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에 나오는 ‘잔치’의 양상과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1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몽골의 영웅서사시인 『장가르』에는 칼미크-오이라드 민중들이 꿈꾸는 상황이 봄바국에서의 ‘잔치’로 그려진다. 이 잔치는 먹을 것과 마실 것이 풍부하고, 나라 의 영웅들 간에 평등한 ...

      몽골의 영웅서사시인 『장가르』에는 칼미크-오이라드 민중들이 꿈꾸는 상황이 봄바국에서의 ‘잔치’로 그려진다. 이 잔치는 먹을 것과 마실 것이 풍부하고, 나라 의 영웅들 간에 평등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시공간이다. 이 잔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은 전쟁을 의미하고, 전쟁에서 승리하는 것은 ‘잔치’에 다시 참여하는 것을 의 미한다. 『장가르』에서 태평성대의 시간으로 그려지는 잔치, 즉 칼미크-오이라드 민중들이 희구하는 잔치는 봄바국에서의 잔치만이다. 적진에서의 잔치는 전투를 촉발시키거나 전투를 준비하는 시간일 뿐이다. 칼미크-오이라드 민중에게 매일 의 삶은 전쟁과 그 결과로서의 패배였다. 혹독한 날씨와 싸워야 하고, 먹을 것이 부족한 땅에서 살아남아야만 하며, 전쟁 혹은 사냥으로 인해 항상 육체적 위협 속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는 몽골 사람들에게 『장가르』를 연창할 때 눈앞에 그려 지는 봄바국에서의 잔치는 그 자체로 큰 위안이자 희망이었을 것이다. 추위와 굶 주림, 끊임없는 전쟁과 패배의 상황으로부터 그들을 구원해 줄 영웅으로 장가르 가 호출되었고, 그를 통해 새롭게 창조될 세상은 봄바국에서의 잔치로 구현되었 다. 『장가르』를 원형으로 하여 이를 반복하고 재현함으로써 오이라드 민중은 부 정합적 상황을 받아들이고 이를 상상적으로 극복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ngolian heroic epic Jangar portrays the utopian society the Kalmyk-Oirat people desired to achieve as a ‘feast’ in Bomba. Feasts are rich in food and drink, and warriors establish an egalitarian communication during the feasts. Being far awa...

      The Mongolian heroic epic Jangar portrays the utopian society the Kalmyk-Oirat people desired to achieve as a ‘feast’ in Bomba. Feasts are rich in food and drink, and warriors establish an egalitarian communication during the feasts. Being far away from them implies engagement in battle; defeating enemies meant a return to the celebration. Feasts thrown in the enemy’s camp are preparations or triggers for battle. It is only the feast in Bomba that is truly a peaceful utopia the people long for. The life of the Kalmyk-Oirat was hard and tough. They endured the ‘anomie’ of bitter coldness, desperate hunger, ceaseless war and defeat. When they recited the Jangar epic, especially the part of the feast in Bomba, they were able to draw consolation and hold onto hope. They invoked a hero, Jangar, as a savior and the feast in Bomba as a new world Jangar would create. The Kalmyk-Oirat people were able to accept their own hopeless situation and overcome the reality in an imaginative way by repeating and representing Jangar as an archetyp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장가르가 연창되는 현실
      • III. 작품 속 잔치의 양상과 의미
      • IV. 결론
      • Works Cited
      • I. 서론
      • II.장가르가 연창되는 현실
      • III. 작품 속 잔치의 양상과 의미
      • IV. 결론
      • Works Ci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대석,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 류정아, "축제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 스미스, 조너선 Z, "종교 상상하기: 바빌론에서 존스타운까지" 청년사 2013

      4 칼미크-오이라드, "장가르: 영웅을 기다리는 유목민의 노래" 한길사 2011

      5 Eliade, Mircea, "영원 회귀의 신화: 원형과 반복" 이학사 2009

      6 박규태, "엘리 비젤과 “이야기”의 구원론적 의미" 5 (5): 65-91, 2000

      7 조현설, "세계의 영웅신화" 동방미디어 2002

      8 엘리아데, 멀치아, "성과 속: 종교의 본질" 학민사 1999

      9 정진홍, "문학적 상상의 구원론적 함의: 멀치아 엘리아데의 『만툴리사 거리』를 중심으로" 4 : 67-96, 1999

      10 정진홍, "문학과 종교" 6 (6): 111-126, 2001

      1 서대석, "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 류정아, "축제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3 스미스, 조너선 Z, "종교 상상하기: 바빌론에서 존스타운까지" 청년사 2013

      4 칼미크-오이라드, "장가르: 영웅을 기다리는 유목민의 노래" 한길사 2011

      5 Eliade, Mircea, "영원 회귀의 신화: 원형과 반복" 이학사 2009

      6 박규태, "엘리 비젤과 “이야기”의 구원론적 의미" 5 (5): 65-91, 2000

      7 조현설, "세계의 영웅신화" 동방미디어 2002

      8 엘리아데, 멀치아, "성과 속: 종교의 본질" 학민사 1999

      9 정진홍, "문학적 상상의 구원론적 함의: 멀치아 엘리아데의 『만툴리사 거리』를 중심으로" 4 : 67-96, 1999

      10 정진홍, "문학과 종교" 6 (6): 111-126, 2001

      11 이안나, "몽골 오이라드 영웅서사시 전통과 연행의 특성" 한국몽골학회 (32) : 187-226, 2012

      12 이안나, "몽골 오이라드 서사시창자의 전통과 사회적 역할" 비교민속학회 (47) : 417-455, 2012

      13 돌람, 센덴자빈, "몽골 신화의 형상" 태학사 2007

      14 Tserensodnom, D.., "몽골 민족의 기원신화" 올란바타르대학교 출판부 2001

      15 박종성, "몽골 구비영웅 서사시<장가르>의 영웅적 성격" 동아시아고대학회 (9) : 171-206, 2004

      16 조동일, "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 문학과지성사 1997

      17 崔元午, "동아시아 구비서사시 이론 구축을 위한 사례 점검(Ⅰ) - 몽골 영웅서사시 <장가르>를 중심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16) : 497-524, 2003

      18 체렌소트놈, 데, "동북아 샤머니즘 문화" 소명 2000

      19 Pegg, Carole, "Ritual, Religion and Magic in West Mongolian (Oirad) Heroic Epic Performance" 4 : 77-99, 1995

      20 Smith, Jonathan Z, "Map is not Territory: Studies in the History of Religions" U of Chicago P 1993

      21 오트공바야르, "<조웅전>과 <장가르>의 비교연구 : 영웅의 형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Literature And Religion ->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0.551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