의 빈번한 침입을 초래하여 조선은 결국 대마도정벌을 단행하였다. 이후 조선과 일본 사이에 전쟁과 평화의 시기가 교차하면서 삼포왜란의 전쟁이 발생했다. 지속적인 왜구와 왜관을 중심으로 한 일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군사충돌은 조선이 일본을 군사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는 인식을 남겼으며, 이는 임진전쟁에 대한 조선의 소홀한 준비를 가져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록, "麗末鮮初 洪武帝의 高麗․朝鮮 認識과 外交關係" 명청사학회 (35) : 1-33, 2011

      2 孫衛國, "論明初的宦官外交" 1994

      3 김경록, "홍무제의 대외인식과 조공제도의 정비" 명청사학회 (37) : 1-31, 2012

      4 金正義, "홍건적의 침입에 관한 고찰" 17 : 1988

      5 정해은, "한국전통병서의 이해"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6 "조선태종실록"

      7 "조선태조실록"

      8 김경록, "조선초기 귀화정책(歸化政策)과 조명관계(朝明關係)" 한국역사연구회 (83) : 213-247, 2012

      9 김경록, "조선초기 국제정세와 국방정책" 육군군사연구소 (146) : 85-118, 2018

      10 "조선중종실록"

      1 김경록, "麗末鮮初 洪武帝의 高麗․朝鮮 認識과 外交關係" 명청사학회 (35) : 1-33, 2011

      2 孫衛國, "論明初的宦官外交" 1994

      3 김경록, "홍무제의 대외인식과 조공제도의 정비" 명청사학회 (37) : 1-31, 2012

      4 金正義, "홍건적의 침입에 관한 고찰" 17 : 1988

      5 정해은, "한국전통병서의 이해"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6 "조선태종실록"

      7 "조선태조실록"

      8 김경록, "조선초기 귀화정책(歸化政策)과 조명관계(朝明關係)" 한국역사연구회 (83) : 213-247, 2012

      9 김경록, "조선초기 국제정세와 국방정책" 육군군사연구소 (146) : 85-118, 2018

      10 "조선중종실록"

      11 "조선정종실록"

      12 한성주, "조선전기 수직여진인 연구" 경인문화사 2011

      13 "조선인조실록"

      14 "조선연산군일기"

      15 한성주, "조선시대 번호 연구" 경인문화사 2018

      16 김경록, "조선시대 국제질서와 해양정책" 명청사학회 (48) : 185-217, 2017

      17 "조선세종실록"

      18 "조선세조실록"

      19 "조선선조실록"

      20 "조선명종실록"

      21 김구진,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백산학회 (88) : 265-302, 2010

      22 김경록, "정유재란기 파병 明軍의 구성과 朝・明聯合軍" 한일관계사학회 (57) : 123-166, 2017

      23 이영, "전환기의 동아시아 사회와 왜구" 한국사연구회 (123) : 7-246, 2003

      24 김영진, "전통 동아시아 국제질서 개념으로서 조공체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8 (38): 249-279, 2016

      25 윤영인, "전근대 동아시아 천하체계와 조공체제" 동양문화연구원 29 : 133-158, 2018

      26 이형석, "임진전란사 (상·중·하)" 임진전란사간행위원회 1976

      27 최영희, "임진왜란의 재조명" 국사편찬위원회 1992

      28 민덕기,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한일관계사학회 (36) : 231-261, 2010

      29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임진왜란사" 1987

      30 민덕기, "임진왜란기 조선의 북방 여진족에 대한 위기의식과 대응책 - '南倭北虜'란 측면에서 -" 한일관계사학회 (34) : 179-218, 2009

      31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역사비평사 1999

      32 한일관계사연구논집 편찬위원회,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33 박정민, "임진왜란과 여진인 ‘來朝’의 종언" 만주학회 (18) : 7-34, 2014

      34 정두희, "임진왜란과 동아시아 삼국전쟁" 휴머니스트 2007

      35 민덕기,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국방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재검토 - 동북방 여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57) : 347-382, 2010

      36 한성주, "임진왜란 전후 女眞 藩胡의 朝鮮 침구 양상과 조선의 대응 분석" 동양사학회 (132) : 101-145, 2015

      37 민덕기, "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임진왜란용이 될 수 없다 -동북방의 여진 정세와 관련하여-" 한일관계사학회 (41) : 155-182, 2012

      38 홍영의, "이방실 장군의 생애와 군사활동"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03) : 279-322, 2017

      39 서병국, "선조시대 여진교섭사 연구" 교문사 1970

      40 장정수, "선조대 말 여진 번호 로툰(老土)의 건주여진 귀부와 조선의 대응" 조선시대사학회 (78) : 7-49, 2016

      41 장정수, "선조대 對女眞 방어전략의 변화 과정과 의미" 조선시대사학회 (67) : 169-213, 2013

      42 윤호량, "선조 16년(1583)‘尼湯介의 亂’과 조선의 대응"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2) : 41-74, 2012

      43 "명태종실록"

      44 "명태조실록"

      45 김경록, "명초 홍무제의 종교정책과 통치구상 - 불교와 도교를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46) : 171-211, 2016

      46 김경록, "명초 홍무제의 군사인식과 군사정책"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9) : 145-188, 2016

      47 "명영종실록"

      48 "명세종실록"

      49 "명선종실록"

      50 김경록, "명대 監軍제도와 임진왜란시 파병 明軍의 監軍" 동양사학회 (137) : 51-96, 2016

      51 송우혜, "니탕개란 연구 —선조 시대 여진족의 대반란 사건" 역사문제연구소 (72) : 298-329, 2005

      52 김경록, "공민왕대 국제정세와 대외관계의 전개양상" 한국역사연구회 (64) : 197-231, 2007

      53 박진훈, "고려후기 홍건적의 침입과 安祐의 군사활동" 한국사학회 (130) : 97-136, 2018

      54 이경희, "고려말 홍건적의 침입과 안동임시수도의 대응" 24 : 1993

      55 민현구, "高麗 恭愍王代 중엽의 정치적 변동" 진단학회 (107) : 37-67, 2009

      56 于贵信, "關於葉宗留鄧茂七起義的幾個問题" 1956

      57 濱下武志, "近代中國の國際的契機: 朝貢貿易システムと近代アヅア" 東京大學出版部 1990

      58 荒野泰典, "近世日本と東アジア" 東京大出版會 1988

      59 滕绍箴, "试论明与后金战争的原因及其性质" 1980

      60 南快莫德格, "论瓦剌蒙古与西域社會" 2005

      61 김경록, "洪武年間 明의 封典 整備와 朝·明關係" 중국사학회 (106) : 59-94, 2017

      62 임상훈, "洪武帝, 明代 宦官 外交의 創始者 ― 洪武帝의 宦官 抑制와 그 實體 ―" 동양사학회 (129) : 145-176, 2014

      63 강성문, "朝鮮시대 女眞征伐에 관한 연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8 : 1989

      64 高橋公明, "朝鮮外交秩序と東アジア海域の交流" 573 : 1987

      65 김경록, "朝鮮初期 軍人送還問題와 朝明間 軍事外交"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3) : 221-258, 2012

      66 濱下武志, "朝貢システムと近代アヅア" 岩波書店 1997

      67 李雲泉, "明淸朝貢制度硏究" 曁南大學 2003

      68 李龙潜, "明正统年间广东黄肖养的起义" 1959

      69 李龙潜, "明正统年间叶宗留邓茂七起义的经过及特点" 1957

      70 何鹏毓, "明正统年间东南地区的农民大起义" 1951

      71 郑鎭峰, "明正统年间“三征麓川”之役" 1963

      72 李龍潛, "明正統年間葉宗留鄧茂七起義的經過及特點" 1957

      73 董玉瑛, "明正統末景泰初女眞的動亂" 1983

      74 陈玉彬, "明朝中期(1442年-1450年)的处州农民起义" 1982

      75 전순동, "明朝 前期 宦官 勢力의 推移와 機能" 중국사학회 (61) : 39-82, 2009

      76 김경록, "明初 洪武帝의 國家統治 구상과 『大明律』" 한국법사학회 (53) : 95-126, 2016

      77 万泳延, "明代麓川治理问题研究" 中央民族大学 2013

      78 陳濟時, "明代正統—天啓年間主要農民起義圖" 1981

      79 趙現海, "明代九邊長城軍鎭史"

      80 김경록, "明代 驛傳制度와 韓中關係에서 符驗의 意味 ― 홍무연간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49) : 1-42, 2018

      81 김경록, "明代 公文制度와 行移體系" 명청사학회 (26) : 123-168, 2006

      82 정다함, "征伐이라는 戰爭/征伐이라는 祭祀 - 世宗代 己亥年 “東征”과 婆猪江 “野人征伐”을 중심으로 -" 고려사학회 (52) : 271-306, 2013

      83 김세용, "宣祖朝 尼湯介亂 硏究" 成均館大 2016

      84 黃枝連, "天朝禮治體系硏究 (上·中·下)"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92

      85 哈恩忠, "后金“告天七大恨”榜文" 2012

      86 "二十二史箚記"

      87 中國軍事通史編委會, "中國軍事通史15-明代軍事史 上冊" 軍事科學出版社 1995

      88 王正毅, "世界體系論與中國" 商務印書館 2000

      89 육군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7" 육군본부 2012

      90 中國軍事科學院, "『中國軍事通史』第15卷-明代軍事史" 軍事科學出版社 1998

      91 華實, "“土木之變”與土木堡" 1983

      92 최희재, "‘중화제국질서’를 둘러싼 논의의 확산과 수렴 - 조공체제론과 다중체제설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65) : 135-168, 2018

      93 Hugh Dyson Walker, "The Yi-Ming rapprochement : Sino-Korean foreign relations, 1392-1592" Univ. of California 1971

      94 Fairbank, J. K., "The Chinese World Ord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95 장정수, "16세기 말~17세기 초 朝鮮과 建州女眞의 배후 교섭과 申忠一의 역할"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5) : 133-183, 2016

      96 정해은, "16세기 동아시아 속의 조선과 『國朝征討錄』의 편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 44-70, 2013

      97 이익주,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53) : 351-397, 2016

      98 이정란, "1361년 홍건적의 침입과 공민왕의 충청지역 피난정치" 역사문화학회 21 (21): 33-64,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1.02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