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돌궐 빌개 카간(Bilgä Qaγan) 비문 속의 한국고대사 관련기록 검토 : 특히 발해의 登州, 都山 전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lative Record of Korea's Ancient History in Bilgä Qaγan Inscription : Especially Focusing on the Battle of Dengzhou(登州) and Dushan(都山) Between Buhai(渤海) and Tang(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lge Khagan is the second Khagan of the Turk second empire. Bilge Khagan Inscription was built on September 20, 1935. As a research results of this inscription, records of Korean ancient history appeared in five places. First, Bükli[iLqub], which wa...

      Bilge Khagan is the second Khagan of the Turk second empire. Bilge Khagan Inscription was built on September 20, 1935. As a research results of this inscription, records of Korean ancient history appeared in five places. First, Bükli[iLqub], which was inscribed on the inscription [E5], proved to be Goguryeo, and Čöl(lü)gil[LGLuc] was a result of hyperbole. These are the funeral delegations sent by the Pyeongwon king of the Goguryeo and Jinhung King of Silla dynasty during the funeral of the 3rd Mukhan Khagan who died in 572. Second, Bükli Khagan which appears in the inscription [E8], is the Turkic troop mobilized by Tang during the war for the attack of Koguryeo. The period is from 631 to 681. These Turkic cavalry are likely to be cavalry units of Ašïnas Še'er(?) who was mobilized during the Taichung's Ryudong attack in 645. Third, the inscription [E18] [E20] was proved to be related to the Goguryeo people's group led by Gomungwan(高文簡) and Gohongui(高拱毅) who traveled to Tang in August 715. Fourth, Tongker mountain(都山) recorded in the inscription [S7] [S8] appeared as a ferocious battlefield of the Allied Turks, Kitans, and Bohai troops between the Tang army in the leap March of 733.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빌개 카간은 돌궐 제2제국의 2대 카간이며, 그의 비문은 A.D.735년 9월 20일에 세워졌다. 이 비문의 연구결과 다섯 군데에서 한국고대사 관계기록이 나타났다. 첫째, 비문 [E5]에 새겨진 Bükli[iLq...

      빌개 카간은 돌궐 제2제국의 2대 카간이며, 그의 비문은 A.D.735년 9월 20일에 세워졌다. 이 비문의 연구결과 다섯 군데에서 한국고대사 관계기록이 나타났다. 첫째, 비문 [E5]에 새겨진 Bükli[iLqub]는 고구려이고 Čöl(lü)gil[LGLuc]은 고증결과 신라로 판명되었다. 이들은 A.D.572년에 죽은 제3대 무칸 카간(Muqan Qaγan, 木汗可汗)의 장례식 때 고구려 平原王 및 신라 진흥왕이 보낸 조문사절단이다. 둘째, 비문 [E8]에 등장하는 뷔클리 카간(Bükli Qaγan) 부분은 보장왕 때 당나라가 고구려 정벌을 위해 동원한 돌궐기병들로서 그 시기는 A.D.631년부터 A.D.681사이로 나타난다. 이 돌궐 기병들은 A.D.645년 唐太宗의 요동공격 때 동원된 阿史那社尒(Ašïnas Še'er?)의 기병부대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비문 [E18][E20] 부분은 A.D.715년 8월에 당나라로 투항한 高文簡ㆍ高拱毅 등이 이끄는 고구려 유민집단과 관계된 내용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비문 [S7][S8]에 기록된 툉캐르山(töŋk(ä)r t(a)γ)은 733년 閏3월 突厥ㆍ契丹ㆍ渤海 연합군과 唐軍이 격전을 벌인 都山(馬都山)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원길, "타타르(Tatar)부의 역사적 고찰" 한국몽골학회 (50) : 1-58, 2017

      2 박원길, "중원왕조의 고구려왕 봉작(封爵)에 대한 분석과 고찰 : 고려왕의 칭호를중심으로" 8 : 2017

      3 지배선, "유럽문명의 아버지-고선지 평전-" 청아출판사 2002

      4 김병호, "오르혼 옛 튀르크語 비문과 한반도인의 옛 이름- 퀼 테긴 碑와 빌게 카간 碑에 나타나는 ‘Bökli’ 해석" 동북아역사재단 (42) : 7-45, 2013

      5 박원길, "오르도스의 역사" 2 : 1994

      6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 일지사 2009

      7 최진열, "발해 국호 연구 : 당조가 인정한 발해의 고구려 계승 묵인과 부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8 박원길, "바이칼호 주변의 철륵(鐵勒) 3부(Bokhud, Bayirkhu, Khurigan) 고찰" 1 : 2016

      9 게오르기 베르낫스키, "몽골제국과 러시아(The Mongols and Russia)" 도서출판 선인 2016

      10 박원길, "동몽골의 가치와 미래(I)" 단국대출판부 2016

      1 박원길, "타타르(Tatar)부의 역사적 고찰" 한국몽골학회 (50) : 1-58, 2017

      2 박원길, "중원왕조의 고구려왕 봉작(封爵)에 대한 분석과 고찰 : 고려왕의 칭호를중심으로" 8 : 2017

      3 지배선, "유럽문명의 아버지-고선지 평전-" 청아출판사 2002

      4 김병호, "오르혼 옛 튀르크語 비문과 한반도인의 옛 이름- 퀼 테긴 碑와 빌게 카간 碑에 나타나는 ‘Bökli’ 해석" 동북아역사재단 (42) : 7-45, 2013

      5 박원길, "오르도스의 역사" 2 : 1994

      6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 일지사 2009

      7 최진열, "발해 국호 연구 : 당조가 인정한 발해의 고구려 계승 묵인과 부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8 박원길, "바이칼호 주변의 철륵(鐵勒) 3부(Bokhud, Bayirkhu, Khurigan) 고찰" 1 : 2016

      9 게오르기 베르낫스키, "몽골제국과 러시아(The Mongols and Russia)" 도서출판 선인 2016

      10 박원길, "동몽골의 가치와 미래(I)" 단국대출판부 2016

      11 정재훈, "돌궐유목제국사(552-745) : 아사나 권력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소멸" 사계절 2016

      12 Talâlt Tekin, "돌궐비문연구(Orhon Yazıtlaı)" 제이앤씨 2008

      13 김은국, "대외교통로를 통해 본 渤海와 新羅 관계" 고구려연구재단 2005

      14 이규호, "당의 고구려 유민 정책과 유민들의 동향" 한국역사연구회 (101) : 141-172, 2016

      15 장병진, "당의 고구려 고지 지배 방식과 유민의 대응" 한국역사연구회 (101) : 107-139, 2016

      16 노태돈, "고구려의 대외관계와 북아시아 유목민 국가" 동양학연구원 (58) : 193-202, 2015

      17 노태돈, "고구려사연구" 사계절 2003

      18 지배선, "고구려 백제 유민 이야기" 혜안 2006

      19 박원길, "高句麗와 柔然·突厥의 관계" 고구려발해학회 14 : 2002

      20 孫泓, "高句麗民族的形成, 發展及消亡" 吉林省社會科學院高句麗硏究中心, 通化師範學院 高句麗硏究所 1999

      21 楊保隆, "高句麗族族源與高句麗人流向" 4 : 1998

      22 노태돈, "高句麗․渤海人과 內陸아시아 住民과의 交涉에 관한 一考察" 23 : 1989

      23 이성제, "高句麗 遺民의 遼西지역 世居와 존재양상― <高英淑墓誌>의 譯註와 분석 ―" 중국고중세사학회 (46) : 343-386, 2017

      24 노태돈,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知識産業社 1981

      25 孫蘭風, "隋唐五代墓志匯編(北京卷第一冊)" 天津古籍出版社 1992

      26 孫煒冉, "關於“高麗王莫離支高文簡”的相關問題" 34 : 2013

      27 염경이, "開元末, 唐의 東北方政策의 變化와國際的 背景 - 732년, 渤海의 侵唐(登州) 원인과 관련하여 -" 중국사학회 (96) : 63-85, 2015

      28 白玉冬, "鄂爾渾突厥魯尼文碑銘的čülgl(čülgil)" 1 : 2011

      29 內藤みどり, "西突厥史の硏究" 早稻田大學出版部 1988

      30 齊藤茂雄, "突厥第二可汗國の内部対立 : 古チベット語文書(P. t. 1283)にみえるブグチョル('Bug-chor)を手がかりに" 122 (122): 2013

      31 薛宗正, "突厥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2

      32 韓圭哲, "渤海의 對外關係史-南北國의 形成과 展開-" 신서원 1994

      33 馬一虹, "渤海與後東突厥汗國的關係—兼及渤海建國初期的周邊環境" (1) : 2007

      34 小野川秀美, "河曲六州胡の沿革" 1 (1): 1942

      35 白鳥庫吉, "朝鮮史硏究" 岩波書店 1970

      36 石井正敏, "日渤交涉における渤海高句麗繼承國家意識について" 4 : 1975

      37 村井恭子, "押蕃使の設置について-唐玄宗期における對異民族政策の轉換-" 84 (84): 2003

      38 李榮輝, "後突厥汗國末期突厥與唐及東部諸族關係考" 2 : 2017

      39 石井正敏, "張九齢作 「勅渤海王大武藝書」について" 112 : 1984

      40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 "平城宮址發掘調査出土木簡槪報" 4-, 1967

      41 岩佐精一郎, "岩佐精一郎遺稿" 岩佐伝一 1936

      42 日野開三郞, "小高句麗國の硏究" 三一書房 1984

      43 孟凡云, "契丹可突于被殺考" 31 (31): 2011

      44 任麗潁, "契丹可突于與唐四次大戰考論" 1 : 2012

      45 菅沼愛語, "唐玄宗 「御製御書」闕特勤碑文考 - 唐․突厥․吐蕃をめぐる外交関係の推移 -" 58 : 2001

      46 古畑徹, "唐渤紛爭の展開と國際情勢" 55 : 1986

      47 陳寅恪, "唐代政治史述論稿" 三人行出版社 1974

      48 曾成, "唐代契丹的權力結構與可突于之叛" 11 : 2015

      49 康楽, "唐代前期的邊防" 文史哲出版社 1979

      50 渡邊信一郎, "唐代前期律令制下の財政的物流と帝國編成" 152 : 2009

      51 菅沼愛語, "唐代の契丹と突厥第二可汗國" 8 : 2009

      52 김문경, "唐 高句麗遺民과 新羅僑民" 일신사 1986

      53 平田陽一郎, "周隋革命と突厥情勢-北周․千金公主の降嫁を中心に-" 12 : 2009

      54 護雅夫, "古代トルコ民族史硏究(I)" 山川出版社 1967

      55 鈴木宏節, "内モンゴル自治区発現の突厥文字銘文と陰山山脈の遊牧中原" 28 : 2013

      56 菅沼愛語, "八世紀前半の唐․突厥․吐蕃を中心とする國際情勢-多様な外交關係の形成とその展開-" 67 : 2010

      57 田村實造, "中國征服王朝の硏究(上)" 東洋史硏究會 1964

      58 片山章雄, "モンゴル國現存遺蹟․碑文調査硏究報告" 中央ユ-ラシア學硏究會 1999

      59 森安孝夫, "モンゴル國現存遺跡․碑文調査研究報告" 中央ユーラシア學硏究會 1999

      60 吉田豊, "ブグト碑文(Bugut lnscription)""モンゴル國現存遺蹟․碑文調査硏究報告" 中央ユ-ラシア學硏究會 1999

      61 Монгол улсын ШУА, "Хүннүгйин өв" 2011

      62 А.Пунсаг, "Монголын нууц товчоон дахь ёс заншил зан үйлийн тайлбар толь" 2012

      63 Li Yong-Sŏng, "Zu QWRDN͜TA in der Tuńquq-Inschrift" 47 (47): 2003

      64 박원길, "Sine-usu碑文과 P.1283文書에서 본 바이칼 주변 및 동몽골의 민족분포 - Čik과 鞠部, Mug-lig(貊族)와 白霫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54) : 1-75, 2018

      65 Li Yong-Sŏng, "On Č.Ẅ.LGL (or Č.Ẅ.LGIL) in the KÜUL TEGIN and BILGÄA KAGAN Inscriptions" 70 (70): 2017

      66 Mori masao(護雅夫), "How should bökli or bükli be transcribed and interpreted?" 42 : 1984

      67 Park Won-Kil, "A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Section 1 of Chapter 1 in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urk and Uygur Inscriptions" 內蒙古赤峰市巴林左旗人民政府 2018

      68 卞麟錫, "8세기 東아시아 情勢에서 바라본 唐·渤海 關係" 85 : 1999

      69 정재훈, "732년 퀼 테긴 제사 시설 건립을 둘러싼 국제 정세" 중앙아시아학회 20 (20): 21-50, 2015

      70 古畑徹, "2勅渤海郡王大武藝書』と唐渤紛爭の終結 - 第二·三·四首の作成年代を中心として -" 3 :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KAFMS -> KAM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3 0.50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